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청도군 운문사 입구 수구막이 소나무림 식생구조 및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 for Sugumagi of Unmun Temple, Cheongdo-gun, Korea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8 no.5, 2020년, pp.1 - 15  

강기원 (삼성물산 조경소) ,  이도이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곽정인 (환경생태연구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구막이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 및 생육특성 연구를 통한 문화경관림의 관리방안 수립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경상북도 최남단에 위치한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사 입구의 수구막이 소나무림으로 면적은 45,201㎡이다. 운문사입구 수구막이 소나무림의 역사적 근거에 대한 사료는 전무하였고, 선형연구를 통해 운문사 입구 소나무림이 위치하고 있는 곳이 풍수지리적으로 수구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육현황은 조사구 98개에 대한 격자조사를 통해 전체 수목현황과 소나무 생육상태를 조사하였다. 생육현황 분석결과, 교목층에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느티나무, 팽나무, 붉나무가 분포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가죽나무 등 28종, 관목층은 개머루 등 92종이 생육하고 있었다. 소나무 식물군집 구조는 교목층 소나무 주수와 경급을 기준으로 연구대상지 내 소나무림의 저밀도, 중밀도, 고밀도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저밀도, 중밀도, 고밀도 소나무림 공히 교목층은 소나무가 우점하였고, 경쟁수종은 없었다. 저밀도의 소나무림 상대우점치는 평균 46.9이었고, 중밀도는 평균 62.6%, 고밀도는 평균 50.2%이었다. 저밀도 조사구의 Shannon의 종다양도는 평균 0.7055이었고, 중밀도는 평균 0.8966, 고밀도는 평균 0.8317이었다. 수구막이 소나무림의 표본목 25주에 대한 연륜 및 생장량을 분석한 결과, 표본목 흉고직경(DBH) 분포는 38~77cm이었으며 평균 흉고직경은 61.1cm이었다. 수령은 84~161년이었고 표본목 평균 수령은 114년이었다. 수구막이 소나무에는 일제강점기에 송진 채취를 목적으로 낸 수간상처가 대부분 있다. 현황을 보면 전체 670주 중 송진 채취목이 659주로 전체의 98.3%이다. 그중 394주는 2005년에 외과수술을 실시하였다. 수구막이 소나무림의 보존을 위해 고사목은 대체목으로 수형을 고려하여 중남부평지형 소나무로 복원하고, 대상지내 일본잎갈나무 등 외래종 제거와 외과수술을 한 소나무는 정기적인 살균·살충의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e up with a way of managing a cultural landscape forest by conducting research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growth characteristics. This study's target site, which was 45,201㎡ in size, was Pinus densiflora forest for Sugumagi placed at the entrance of Unmun 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운문사 일대의 소나무림 연구는 운문사 주변 산림과 하천변에 분포하는 자연 소나무림에 대한 연구(Lee, 2012)만 진행되었을 뿐 수구막이 소나무림에 대한 어떤 연구도 진행된 바 없으며, 수구막이 소나무림에 대한 역사, 소나무의 수량 및 생육상태 등에 대한 구체적인 사료(使料)가 없고,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수립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경관림으로서의 청도군 운문사 입구 수구막이 소나무림의 전수조사(Figure 2 참조)를 통해 수목 DB를 구축하고 생육상태를 자료화하였으며, 수구막이 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는 중요한 역사·문화·생태적 가치를 갖고 있으나, 크게 주목받지 않았던 운문사 입구의 수구막이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통한 소나무림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생육상태, 식생구조 등의 분석과 함께 주변 소나무림 연구와의 비교 고찰을 바탕으로 향후 관리를 위한 방안을 함께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 대체로 교목층 소나무 개체수가 적고 낙엽활엽수가 함께 생육하는 저밀도 소나무림의 경우 종수 및 개체수, 종다양도지수 등에 있어 중밀도 소나무림에 비해 식생구조 안정성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운문사 수구막이 소나무림의 지속가능한 보전, 유지, 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관리방안은 크게 소나무 양묘, 생육상태 관리, 외래종 관리, 소나무림 식생관리, 송진 채취목 관리로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소나무림의 훼손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수구막이숲 유지를 위해 체계적인 양묘를 바탕으로 한 병충해, 방해극상관리, 식생복원 등이 필요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구막이란? 운문사 입구에는 소나무가 수구막이로 조성되어 관리되고 있다. 수구막이는 풍수이론으로 조성된 숲으로 배산임수의 주산으로부터 좌우 양쪽으로 뻗은 산줄기의 끝이 서로 마주 닿지 못하고 열려있는 부분(수구)을 띠 모양으로 연결한 숲이다. 풍수지리적 배경에 따라 조성된 수구막이, 당산목, 어부림, 방풍림 등 전통숲의 특징은 수구(水口), 곡구(谷口), 풍구(風口) 등 사람들이 빈번하게 출입하는 입구이거나 바람이 불어 들어오는 주요 길목에 집중 조성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문화경관림이란? 인간의 생활주변에 조성된 전통숲은 강이나 하천의 하구, 호수나 습지 등에서 인간의 삶과 연결되어 오랜 세월 자연과 더불어 형성되어 온 문화경관림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경관림이란 사찰림, 방풍림, 수구막이숲 등과 같이 인간의 정주공간 주변에 위치하여 문화·경관적인 측면에서 효용을 제공하는 숲으로서 생태적 천이와 인간의 간섭에 의해 변화되고 있는 숲이며, 민족의 삶과 역사, 문화와 더불어 형성된 고유한 문화경관이다(Lee et al., 2009).
운문사 수구막이 소나무림의 지속가능한 보전, 유지, 관리를 위한 방안으로 제시된 것은?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운문사 수구막이 소나무림의 지속가능한 보전, 유지, 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관리방안은 크게 소나무 양묘, 생육상태 관리, 외래종 관리, 소나무림 식생관리, 송진 채취목 관리로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소나무림의 훼손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수구막이숲 유지를 위해 체계적인 양묘를 바탕으로 한 병충해, 방해극상관리, 식생복원 등이 필요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I. S.(2012)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Planting Models Based on the Ecotyp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pp. 196. 

