$\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색소생성 균주 Kocuria sp. K70의 특징과 색소생성 최적 조건 및 물리적 안정성
Characterization of Pigment-Producing Kocuria sp. K70 and the Optimal Conditions for Pigment Production and Physical Stability 원문보기

KSBB Journal, v.25 no.6, 2010년, pp.513 - 519  

김영숙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진숙 (한남대학교 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rine bacterium producing pigment was isolated from the solar saltern of Mijo-myeon, Namhae, Korea. Based on phenotypic characteristics and 16S rRNA sequence analysis,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Kocuria sp., which produced a yellow pigment. The pigment showed UV absorption maximum at 469nm. The b...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즉, MgSO4 · 7H2O, 4.8 g; MgCl2 ·6H2O, 3.5 g; KCl, 1.0 g; CaCl2 · 2H2O, 0.18 g; NaHCO3, 0.03 g; NaBr, 0.013 g을 주요 염성분으로 사용하였고, BactoPeptone (Difco, USA), 2.5 g; Yeast extract (Difco, USA), 5.0 g; Glucose (Sigma, USA), 1.0 g; 증류수 1,000 mL, pH 7.2에 NaCl은 각각 0%, 1%, 2%, 3%, 4%, 5%, 6%와 7%가 첨가된 배지를 사용하여 최적 생장 NaCl 농도를 구하였으며, 당으로부터 산 생성능의 조사는 glucose와 lactose를 최종 농도 1%가 되도록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 염기서열의 결정은 16S rDNA 염기서열의 341f (5'-CCTACGGGAGGCAGCAG-3') primer와 926r (5'-CCGTCAATTCMTTTRAGTTT-3') primer 를 사용하였고 ABI Prism 310 Genetic Analyzer (Applied Biosystems, USA)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염전으로부터 색소 생성능이 우수한 해양미생물 Kocuria sp. K70를 분리하여, 최적 색소생성 조건을 검토하고 식품첨가용 천연색소로서의 개발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색소의 온도, 광선, 금속이온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 염기서열의 결정은 16S rDNA 염기서열의 341f (5'-CCTACGGGAGGCAGCAG-3') primer와 926r (5'-CCGTCAATTCMTTTRAGTTT-3') primer 를 사용하였고 ABI Prism 310 Genetic Analyzer (Applied Biosystems, USA)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또한 16S rDNA 염기서열의 상동성은 Gen Bank database에서 정보를 입수하여 Blast 검색에 의해 조사하였다.
  • K70 균주를 MB (Marine broth, Difco, USA)배지에서 30℃, 200 rpm으로 48시간 진탕배양하였다. 배양액은 6,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분리한 후 물, methanol, ethanol, acetone 및 methanol:acetone (7:2, v/v)의 4종류의 용매를 이용하여 각각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한 색소는 spectrophotometer (Spectronic Genesys 5, Miltonroy, USA)를 이용하여 350-90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배양액은 6,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분리한 후 물, methanol, ethanol, acetone 및 methanol:acetone (7:2, v/v)의 4종류의 용매를 이용하여 각각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한 색소는 spectrophotometer (Spectronic Genesys 5, Miltonroy, USA)를 이용하여 350-90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색소 생성 최적조건을 조사하기 위한 온도, pH 그리고 NaCl 시험은 MB 배지에 배양액 1% (v/v)를 접종한 후, 배양시간 4시간 마다 균체량은 660 nm, 색소량은 최대 흡광도를 나타낸 469 nm에서 측정하였다. 색소의 최적생성 온도는 25℃, 30℃, 37℃, 45℃에서 조사하였다.
  • 색소 생성 최적조건을 조사하기 위한 온도, pH 그리고 NaCl 시험은 MB 배지에 배양액 1% (v/v)를 접종한 후, 배양시간 4시간 마다 균체량은 660 nm, 색소량은 최대 흡광도를 나타낸 469 nm에서 측정하였다. 색소의 최적생성 온도는 25℃, 30℃, 37℃, 45℃에서 조사하였다. 색소 생성 최적 pH는 KOH와 HCl를 사용하여 pH 5, pH 6, pH 7, pH 8, pH 9, pH 10으로 조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색소 생성 최적 NaCl 농도는 균주의 최적생장 NaCl 농도를 조사하기 위한 배지와 동일배지를 사용하였으며 NaCl 농도는 0%, 1%, 2%, 3%, 4%, 5%, 6%, 7%로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 색소의 최적생성 온도는 25℃, 30℃, 37℃, 45℃에서 조사하였다. 색소 생성 최적 pH는 KOH와 HCl를 사용하여 pH 5, pH 6, pH 7, pH 8, pH 9, pH 10으로 조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색소 생성 최적 NaCl 농도는 균주의 최적생장 NaCl 농도를 조사하기 위한 배지와 동일배지를 사용하였으며 NaCl 농도는 0%, 1%, 2%, 3%, 4%, 5%, 6%, 7%로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 탄소원과 질소원이 Kocuria sp. K70 균주의 색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Kim 등 [15]의 배지를 변형 하여 사용하였다. 변형된 배지 조성은 casamino acid 0.
  • K70 균주의 색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Kim 등 [15]의 배지를 변형 하여 사용하였다. 변형된 배지 조성은 casamino acid 0.75%, yeast extract 1.0%, sodium citrate 3%, potassium chloride 0.2%, magnesium sulfate 2.0%, ferric sulfate (pH 7.4) 0.0023%로 조성하였다. 여기에 NaCl 농도를 2%로 한 배지에 탄소원과 질소원의 최종농도 1%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 0023%로 조성하였다. 여기에 NaCl 농도를 2%로 한 배지에 탄소원과 질소원의 최종농도 1%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단, 질소원에 대한 조사시에는 yeast extract 대신 시험하고자 하는 질소원을 첨가하였다.
  • 여기에 NaCl 농도를 2%로 한 배지에 탄소원과 질소원의 최종농도 1%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단, 질소원에 대한 조사시에는 yeast extract 대신 시험하고자 하는 질소원을 첨가하였다. 탄소원은 glucose, lactose, maltose, galactose, arabinose, sucrose, manitol, sorbitol, glycerol을 첨가하여 확인하였고, 유기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 malt extract, beef extract, tryptone, peptone을 사용하였으며, 무기 질소원으로는 potassium nitrate, ammonium nitrate, sodium nitrate를 사용하였다.
