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와 현대의 산 향유 양상 고찰 및 발전 방향 모색 - 경북 선비문화권 주요 명산(名山)을 대상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n Mountain Enjoyment Culture of Joseon Dynasty and Contemporary in Korea - Targeting the Major Famous Mountains in Gyeongsangbuk-do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9 no.6, 2021년, pp.64 - 79  

박지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조경학) ,  양유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조경학) ,  함연수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조경학) ,  이나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는 산지형 국가로 예로부터 산은 국민의 일상과 깊은 관계를 맺어왔으며, 산림 향유 문화의 역사적 켜가 두텁다. 따라서 한국 산의 풍부한 유산 문화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다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유의미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산(遊山)문화가 성행하였던 조선시대의 산림 향유 문화와 현대 산림 여가 문화 양상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산 향유 문화의 발전 방향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명산으로 손꼽히는 청량산, 소백산, 속리산의 유산기록과 현대사회의 블로그 산행 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선시대 선비들은 산을 학문과 심신 수련의 장, 연회와 문예활동의 공간으로 찾고 있었다. 그리고 산에 오랜 시간 머물며 산수풍경을 오롯이 즐기고 자연 경관을 대상으로 다양한 학예 및 풍류 활동을 하는 등 유산 문화를 꽃피웠다. 반면 현대인들은 산을 하루 반나절 동안 빠르게 완주하는 공간으로 여기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산림 경관을 단순한 조망에서 나아가 문화 콘텐츠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오늘날은 산행과 관련한 정보수집이 용이하고 기술 및 교통의 발달로 다양한 규모와 성격의 산행을 상황에 맞게 운영 가능하다는 점은 긍정적이었다. 향후 한국 고유의 산림 향유 문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현대사회의 산행의 이점은 살리고 과거 풍부했던 유산(遊山)문화를 재해석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등반에 치우친 산행이 아닌 산의 풍경을 충분히 만끽할 수 있는 유람(遊覽)형 산행을 제안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산수 경관이 다양한 산림 휴양 활동 및 문화로 승화될 수 있도록 적절한 공간 조성 및 배치와 더불어 지역의 역사·인문 콘텐츠와 사찰 및 인력 자원을 적극 연계하여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mountains constitute 60 percent of the total land area. For a long time, mountains have been deeply involved in people's daily lives, acting as a significant layer of culture. For those reasons, it would be meaningful to shed light on the values of the mountain culture of Korea and seek va...

주제어

참고문헌 (42)

  1. Bae, E. G.(1600) Cheongnyangsan Yoosangrok(淸凉山遊賞錄). 

  2. Bae, Y. J.(1647) Cheongnyangsan Yoorok(淸凉山遊錄). 

  3. Cheongnyang Mountain Museum(2006) The Cheongnyang Mountain Cruise of Scholars(1st). Seoul: Minsokwon. 

  4. Cheongnyang Mountain Museum(2006) The Cheongnyang Mountain Cruise of Scholars (2nd). Seoul: Minsokwon. 

  5. Cheongnyang Mountain Museum(2006) The Cheongnyang Mountain Cruise of Scholars (3rd). Seoul: Minsokwon. 

  6. Cho, W. H. and S. B. Im(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references and visitors' satisfation in Bukhansan Dulegi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1): 1-11. 

  7. Choi, E. S.(2018) Aspat and meaning of recreation at Cheong-ryang Mountain in Gasa. Institute of Youngnam Culture 64: 69-98. 

  8. Han, H., J. E. Song, A. R. Seol, J. H. Park and J. S. Chung(2011) A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landscape structures between famous and general Korean forests using landscape indic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1), 1-11. 

  9. Han, S. D.(1586) Yoo Sobaeksan Rok(遊小白山錄). 

  10. Hwang, J. S.(1933) Sobaeksan Yurok (小白山遊錄). 

  11. Jang, B. G., G. U. Hwang and G. J. Park(2011)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pp. 91-93).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2. Jeon, C. H., H. J. Shin, S. Jung and H. S. Lee(2013) Research on forest users behavior analysis and recreation value estimation. Chungbuk Research Institute 24(2): 23-42. 

