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s attributes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Mix & Match' which is one of the major current trends in interior designs.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Mix & Match' was ascertained through research of previous documents and studies, and its attributes were explored. In order to e...
This study examines attributes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Mix & Match' which is one of the major current trends in interior designs.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Mix & Match' was ascertained through research of previous documents and studies, and its attributes were explored. In order to examin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to see how they are expressed in actual interior designs, case analyses were carried out centering on the expression elements such as material, light & lighting, color, furniture and objects which were regarded as important in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articles so far. The case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works where the concept of 'Mix & Match' was prominent in designs produced in 2007 and 2008, chosen from the main reports of the representative interior design journals, 'Interiors' and 'INTERNI & Decor'.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Mix & Match' is not limited to one attribute but the temporal, spatial and genre attributes are present all at the same time, or various expression elements exist in one attribute. This is a distinct character commonly shown in most of the cases and each expression element is expressed in variety according to spatial concept, from a simple parallel to substitution, transfer and modification (simplification, transformation of the scale, rate modification etc.) Therefore, in creating the space for 'Mix & Match' or in interpretation of it, the understanding of these expression characteristics would make it possible for clearer and more various applications of design, and furthermore will be meaningful for supply and accumulation of reference in design communication.
This study examines attributes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Mix & Match' which is one of the major current trends in interior designs.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Mix & Match' was ascertained through research of previous documents and studies, and its attributes were explored. In order to examin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to see how they are expressed in actual interior designs, case analyses were carried out centering on the expression elements such as material, light & lighting, color, furniture and objects which were regarded as important in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articles so far. The case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works where the concept of 'Mix & Match' was prominent in designs produced in 2007 and 2008, chosen from the main reports of the representative interior design journals, 'Interiors' and 'INTERNI & Decor'.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Mix & Match' is not limited to one attribute but the temporal, spatial and genre attributes are present all at the same time, or various expression elements exist in one attribute. This is a distinct character commonly shown in most of the cases and each expression element is expressed in variety according to spatial concept, from a simple parallel to substitution, transfer and modification (simplification, transformation of the scale, rate modification etc.) Therefore, in creating the space for 'Mix & Match' or in interpretation of it, the understanding of these expression characteristics would make it possible for clearer and more various applications of design, and furthermore will be meaningful for supply and accumulation of reference in design communica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실내디자인의 주요 트렌드 중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는 'Mix & Match'의 개념 및 배경과 속성을 명확히 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그 표현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려는 것이다. 이는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정확한 자료제공 및 축적의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최근 실내디자인의 주요 트렌드 중 하나인 'Mix & Match'의 속성 및 표현특성을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Mix & Match'의 속성으로는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속성들 중 중복되거나 독립적 속성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는 속성들을 제외하고 시간적속성, 공간적속성, 장르적속성의 세 가지를 파악하였다.
가설 설정
색채는 빛 바랜듯한 파스텔컬러의 사용, 고전적 모티브의 현대적 컬러로의 치환, 색감을 없애서 새로운 시간성 부여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가구 및 오브제는 전통적, 고전적 가구 및 오브제와 현대적 가구 및 공간의 병치와 재해석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간적속성의 경우 표현특성에서 재료는 자연 형태를 인공적 . 이질적 재료로 치환하거나, 외부재료를 내부로 도입하여 내부와 외부를 전환시키거나, 자연재료와 인공재료의 병치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빛과 조명은 현대적 공간속에 동양적 또는 지역적 모티브의 조명기구를 적용하거나, 어둠과 밝음의 연속장면을 통한 내부와 외부의 전환, 빛을 이용한 새로운 공간감 부여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제안 방법
연구는 크게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으로 진행되었다. 문헌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Mix & Match'의 개념 및 배경, 속성을 살펴보았다.
문헌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Mix & Match'의 개념 및 배경, 속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속성이 실제 실내디자인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그 표현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Mix & Match'의 개념 및 배경, 속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속성이 실제 실내디자인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그 표현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표현 특성 분석에서는 실내디자인의 주요 표현요소인 재료, 빛과 조명, 색채, 가구 및 오브제 등을 중심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속성이 실제 실내디자인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그 표현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표현 특성 분석에서는 실내디자인의 주요 표현요소인 재료, 빛과 조명, 색채, 가구 및 오브제 등을 중심으로 하였다.
'Mix & Match'의 속성(시간적, 공간적, 장르적)에 대한 실제 공간에서의 표현특성을 파악하기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실내디자인에서의 표현요소를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색채는 전체 공간의 주조색과 가구 및 오브제 색채 등 공간의 인상에 영향을 주는 강조색을 중심으로 하였고, 가구 및 오브제는 가구의 형태, 종류 그리고 심상을 유발하는 오브제적 요소를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조형적 표현은 빈 벽면에 포인트 조명을 연출하거나, 기하학적 형태의 창호를 통해 타장르와의 접목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표현하였다. 타장르와의 접목은 조명기구에 그래픽을 적용하거나, 조명과 사진이 접목된 이미지 월, 영화, 조명아트 등과의 접목을 통해 표현한 경우로 'Penthouse in Chelsea NY'는 자녀실 및 복도부에 조명아트를 접목한 예이다.