  • 단, 질소원에 대한 조사시에는 yeast extract 대신 시험하고자 하는 질소원을 첨가하였다. 탄소원은 glucose, lactose, maltose, galactose, arabinose, sucrose, manitol, sorbitol, glycerol을 첨가하여 확인하였고, 유기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 malt extract, beef extract, tryptone, peptone을 사용하였으며, 무기 질소원으로는 potassium nitrate, ammonium nitrate, sodium nitrate를 사용하였다. 배양조건은 30℃에서 48시간 진탕배양하면서 spectrophotometer (Spectronic Genesys 5, Miltonroy, USA)를 사용하여 균체량은 660 nm, 색소량은 469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 온도에 대한 안정성의 조사는 50 μg/mL의 색소추출물을 3 mL 시험관에 넣은 후 빛이 없는 조건에서 -20℃, 4℃, 25℃, 40℃에서 15일간 보존하면서 24시간 간격으로 색소 추출물의 최대 흡수파장인 469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 금속이온에 대한 안정성은 50 μg/mL의 색소 추출물 3 mL에 1.0 × 102 M 농도의 NaCl, AlCl3, FeCl2, CaCl2, CuCl2, AnCl2, MgCl2와 KCl의 금속이온 용액을 각각 1.0% 첨가하여 [11], 25℃의 암소에서 15일간 보존하면서 24시간 간격으로 469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광선에 대한 안정성은 50 μg/mL의 색소 추출물을 3 mL 시험관에 넣은 후 110 V, 30 W의 조명으로부터 30 cm의 거리에 위치시키고, 25℃에서 15일간 보존하면서 24시간 간격으로 469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 탄소원은 glucose, lactose, maltose, galactose, arabinose, sucrose, manitol, sorbitol, glycerol을 첨가하여 확인하였고, 유기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 malt extract, beef extract, tryptone, peptone을 사용하였으며, 무기 질소원으로는 potassium nitrate, ammonium nitrate, sodium nitrate를 사용하였다. 배양조건은 30℃에서 48시간 진탕배양하면서 spectrophotometer (Spectronic Genesys 5, Miltonroy, USA)를 사용하여 균체량은 660 nm, 색소량은 469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 0% 첨가하여 [11], 25℃의 암소에서 15일간 보존하면서 24시간 간격으로 469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금속이온을 첨가하지 않고 같은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 빛이 색소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5℃의 빛이 있는 조건과 없는 조건에 보관하며 색소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25℃에서 빛이 없는 조건에서는 14일이 경과한 후 황색 색소가 90% 이상의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Fig 5).
  • 금속이온이 색소에 미치는 영향은 빛이 없는 25℃ 조건에서 AlCl3을 포함하여 8종의 금속에 대하여 조사하고 금속이온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였다 (Fig. 6). MgCl2의 경우 색소 잔존율이 96%, CaCl2의 경우 93%를 나타내어 이들 금속이온에 대하여 매우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남해 미조면 구들녀 염전의 해수로부터 분리하였다. 해수는 멸균된 용기에 담아 4℃에서 운반 후, 인공해수를 사용하여 단계희석법으로 희석한 후 MA(Marine agar 2216, Difco, USA) 배지를 이용하여 30℃에서 3일간 배양 후 색소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1차적으로 선별한 후 최종적으로 황색색소를 생산하는 Kocuria sp.
  • 해수는 멸균된 용기에 담아 4℃에서 운반 후, 인공해수를 사용하여 단계희석법으로 희석한 후 MA(Marine agar 2216, Difco, USA) 배지를 이용하여 30℃에서 3일간 배양 후 색소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1차적으로 선별한 후 최종적으로 황색색소를 생산하는 Kocuria sp. K70균주를 선별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순수 분리된 균주는 20% glycerol을 첨가하여 -80℃에 보관하며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분리된 Kocuria sp. K70 균주는 MA 배지를 이용하여 30℃에서 배양하여 Yeon 등 [24]의 방법에 의해 그람염색, 운동성, 최적생장 pH와 NaCl 농도를 조사하였다. pH는 KOH와 HCl로 pH 5에서 pH 10까지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 DNA 증폭 및 염기서열 결정은 Yeon 등의 방법 [24]을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염기서열의 결정은 16S rDNA 염기서열의 341f (5'-CCTACGGGAGGCAGCAG-3') primer와 926r (5'-CCGTCAATTCMTTTRAGTTT-3') primer 를 사용하였고 ABI Prism 310 Genetic Analyzer (Applied Biosystems, USA)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생물에 의해 생산되는 천연색소의 예는? 또한 미생물에 의해 생산되는 천연색소의 경우 항산화능, 항균성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경우가 많아 미생물을 이용한 천연색소의 생산에 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7]. 미생물을 이용한 천연색소 생산의 예로는 곰팡이로부터 분리한 Rhodopseudomonas viridis의 녹색색소, Azotobacter vinelandii와 Streptomyces californicus의 청색색소, Monascus anka의 적색색소 [8-10] 가 있으며 그밖에 효모 [11-13] 및 세균 [14-18] 등을 이용한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식품의 색소의 역할? 식품의 색소는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며 식욕증진 및 식품의 품질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식품의 색소에 대하여 단순히 식감만이 아닌 기능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식품의 천연색소에 대한 선호도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식품의 천연색소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이유? 식품의 색소는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며 식욕증진 및 식품의 품질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식품의 색소에 대하여 단순히 식감만이 아닌 기능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식품의 천연색소에 대한 선호도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기능성을 갖는 색소가 인체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크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최근 pigment microbiology, phytochemical 등의 분야에서 식품의 천연색소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argalith, P. Z. (1992) Pigment microbiology, pp. 32-44. Chapman & hall, London SE1 8HN. 