  13. Jeon, S. Y and G. J. Heo(2016) Joseon Scholar's Mountain Journey. Paju: Dolbegae. 

  14. Jung, C. Y.(2005) The literati's travels to Mt. Chungryang in the Chosun dynasty reflected in travel accounts.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1(1): 54-70. 

  15. Jung, C. Y. (2009) A study on the literati's travels to Mt. Jiri in the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4(3): 260-281. 

  16. Jung, C. Y.(2014) Joseon Nobleman Go on a Field Trip. Sungnam: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17. Kim, D. H. and J. H. Choi(2015) Enjoyment culture of garden through poet(詩) and Text(書), painting(畵) in the 18, 19 th century, Hanyang(漢陽).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3(2): 36-48. 

  18. Kim, D. Y.(1579) Yoo Cheongnyangsan Rok(遊淸凉山錄). 

  19. Kim, H.(1759) Yoo Cheongryangsan Gi ( 淸凉山記). 

  20. Kim, H. J.(1932) Yoo Sobaeksan Gi ( 小白山記). 

  21. Kim, H. J.(1933) Baeksansu Seungrok. 

  22. Kwon, S. B.(1774) SobaekYoosanGi (小白遊山記). 

  23. Kwon, W.(1575) Yoo Cheongnyangsan Rok(遊淸凉山錄). 

  24. Korea Internent and Security Agency(2019) 2018 Internet Usage Survey Summary Report. 

  25. Korea Forest Service(2017) A Report on a Garden Policy for People'S Happiness_1000day plan and 10 Major Tasks. 

  26. Lee, D. H.(1787) Yoo Sokrisan Gi(遊俗離山記). 

  27. Lee, H. R., J. J., Kim, E. K. Cho, M. J. Kang and S. Y. Han(2011) Determinants of users' satisf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Jirisan trail of Korea.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0(2): 273-282. 

  28. Lee, H. S., S. Y. Han and K. Choi(2011) A study of forest culture through the travel writing of Mt. Jiri.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15(1): 39-49. 

  29. Lee, J. L. and S. Y. Kim(2001) A study on patterns in use of visitors to recreational forests near cities and their awareness of recreation culture in forest.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5(3): 19-26. 

  30. Lee, S. H.(2017) A Study on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of Mt. Samgak(三角山) in Mountain Travel Essay( 山記).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31. Lee, S. H., H. J. Oh and J. H. Bae(2019) Analysis of tourism attractiveness of forest culture event using traditional IPA and revised IPA.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1(12): 87-102. 

  32. Min, S. H., C. Y. Lee and W. Y. Joo(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soundscapes on forest landscape preferenc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3): 473-482. 

  33. Park, M. H.(1868) Yoo Sokrisan Gi(遊俗離山記). 

  34. Park, J. Y., T. H. Kim, S. Y. Kim, D. G. Park and H. C. Lee(2010) A study on the fa tors determining visits of Seoul metropolitan citizens to forests: Focusing on the visitors of Mt. Bukhan, Mt. Gwanak, Mt. Surak, and Mt. Dobong.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1): 36-46. 

  35. Sin, E.(1579) Yoo Sobaeksan Gi(遊小白山記). 

  36. Yeongju Cultural Heritages Preservation Society(2013) Mt. Sobaek: National Park Mountain Sobaek's Heritage Record and Poetry Research and Excavation Project(1s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37. Yeongju Cultural Heritages Preservation Society(2013) Mt. Sobaek: National Park Mountain Sobaek's Heritage Record and Poetry Research and Excavation Project(2nd).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38. Gallup Korea (https://www.gallup.co.kr) 

  39.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https://www.kisdi.re.kr) 

  40.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https://kosis.kr) 

  41. Opensurvey(https://blog.opensurvey.co.kr/trendreport/sns_2018/) 

  42. Buan Internet Newspaper (http://www.buan114.com/news/articleView.html?idxno92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