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양그림의 경관관이 작정원리에 미친 영향 - 중국화론과 원림론의 관계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Landscape Painting Concepts on Garden Design Principles in East-Asia -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Painting Theory and Garden Theor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6, 2010년, pp.85 - 95  

김한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근대이전 동아시아의 상류사회는 시서화 삼위일체의 통합체제를 유지해왔고 이에 따라 정원조성의 원리 또한 산수화의 작화원리를 참조하며 발전해 왔다. 본 연구는 중국의 산수화론과 원림론을 비교, 양자 간의 상호관계를 검토함으로써 동양그림의 경관관이 원림의 작정원리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양자 간의 비교는 내용과 형식의 양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여기서 내용은 주로 가치와 의미 등 비가시적 측면을 말하고, 형식은 주로 시각과 공간 등 가시적 측면을 말한다. 먼저 산수화론에 있어 내용면의 주요 주제는 무엇보다도 '기운생동(氣韻生動)'이었다. 이는 음양사상을 기반으로한 동양문화 고유의 가치인데, 남조의 사혁이 이론화한 것이다. 이에 대응하는 원림론의 주요 주제는 '풍수(風水)'와 '의경(意境)'이었다. 풍수 역시 음양사상을 기반으로 한 지기(地氣)의 원리이고, '의경'이란 시서화 공동의 가치로서 마음의 경지를 의미하는데, 특히 원림론에서는 가시적 경관 이면의 상징적 의미를 말하고 있다. 형식면에서 산수화론의 두드러진 주제는 북송조 곽희에 의해 정립된 '삼원법(三遠法)'이라는 일종의 동양화의 투시도법으로 다원적 조망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응하는 원림론의 주제는 '인지(因地)'와 '차경(借景)'으로 명조의 계성이 이론화하였으며, 각각 대상지 내외부 경관자원의 조성과 차용을 의미한다. 특히 차경의 세목들은 삼원법의 각 관점에 대응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동아시아 원림론에 등장하는 주요 개념들은 화론과 매우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었으며 이로서 원림술은 예술의 한 분야로 인정받아 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ast-Asian intellectual societies in the pre-modem age sustained a holistic system of poem-calligraphy-painting trinity until the coming of Western modernism. Therefore, it has been insisted that the principles of traditional landscape gardening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ose of landscape paint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긴밀한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전통 원림의 특질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에 속한다. 앞으로의 후속연구는 한국에서 산수화와 화론이 한국의 전통정원과원림론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그 유산은 현대에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를 묻는 방향으로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 본 연구는 중국의 대표적 산수화론들에 나타난 중심개념들이 원림론의 기본 관점과 작정원리에 미친 영향을 규명하려는기초적 단계의 연구이다. 이 연구는 어디까지나 조경의 입장에서 동양의 작정원리에 대한 이해의 심화를 위한 것이며, 이를위해 원림론의 내용형성에 있어서 산수화의 경관관이 어떤 방향에서 영향을 미쳤3, 그 결과는 어떤 것이었나를 고찰하는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산수화론과 원림론간의 상호관계를 밝히기위해서 양대이론을 내용적 측면과 형식적 측면으로 나누어 비교、고찰하였다. 먼저, 내용적 측면에서는 산수화론의 '기운생동'과 원림론의 '풍수 .
  • 단계의 연구이다. 이 연구는 어디까지나 조경의 입장에서 동양의 작정원리에 대한 이해의 심화를 위한 것이며, 이를위해 원림론의 내용형성에 있어서 산수화의 경관관이 어떤 방향에서 영향을 미쳤3, 그 결과는 어떤 것이었나를 고찰하는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관식 역(1991) 동양화구도론. 王伯敏. 中國畵的構圖. 서울: 미진사 

  2. 고연희 (2007) 조선시대 산수화. 서울: 도서출판 돌베개. 

  3. 김광석, 박길룡 (2004) 산수화의 시각구조와 도시풍경담기에 관한 연 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4(1): 259-262 

  4. 김기임, 윤홍택(1996) 예술분야에 나타난 조선시대 정원의 구성요소와 구성원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6(2): 181-186 

  5. 김기주 역(1992) . 중국의 산수화. Sullivan. M., Symbols of Eternity 서울:문예출판사 

  6. 검성우(2005) 비례와 기운-동서양 건축의 심미성- 건축역사연구 14(2) 103-142 

  7. 김성우, 안대회 역(1993) 計成 園治. 서울: 도서출판 예경. 

  8. 김영빈 역(1987) 中國底園論. 間大路, 대구: 중문출판사. 

  9. 김우창(2003) 풍경과 마음. 서울: 생각의 나무. 

  10. 김정용 (1999) 중국의 회화이론과 원림건축사상 비교연구. 건축역사연구 8(2): 33-47. 

  11. 김종태 역(1989) 중국고대정원림의 분석. 彭一剛, 中國古典園林分析. 서울: 문화재관리국. 

  12. 김주석, 박한규(1989) 동양화와 동양건축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9(1): 208-211 

  13. 김진영 편역(1984) 개자원화전. 한국화보 李漁 沈心友, 芥子園畵譜. 출판사미상. 

  14. 도올 김용옥 역주(1992) 石濤畵論, 石濤, 話語錄 서울: 통나무. 

  15. 박은하 엮음(2001) 중국회화감상, 서울: 도서출판 예경. 

  16. 백윤수(2005) 원림론에 미친 화론의 영향, 미학 제 41 집 : 1-33 

  17. 월간미술 엮음. 세계미술용어사전, 서울: 주)월간미술 

  18. 이유직(1997) 許成의 園治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유직 (2000) 동양정원의 조원가와 이론서. 건축역사연구 9(3) : 92- 106. 

  20. 이진희(1995) 유토피아적 경관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3(1) 61-71 

  21. 전영옥 (2004), 조선시대 괴석의 특성과 산수화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1-12. 

  22. 최종현 (2007) 원림건축 형식으로서의 한국전통산수화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 13-36. 

  23. 허영환 역주(1989) 임천고치-곽희. 곽사의 산수화론. 郭熙, 林?高致 서울. 열화당. 

  24. 홍형순(2008) 장주묘암도에 표현된 정원도해의 메타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1): 1-8. 

  25. 近轉公夫역(1975) SAKU-TEI-KI 橋俊網作展記. National Woman's University of Nara. Institete of Environrnent Planning for Living 

  26. Appleton, Jay(1975) Experience of Landsιape. London. Johns Wiely and Sons. 

  27. Cheng. Francois(1994) Empty and Full-The Language of Chinese Painting. Boston and Laldon. Shambhala. 

  28. Lee, Hang-Lyoul(2008) Trends of farnous garden masters between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6(6): 124-134 

  29. Wu. Jiahua(1995) A Ccmparative Study of Landscape Aesthetics. Lewiston The Edwin Mellen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