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의과대학 본과 4학년 학생들의 사망진단서의 작성 능력을 살펴보고자, 2007년 5월부터 8월까지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의 4개 의과대학 본과 4학년 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사망진단서 작성을 위한 10개의 사례들과 사망진단서 작성 양식, 그리고 사망진단서 작성과 관련된 교육 경험에 관한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교육 유형별 사망진단서 작성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학생들이 기술한 사인들이 기준사인과 일치되는 정도와 기재내용의 오류 등을 파악하였다. 설문 미응답자 61명을 제외한 232명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0개 사례에 대한 4단계 사망원인 평균 일치 개수 즉 CD는 $9.6{\pm}3.8$이었다. 4단계 사망원인들 중 최하단에 기재한 원사인의 평균 일치 개수 즉 UC1은 $4.8{\pm}1.7$이었고, 학생들이 기술한 4단계 사망원인들 중에서 사인분류사에 의해 선정 된 원사인의 평균 일치 개수 즉 UC2는 $5.6{\pm}1.5$이었다. UC1과 UC2는 사례중심 교육집단이 이론교육집단 보다 높았다. 주오류의 세부 내용별로 살펴보면 '선행사인 미기입'의 오류를 가진 경우(78.9%)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한 칸에 두개 사인 기입'(48.3%), 'II부에 I부 기입'(43.1%) 등의 오류를 범하는 경우 등이 많았다. 주오류와 부오류 모두 사례중심교육집단이 이론교육집단보다 평균 오류의 수가 더 적었다. 결론적으로 의과대학 본과 4학년 학생들의 사망진단서 작성능력은 사망진단서 작성 방법에 대한 교육 유형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며, 사망원인통계의 정확성 향상을 위해서는 사망원인작성에 대한 교육이 이론 위주보다는 다양한 사례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ability of completing death certificates among medical students. Methods: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during May to August 2007, by 380 medical students in senior.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0 cases to wr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의과대학 본과 4학년 학생들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교육 유형에 따른 사망진단서의 4단계 사망원인 기재 정도 및 원사인 일치 정도와 오류의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사망진단서 작성방법에 대한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사망원인통계의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10개의 사례에 대해서 4단계 사망원인을 작성하게 하고 직접 원사인을 선정하여 교육미실시집단, 이론교육집단, 사례중심 교육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세 집단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원사인 일치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 평균 오류의 개수도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망신고자료는 어떻게 활용되는가? 사망신고자료는 국가수준에서 사망수준을 확인하고, 정확한 사망원인의 구조를 파악하여, 국민복지 및 보건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질병부담 연구 자료원으로도 중요하다. 사망원인통계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망통계가 호적신고가 아니라 인구동태 조사와 함께 관리되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하며, 검시 전문인력 양성, 부검 확대, 검시관의 직무 독립성 유지 등 검시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사망진단서 작성방법에 대한 교육은 어디서 이루어지는가? 사망원인통계는 사망진단서의 모든 사망원인 (Ⅰ부의 (가)직접사인, (나)(가)의 원인, (다)(나)의원인, (라)(다)의 원인, Ⅱ부의 기타 신체 이상) 및 사망 종류를 살펴보고 원사인(underlying cause of death)을 선정하여 작성되므로 사망진단서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오류의 정도뿐만 아니라 4단계 사망원인 작성 정도에 대한 검토도 중요하다[11-12]. 사망진단서 작성 방법에 대한 교육은 의과대학의 법의학 또는 예방의학 교육과정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올바른 사망진단서 작성방법을 통해 사망원인통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먼저 사망진단서 작성방법에 대한 의과 대학 학생들의 교육수준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사망원인통계는 어떻게 작성되는가? 사망원인통계는 사망진단서의 모든 사망원인 (Ⅰ부의 (가)직접사인, (나)(가)의 원인, (다)(나)의원인, (라)(다)의 원인, Ⅱ부의 기타 신체 이상) 및 사망 종류를 살펴보고 원사인(underlying cause of death)을 선정하여 작성되므로 사망진단서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오류의 정도뿐만 아니라 4단계 사망원인 작성 정도에 대한 검토도 중요하다[11-12]. 사망진단서 작성 방법에 대한 교육은 의과대학의 법의학 또는 예방의학 교육과정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박우성, 이명용, 이무식, 윤석준, 이영성, 서순원, 서진숙, 부유경, 김광환, 김정란. 우리나라 사망통계에 대한 질적 수준 평가 및 개선방안연구. 보건복지부, 2003 

  2. Nam HS, Park KS, Seon BH, Shin JH, Shon SJ, Choi JS, Kim BW. A study of the cause of death reported on official death registry in a rural area. J Prev Med Public Health 1996;29(2):227-238(Korean) 

  3. Chun JH, Lee KS. Actual conditions and pitfalls of death statistics based on the current death registration system in Korea. Kore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0;22(2):124-135(Korean) 

  4. Chung EK, Shin HY, Shin JH, Nam HS, Ruy SY, Im JS, Rhee JA. Accuracy of the registered cause of death in a county and its related factors. J Prev Med Public Health 2002;35(2):153-159(Korean) 

  5. Jo MW, Khang YH, Yun SC, Lee JY, Lee MS, Lee SI. Proportion of death certificates issued by physicians and associated factors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04;37(4): 345-352(Korean) 

  6. Jang HJ. Determinants of issuance rate of death certificate by reg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05;28(1):47-71(Korean) 

  7.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1997(Korean) 

  8.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01(Korean) 

  9.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07(Korean) 

  10.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09(Korean) 

  11. Park DK, Kim SY, Kang JH, Han SH, Kim CH, Lee MC, Yoo TW, Huh BY. Errors in death certificates in Korea. J Korean Acad Fam Med 1992;13(5):442-449(Korean) 

  12. Park WS, Park SG, Jung CW, Kim WC, Tak WT, Kim BY, Seo SW, Kim KH, Suh JS, Pu YK. The rate that underlying cause of death for vital statistics are derived from the underlying causes of death recorded at death certificat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2004;11(1):4-14(Korean) 

  13. Lee YS, Park SG, Park WS, Seo SW. How to write death certificate. Pacific Publisher, 2003(Korean) 

  14. Statistics Korea.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4th, Volume 1, Volume 2 Instruction manual. 2002(Korean) 

  15. Myers KA, Farquhar DR. Improving the accuracy of death certification. CMAJ 1998; 158(10):1317-1323 

  16. Kim KS, Lim YS, Rhee JE, Seo GJ, Youn YK, Eo EK, Youm SL, Jeong YK, Lee YS. Problems in completing a death certifica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00; 11(4):443-449(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