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보행보조로봇을 위한 다중 생체/역학 센서의 신호 분석 및 사용자 의도 감지
Detection of Implicit Walking Intention for Walking-assistant Robot Based on Analysis of Bio/Kinesthetic Sensor Signals 원문보기

로봇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 Robotics Society, v.5 no.4, 2010년, pp.294 - 301  

장은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융합기술연구부문 로봇) ,  전병태 (한경대학교 웹정보공학과) ,  지수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융합기술연구부문 로봇) ,  이재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융합기술연구부문 로봇) ,  조영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융합기술연구부문 로봇)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produce a convenient robot for the aged and the lower limb disabled, it is needed for the research detecting implicit walking intention and controlling robot by a user's intent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sensor module system to control the walking- assist robot using FSR sensor and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하반신 마비환자의 보행보조를 목적으로 한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의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환자들의 상체기능은 정상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3족보행 (양손의 지팡이를 짚고 한 걸음 걷는 보행)을 기반으로 한 보행보조로봇을 제어하고자 할 때, 사용자의 의식적인 조작 없이 자연스럽게 묵시적으로 의도를 획득할 수 있는 상체 정보를 고려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하반신 마비환자의 보행보조로봇을 통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보행 의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보행 의도를 파악을 위하여 저항 센서와 기울기 센서를 사용하였다. 각 센서 신호의 특성을 이용하고 융합함으로써 보행보조로봇에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의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하반신 마비환자의 보행보조로봇을 통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보행 의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보행 의도를 파악을 위하여 저항 센서와 기울기 센서를 사용하였다. 각 센서 신호의 특성을 이용하고 융합함으로써 보행보조로봇에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의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저항 및 기울기 센서 신호의 융합은 보다 정확한 보행 의도를 감지하고, 추후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보행보조로봇의 제어를 위한 신호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행보조로봇은 어떤 이용군에게 필요한 장비인가? 또한 교통사고 및 후천적 사고 등으로 인하여 중추신경계의 손상을 입은 환자들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환자들의 다수가 하반신 마비로 인하여 독립적 보행의 불가능으로 이동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고령화 문제 및 장애인 출현율의 상승 등으로 인하여 로봇 기술을 접목한 복지 및 재활로봇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보행보조로봇은 노인 복지 및 중증 신경계 손상을 입은 환자에게 이동을 돕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장비이다[3].
보행보조로봇의 개발에 사용된 생체/역학센서는 무엇이 있는가? 보다 지능화되고 환자의 특성에 맞는 보행보조로봇의 개발을 위하여 자이로스코프(gyroscope)[14], 전기 측각기(electrogoniometer)[15-16], 기울기 센서(tilt sensor)[17], 가속도계(accelerometer)[18] 등의 다양한 생체/역학 센서가 활용되어 왔고, 마비된 운동기능을 복원하기 위하여 기능적 전기자극법(FES)을 로봇에 접목시키고자 하는 연구도 수행되어왔다[19-20]. 가장 최근에는 이러한 보행보조로봇을 제어하기 위하여 알고리즘들이 개발되고 있다.
복지 및 재활로봇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하게된 배경은 무엇이 있는가? 최근 우리나라의 고령화 사회 진입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가운데, 2030년경에는 국민의 21% 이상이 노인인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고령화사회에 대비하기 위하여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들을 위한 보행보조장비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보행은 인간의 신경과 근골격 등이 총괄적으로 사용되는 복잡한 과정이며, 신체가 입각기의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동시에 다른 한 체지가 몸을 앞으로 움직이게 하는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동작으로[1], 나이가 듦에 따라 약화된 하지 근력 때문에 노인의 족저굴곡 토크발생 능력은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발목 관절을 이용한 추진력이 낮아지면서 노인의 보행 능력은 감소된다[2]. 또한 교통사고 및 후천적 사고 등으로 인하여 중추신경계의 손상을 입은 환자들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환자들의 다수가 하반신 마비로 인하여 독립적 보행의 불가능으로 이동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고령화 문제 및 장애인 출현율의 상승 등으로 인하여 로봇 기술을 접목한 복지 및 재활로봇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보행보조로봇은 노인 복지 및 중증 신경계 손상을 입은 환자에게 이동을 돕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장비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Perry, "Kinesiology of lower extremity bracing",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Vol.102, pp.18-31, 1974. 