  2. Ian, J. and W. Gary (2003) Phytochemical functional foods. pp. 114-124. Woodhead Publishing Ltd and CRC press, NY, washington DC. 

  3. Kim, E. Y. and M. R. Rhyu (2008)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onascus Koji extract. Korean J. Sci. Technol. 40: 76-81. 

  4. Ryu, B. H. and M. K. Kim (2000) Production of red pigment from marine bacterium utilizing colloidal chitin. Kor. J. Microbial. Biotechnol. 28: 264-269. 

  5. Fowler, M. W. (1983) Production of commercially useful compounds by plant cell culture. pp. 3-38. In S. H Mantell and H. Smith (eds.). Plant Biotechn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UK. 

  6. Hannagata, N., A. Ito, Y. Fukuju, and K. Murata (1992) Red pigment formation in cultured cells of Carthamus Tinctorius L. Biosci. Biotechnol. Biochem. 56: 44-47. 

  7. Kim, J. S., M. C. Kim, R. Harikrishnan, Y. J. Han, and M. S. Heo (2009) Taxonomical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red pigment-producing marine bacterium strain JE-34. Kor. J. Microbiol. 45: 368-376. 

  8. Kim, M. H., T. K. Lee, and H. C. Yang (1992) Red pigment production from Monascus anka abid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451-455. 

  9. Lee, S. M., H. S. Kim, and T. S. Yu (2003) The optimal condition for production of red pigment by Monascus anka on solid cul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55-160. 