따라서 'Mix & Match'의 속성을 크게 시간적속성, 공간적 속성, 장르적속성의 세 가지로 파악하였다.
'Mix & Match'의 속성으로는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속성들 중 중복되거나 독립적 속성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는 속성들을 제외하고 시간적속성, 공간적속성, 장르적속성의 세 가지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실내디자인의 주요 표현요소인 재료, 빛과 조명, 색채, 가구 및 오브제 등을 중심으로 사례 분석하여 이러한 속성들의 표현 특성을 다음과 같이 파악하였다.
대상 데이터
사례분석 대상은 국내 대표적 실내디자인 전문지인 월간 인테리어와 인테르니&데코의 2007, 2008년 주요 기사 중 'Mix & Match'가 표현된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전체 53작품이 선정되었다. 월간인테리어가 34사례, 인테르니 &데코가 19사례로, 공간유형별로는 상업공간이 64.
표현관련 요소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디자인에서의 표현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표현요소는 표현 관련 요소로 분류된 재료, 가구, 빛과 조명, 색채를 대상으로 하였다.
구조재의 내부마감재 및 가구재, 장식재화는 콘크리트, 시 멘트블럭, 철망 등의 구조재를 그대로 노출시켜 내부마감재로 사용하거나, 가구재로 사용하거나, 공간 내 장식요소로 표현한 것으로 '닫음은 두 유리 벽면에 구조재인 시멘트블럭을 패턴화하여 장식재로 표현한 예이다. 그리고 장식재의 내부마감재 및 가구재화의 예로 '연세라헨트피부과'는 장식재인 액자몰딩을 내부마감재, 인포데스크 마감재로 사용하였다. 다양한 재료의 꼴라쥬 구성의 예로 'Carbon Hotel'은 bar 공간에 장식타일, 컬러유리, 스테인리스스틸, 패브릭 등 다양한 재료를 매치시켜 표현하였다.
성능/효과
첫째, 재료의 경우 고재료, 전통적(한국적) 재료와 현대적 공간 및 가구의 병치, 재료의 솔직한 표현, 재료의 치환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고재료의 사용은 고벽돌이나 바닥타일, 플로링 등을 재사용하거나, 가구 및 오브제를 고재로 제작하는 방법을 통한 표현으로 'aA디자인 뮤지엄'은 빈티지 가구 전시 및 판매 공간으로 다양한 시기의 가구들과 함께 1900년대의 영국공장건물의 창문, 조명, 플로링 및 바닥타일이 재활용된 예이다.
둘째, 빛과 조명의 경우 전통적(한국적) 또는 고전적 모티브의 조명과 현대적 공간 및 가구를 병치시키거나, 시간의 변화와 관련된 낮과 밤의 변화, 빛 그림자 등 시간의 "Mix & Match'를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전통적(한국적) 모티브 의 조명은 전통적 패턴 및 재료를 적용한 조명기구와 현대적 공간 및 가구를 병치시켜 표현한 것으로 '호박이 넝쿨채'의 경우 현대적 공간에 고전적 모티브의 가구, 전통적(한국적) 조각보 패턴을 적용한 조명기구를 병치시켜 표현하였다.
& Match'를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전통적(한국적) 모티브 의 조명은 전통적 패턴 및 재료를 적용한 조명기구와 현대적 공간 및 가구를 병치시켜 표현한 것으로 '호박이 넝쿨채'의 경우 현대적 공간에 고전적 모티브의 가구, 전통적(한국적) 조각보 패턴을 적용한 조명기구를 병치시켜 표현하였다. 낮과 밤의 변화는 조명효과를 이용하여 낮의 공간과 밤의 공간의 차별적 표현을 한경우로 '온 더 식스, 는 낮에는 화이트의 카페 공간이지만 밤에는 붉은 LED조명으로 화려한 레스토랑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셋째, 색채의 경우 고전적 모티브를 현대적 컬러로 치환하거나 바랜듯한 파스텔컬러를 사용하거나, 색감을 없애서 새로운 시간성 부여하기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고전적 모티브의 현대적 컬러로의 치환은 고전적 모티브의 가구 및 오브제, 조명기구 등을 블랙이나 화이트, 원색 등의 컬러로 치환하여 표현한 것으로 '禾水木' 은 고전적 모티브인 샹들리에를 비비드한 레드컬러로 치환하였다.
넷째, 가구 및 오브제의 경우 전통적(한국적), 고전적 가구 및 오브제와 현대적 공간 및 가구를 병치시키거나, 전통적 모티브의 재해석, 고전적 모티브의 재해석 등에 의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전통적(한국적) 가구 및 오브제의 병치 및 재해석은 이들을 병치시키거나 형태변형, 기능을 재해석하여 표현한 것으로 '禾 水木'는 현대적 카페공간에 전통적 가구인 소반과 고전적 모티브의 가구를 병치시킨 예이고, '동의당 한의원'은 전통적 가구인 궤를 재해석하여 안내데스크로 변형하였으며, 반닫이를 세면대 하부장 및 수납장으로 재해석한 예이다.
