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사회적 배제 성격에 대한 연구 - 유럽연합 회원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Cross-national Study of Social Exclusion - with Special References to Korea and European Countries -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2 no.2, 2010년, pp.87 - 107  

문진영 (서강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과 유럽 국가의 사회적 배제 지표를 실증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사회적 배제 현상이 유럽 국가의 그것과 비교하여 어떠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볼 목적을 가지고 작성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2장에서는 유럽에서 사회적 배제의 개념이 어떠한 정치적 맥락에서 발원하고 발전해왔는지를 살펴보고, 사회적 배제에 대한 개념규정을 시도한다. 이어서 제3장에서는 에스핑 안데르센(G. Esping-Andersen, 1990, 1999)의 복지레짐론과 실버(M. Silver, 1994)의 사회적 배제 파라다임을 비교하여 논의함으로써, 사회적 배제 현상에 대해서 복지레짐론이 어떠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논의한다. 본 연구의 본론에 해당되는 제4장은 2000년도부터 2007년까지 한국과 유럽 6개국(보수주의: 독일과 프랑스, 자유주의: 영국과 아일랜드, 사민주의: 스웨덴과 핀란드)의 사회적 배제 지표를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통해서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을 통해서 한국의 사회적 배제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정책적 함의를 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urports to compar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social exclusions in Korea with those in the European countries, notably Germany, France, Sweden, Finland, Ireland and U.K. For this purpose, chapter two examines political and social origins of social exclusion as an alternative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한국에서 이루어진 사회적 배제에 대한 연구는 유럽에서 개발된 사회적 배제라는 개념이 한국적 현실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암묵적인 전제(前提)하에서 한국의 사회적 배제 현상만을 가지고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유럽 국가의 사회적 배제 지표를 실증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사회적 배제 현상이 유럽 국가의 그것과 비교하여 어떠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지를 살펴볼 목적을 가지고 작성되었다.
  • 즉 소득불평등의 정도가 일정 수준의 임계점을 넘으면, 자유주의의 전형인 미국과 영국 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각종의 사회문제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소득관련 사회적 배제, 특히 소득불평등이 다른 사회적 배제를 생성하고 재생산하는 구조의 핵심인자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낮은 수준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사회제도를 정비하는 국가행동계획(National Action Plan)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 Silver, 1994)의 사회적 배제 파라다임을 비교하여 논의함으로써, 사회적 배제 현상에 대해서 복지레짐론이 어떠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논의한다. 본 연구의 본론에 해당되는 제4장은 2000년도부터 2007년까지 한국과 유럽 6개국(보수주의: 독일과 프랑스, 자유주의: 영국과 아일랜드, 사민주의: 스웨덴과 핀란드)의 사회적 배제 지표를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통해서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을 통해서 한국의 사회적 배제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정책적 함의를 구하고자 한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차원을 축소해서 자료를 해석하는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주성분분석은 변수벡터를 적절히 선형변환시켜 정보를 가능한 한 많이 보존하는(최소의 정보손실) 소수의 몇 개의 새로운 인공변수를 창조함으로써, 원래의 p 차원의 변이를 m 차원으로 축소하여(p>m), 전체 체계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기법으로(김기영·전명식, 1989: 5), 이를 통해서 우리는 주어진 자료의 군집성(cluster)과 이상점(outlier)을 파악 할 수 있다.
  • 주성분분석은 변수벡터를 적절히 선형변환시켜 정보를 가능한 한 많이 보존하는(최소의 정보손실) 소수의 몇 개의 새로운 인공변수를 창조함으로써, 원래의 p 차원의 변이를 m 차원으로 축소하여(p>m), 전체 체계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기법으로(김기영·전명식, 1989: 5), 이를 통해서 우리는 주어진 자료의 군집성(cluster)과 이상점(outlier)을 파악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위의 5개 차원의 사회적 배제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2개의 사회적 배제 주성분(principal component)으로 축소하여(2개의 인공변수), 각국의 사회적 배제의 성격을 해석하고자 한다. 즉 해석하기도 어렵고 그림으로 현시화(顯示化)하는 것도 불가능한 5차원의 데이터를 2차원 데이터로 차원축소하여 좌표에서의 위치를 구하고 이에 대해서 해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 즉 한국의 사회적 배제 현상을 유럽 각 국의 사회적 배제와 같이 분석할 경우, 어떠한 군집(cluster)에 속하는지 혹은 이상점(outlier)에 위치하고 있지는 않은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주성분분석을 사용하여 2000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과 유럽 6개국(독일, 프랑스, 영국, 아일랜드, 스웨덴, 핀란드) 등 7개국의 사회적 배제 지표를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한국의 사회적 배제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사회적 배제의 성격은 전형적인 자유주의 국가와 비슷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위의 5개 차원의 사회적 배제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2개의 사회적 배제 주성분(principal component)으로 축소하여(2개의 인공변수), 각국의 사회적 배제의 성격을 해석하고자 한다. 즉 해석하기도 어렵고 그림으로 현시화(顯示化)하는 것도 불가능한 5차원의 데이터를 2차원 데이터로 차원축소하여 좌표에서의 위치를 구하고 이에 대해서 해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에르 마세는 사회적 배제를 어떻게 사용하였는가?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당시 프랑스의 경제기획성의 책임자였던 피에르 마세(Pierre Massé)에 의해서 처음으로 사회적 배제가 공식적으로 언급되기 시작하였는데, 그는 국가의 관리체계에서 이탈되어 있는 집단 특히 사회보험제도의 사각지대에 머무르고 있는 사람을 지칭하는 행정용어로 사용하였다. 이후에 1974년 당시 프랑스 정부의 사회부 장관이었던 르노와르(René Lenoir)가 『배제된 사람, 프랑스인 열사람 중의 하나』(Les Exclus, Un Français sur dix, 1974)라는 저서를 출판하였는데, 그는 이 책에서 사회적 배제를 둘러싼 중심 문제는 기존의 경제적 의미에서의 빈곤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부적응(social misfit)의 문제라고 지적하였다(심창학, 2001: 190).
복지국가체제에서 빈곤의 예방 및 박멸이 가장 핵심적인 정책목표로 선언된 배경은 무엇인가? 인류역사의 발전은 빈곤과의 투쟁으로 점철되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가난은 인류의 발전을 가로막는 가장 큰 걸림돌이자, 또 한편으로는 지금의 문명사회를 건설하게 된 자극제가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이성(理性)을 가진 인간이 이룩한 최고의 국가형태인 복지국가체제에서 ‘빈곤의 예방 및 박멸’을 가장 핵심적인 정책목표로 선언한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막스 베버가 이해한 사회적 배제란 무엇인가? 사회적 배제를 처음 학문적으로 연구한 학자는 막스 베버(Max Weber)라고 할 수 있는데, 그는 사 회적 배제를 사회적 폐쇄(social closure)의 한 형태로 파악하여, 한 집단이 자신의 우월한 지위와 특권을 유지할 목적으로 다른 집단을 희생시키려는 시도로 이해하였다(Burchardt, Le Grand, Piachaud, 이하 BLP, 2002: 1-2; 문진영, 2004: 257). 즉 사회적 폐쇄란 기득권 집단이 잠재적 경쟁자 집단을 열등하거나 자격이 없다고 규정함으로써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는 일종의 지배와 복종의 과정으로,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뚜렷한 차이 예를 들자면, 인종이나 언어, 출신 집안, 종교, 학벌 등과 같은 기준을 가지고 잠재적 경쟁자를 외부화하는 과정을 말한다(Murphy, 1988: 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