  10. Romero, M. R., M. Wheeler, A. Guerreroplasta, G. Rico, and H. T. Guerrero (2000) Biosynthesis and functions of melanin in Sporothrix schenckii. Infect. Immun. 68: 3696-3703. 

  11. Costa, I., H. L. Martelli, I. M. da Silva, and D. Pomeroy (1978) Production of $\beta$ -carotene by a Rhodotorula strain. Biotechnol. Lett. 9: 373-375. 

  12. Kim, Y. H. and S. S. Lee (1994) A study on pigments from Rhodopila globiformisby acetone extraction: stability of red pigments. J. Korean Soc. Food Nutr. 23: 25-29. 

  13. Nam, H. S. and J. S. Rhee (1991) Effect of carbon source and carbon to nitrogen ratio an carotenogenesis of Rhodotorula glutinis. J. Microbiol. Biotechnol. 1: 75-78. 

  14. Bae, S. J., K. H. Kim, B. W. Kim, and Y. H. Kim (1995)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zotobacter vinelandii strain A80 production water-soluble blue pigment.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 43-46. 

  15. Kim, H. J., H. J. Park, S. K. Bae, J. D. Kim, I. S. Kong, and J. Y. Kong (1996) Characterization of red-pigment produced by marine bacterium Vibrio sp. J. Korean Soc. Food Nutr. 25: 294-300. 

  16. Kim, Y. H. and S. S. Lee (1994) A study of geenish pigments from Rhodopseudomonas viridisby acetone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food clorant.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93-97. 

  17. Kim, J. D., D. S. Kang, M. Y, Kim, S. B. Roh, M. R. Choi, S. H. Song, S. H. Baek, H. J. Seo, D. H. Kim, and J. Y. Kong (2001) Production of carotenoid from halophilic Erythrobacter sp. and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43-151. 

  18. Kim, Y. H. and S. S. Lee (1993) Yellow pigment from Rhodospirillum rubrum by acetone extraction. J. Korean Soc. Food Nutr. 6: 322-328. 

  19. Park, J. S., D. W. Jeong, and M. H. Kang (2009) The physicochemical stabili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pigment extract from marine bacterium Pseudoalteromonas psicida TA20. J. life Sci. 19: 1132-1138. 

  20. Jeong, Y, G., B. D. Choi, S. J. Kang, S. H. Jeong, Y. K. Lee, H. Y. Kim, and M. J. Jung (2001) Characteristic of carotenoid component from halophilic bacteria, Haloarcular sp. EH-1. J. Mol. Biol. 15: 673-676. 

  21. Kobayashi, J. and M. Ishibashi (1993) Bioactive metabolites of symbiotic marine microorganism. Chem. Rev. 93: 1753-1771. 

  22. Lee, S. A., J. H. Lee, S. J. Kim, and H. K. Kim (2005) Hydrolysis of triglyceride with cold-adapted lipase of Psychrobacter sp. S3 isolated from intertidal flat. Kor. J. Microbiol. Biotechnol. 33: 29-34. 

  23. Liu, G. Y., A. Essex, J. T. Buchanan, V. Datta, H. M. Hoffman, J. F. Bastian, J. Fierer, and V. Nizet (2005) Staphylococcus aureus golden pigment mpairs neutrophil killing and promotes virulence through its antioxidant activity. J. Exp. Med. 202: 209-215. 

  24. Yeon, S. H., W. J. Jeong, and J. S. Park (2005) The diversity of culturable organotrophic bacteria from local solar salterms. J. Microbiaol. 43: 1-10. 

  25. Ventosa, A., M. C. Marquez, F. RuiZ-Berraquero, and M. Kocur (1990) Salinicoccus riseusgen. nov., sp. nov., a new moderately halophilic Gram-positive coccus. System. Appl. Microbiol. 13: 29-33. 

  26. Jeong, D. W and J. S. Park (2008) Characterization of pigment-producing Pseudoalteromonas spp. from marine habitats and their optimal conditions for pigment production. J. Life Sci. 18: 1752-1757. 

  27. Zhou, G., X. Luo, Y. Tang, L. Zhang, Q. Yang, Y. Qiu, and C. Fang (2008) Kocuria flava sp. nov. and Kocuria turfanensis sp. nov., airborne actinobacteria isolated from Xinjiang, China. Int. J. Syst. Evol. Microbiol. 58: 1304-1307. 

  28. Park, C. D., H. J. Jung, and T. S. Yu (2005) Optimization of pigment production of Monaascus purpureus p-57 in liquid culture. Korean J. Biotechnol. Bioeng. 20: 66-7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