  2. Brower, J. E. and J. 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p. 194. 

  3. Curtis, J. T. and R. P. Mcl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4. Han, B. H., J. W. Choi, T. H. Noh and J. S. Kim(2012) Vegetation distrubution status and change for twenty four years(1986-2010) of Seunhwanglim(forest), Wonju.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5): 741-757. 

  5. Jang. D. S.(2006)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forest planting with the fengshui theory. Keimyung Korean Studies Journal 33:49-80. 

  6. Koo, J. W.(2014)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Gayasan National Park.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pp. 109. 

  7. Korea National Arboretum(2017)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 Arboretum, Pocheon. 

  8. Krebs, C. J.(1985) Ecology. N. Y., Harper Low, pp. 800. 

  9. Lee, C. B.(2006) Coloured Flora of Korea. Seoul: Hyangmoonsa. 

  10. Lee, D. L.(2012)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s and Restoration Measures for the Vegetation Landscape in the Cultural Landscape Forest of Unmun Temple, Cheongdo-gun, Korea.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University of Seoul, pp. 108. 

  11. Lee, D. L., B. H. Han and J. I. Kwak(2019)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s and vegetation landscape management in the cultural landscape forest of Unmun temple, Cheongdo-gu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7(3): 81-92. 

  12. Lee, K. J., J. S. Kim, J. W. Choi and B. H. Han(2008) Vegetation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forest near Woljeong Temaple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2): 173-183. 

  13. Lee, K. J., K. S. Ki and J. W. Choi(2009) Vegetation succession and vegetation management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the Beopjusa area, Songni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2): 208-219. 

  14. Lee, K. J., K. T. Kim and Y. B. Kim(1993) Early diagnosis of injuries on the forest by acid rain and airbone pollutants. The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pp. 205. 

  15. Lee, K. J., N. H. Cho, Y. G. Chung and H. S. Cho(1991)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of Daekwanrim in Hamyang. Landscape Journal 19(2): 52-64. 

  16. Park, D. J.(2010) A Study of Arrangement & Space Composition of UnMum Temple in the View of Feng Shui.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Yeo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pp. 123. 

  17. Park. S. J., I. G. Song., S. J. Park., O. H. Lee and S. Y. Jang(2010) A study on the resource reality in Unmunsan (Qingdao, Gyeongbuk) county park.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3(4): 327-349. 

  18. Pielou, E. 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pp. 165. 

  19. The National Environmental Protection Institute(1988)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Biomonitoring to Environmental Pollutants(II).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 Unmun Temple (2011) Korean Nameplate Series 10. Korean Buddhism and Culture Magazine. pp. 2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