  2. 김헌희, 정진우, 장효영, 김진오, 변증남, "작업지향 설계를 위한 의복형 보행보조 로봇의 분류방법", 로봇공학회지 논문지, 제1권, 제1호, pp.1-8, 2006. 

  3. 김경, 강승록, 박용군, 정구영, 권대규, "족관절 보조기를 착용한 고령자의 족관절 족저굴곡 토크 보조특성 분석", 로봇공학회 논문지, 제5권, 제1호 pp.48-54, 2010. 

  4. D. Winter, Biomechanics and Motor Control of Human Movement,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1990. 

  5. H. Kazerooni, Ryan Steger, and Lihua Huang, "Hybrid control of the Berkeley Lower Extremity Exoskeleton (BLEEX)",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obotics Research, Vol.25, pp.561-573, 2006. 

  6. MIT media lab, URL: http://www.media.mit.edu/ 

  7. S. Jezernik, G. Colombo, T. Kelly, H. Frueh, and M. Morari, "Robotic orthosis Lokomat: a rehabilitation and research tool", Neuromodulation, Vol.6, no.2, pp.108-115, 2003. 

  8. Honda Ltd., URL: www.robotlegs.org. 

  9. Argo Medical Technologies Ltd., URL: http://www.argomedtec. com. 

  10. H. Kawamoto, and Y. Sankai, "Power assist method based on phase sequence and muscle force condition for HAL", Advanced Robotics, Vol.19, No.7, pp.717-734, 2005. 

  11. J.W. Min, K. Lee, S.C. Lim, and D.S. Kwon, "Human-friendly interfaces of wheelchair robotics system for handicapped persons", Proceedings of the 2002 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Vol.2, pp.1505-1510, 2002. 

  12. 강성재, 류제청, 김규석, 김영호, 문무성, "하반신 마비환자를 위한 동력보행보조기의 퍼지제어 기법 개발",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제15권, 제2호, pp.163-168, 2009. 

  13. 전도영, 이용권, 최문택, 김문상 "프론티어 지능로봇사업단의 노인을 위한 Healthcare Robot 개발 소개", 대한전기학회지: 전기의 세계, 제58권, 제7호, pp. 45-53, 2009. 

  14. A. Williamson, F. Bloemhof, and H. Boom, H. (1990). "Automatic stance-swing phase detection from accelerometer data for peroneal nerve stimulation",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37, No.12, pp.1201-1208, 1990. 

  15. A. Kostov, B.J. Andrew, D.B. Popovic, R.B. Stein, and W. Armstron, "Machine learning in control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s for locomotion",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42, No.6, pp.541-551, 1995. 

  16. S.K. Ng, and H.J. Chizeck, "Fuzzy model identification for classification of gait events in paraplegics", IEEE Transactions on Fuzzy Systems, Vol.5, No.4, pp.536-544, 1997. 

  17. R. Dai, R.B. Stei, B.J. Andrews, K.B. James, and M. Wieler, "Application of tilt sensors in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EEE Transactions on Rehabilitation Engineering, Vol.4, No.2, pp.63-72, 1996. 

  18. J. Rose, and J.G. Gamble, Human walking. Williams & Wilkins 2nd Ed.(Philidelphia), 1994. 

  19. Y. Handa, T. Handa, M. Ichie, H. Murakami, N. Hoshimiya, S. Ishikawa, and K. Ohkubo,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systems for restoration of motor function of paralyzed muscle-versatile systems and a portable system", Frontiers of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Vol.4, No.4, pp.241-255, 1992. 

  20. 박병림, 김민선, 김상수, 정동명, 홍승홍, "일측 마비환자의 전기자극에 의한 보행기능의 회복", 전자공학회지, 제29권, 제6호, pp.465-471, 1992. 

  21. B. Baker, "Walk of life", The Engineer, Vol.293, No.7750, pp.30-31, 6, 2008. 

  22. B. Miripour, Climbing and Walking Robot, K. Suzuki, G. Mito, H. Kawamoto, Y. Hasegawa, and Y. Sankai, "Intention-based walking support for paraplegia patients with robot suit HAL", pp.383-408,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