첫째, 재료의 경우 자연형태의 인공적 . 이질적 재료로의 치환, 외부재료를 내부로 도입한 내부와 외부의 전환, 자연재료와 인공재료의 병치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첫째, 재료의 경우 자연형태의 인공적 . 이질적 재료로의 치환, 외부재료를 내부로 도입한 내부와 외부의 전환, 자연재료와 인공재료의 병치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연형태의 인공적 .
둘째, 빛과 조명의 경우 동양적, 지역적 모티브의 조명, 어둠과 밝음의 연속장면을 통한 내부와 외부의 전환, 빛을 통한 새로운 공간감 부여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동양적, 지역적 모티브의 조명기구는 현대적 공간 및 가구와의 병치를 통해 표현한 것으로 '빌라 드 베일리'는 현대적 공간속에 동양적 모티브의 격자무늬 패널과 샹들리에를 병치시킨 예이다.
셋째, 색채의 경우 지역적 색채를 도입하거나, 자연색채와 인공색채의 병치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지역적 색채의 도입은 국가를 연상시키는 색채나 그 지역의 지역색을 통해 표현한 것으로 중국음식 전문 레스토랑인 '딘 타이 펑 강남은 현대적 공간 및 가구에 중국의 대표색인 레드를 적용한 예이다.
넷째, 가구 및 오브제의 경우 동양적, 지역적 가구 및 오브제를 도입하거나, 자연형태를 단순화 추상화하여 인공적 형태로 내부에 도입하거나, 외부요소를 내부로 도입하여 내부와 외부를 전환하거나 또한 중력에 반하는 오브제로 새로운 공간감 표현하기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동양적, 지역적 가구 및 오브제 도입은 많은 사례에서 나타난 표현방법으로 현대적 공간 또는 서양적 공간 및 가구와 이를 병치시켜 표현한 것으로 '닫음'은 전통그릇전시 및 판매점과 양식레스토랑이 결합된 공간으로 동양적 오브제와 서양의 고전적 모티브가구와 패턴, 샹들리에를 병치한 예이다.
첫째, 재료의 경우 구조재의 장식재화, 장식재의 내부마감재 및 가구재화, 다양한 재료의 꼴라쥬 구성 통한 오브제화 등의 표현으로 나타났다. 구조재의 내부마감재 및 가구재, 장식재화는 콘크리트, 시 멘트블럭, 철망 등의 구조재를 그대로 노출시켜 내부마감재로 사용하거나, 가구재로 사용하거나, 공간 내 장식요소로 표현한 것으로 '닫음은 두 유리 벽면에 구조재인 시멘트블럭을 패턴화하여 장식재로 표현한 예이다.
둘째, 빛과 조명의 경우 조형적 표현, 타장르와의 접목, 스케일과장과 형태분해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조형적 표현은 빈 벽면에 포인트 조명을 연출하거나, 기하학적 형태의 창호를 통해 타장르와의 접목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표현하였다.
셋째, 색채의 경우 구조요소, 창호 등에 색채를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BBH'는 화이트공간의 노출천장을 가진 오피스공간의 기둥 및 일부 벽면에 컬러풀한 그래픽 및 색채를 적용하여 구조요소를 형상화한 예이다.
넷째, 가구 및 오브제의 경우 키치적 요소와의 접목, 타장르(벽화, 그래픽 등)와의 접목, 단순화 및 비례변형, 스케일 변형된 비일상적 오브제의 연출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키치적 요소와의 접목은 만화영화, 장난감, 플라스틱 바구니 등을 통해 고급/저급, 어른/아이의 경계 해체라는 이중성 창조를 표현한 것으로 '알파빌 44 프로덕션'은 오피스입구에 만화영화 Vintage Mickey (1928)'를 접목하였다.
첫째, 시간적속성의 경우 표현특성에서 재료는 고재료 또는 전통적(한국적) 재료와 현대적 공간 및 가구의 병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재료의 사용, 고전적 모티브의 현대적 재료로의 치환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빛과 조명은 전통적 모티브의 조명을 사용하거나 낮과 밤의 변화, 빛 그림자를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색채는 빛 바랜듯한 파스텔컬러의 사용, 고전적 모티브의 현대적 컬러로의 치환, 색감을 없애서 새로운 시간성 부여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가구 및 오브제는 전통적, 고전적 가구 및 오브제와 현대적 가구 및 공간의 병치와 재해석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색채는 빛 바랜듯한 파스텔컬러의 사용, 고전적 모티브의 현대적 컬러로의 치환, 색감을 없애서 새로운 시간성 부여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가구 및 오브제는 전통적, 고전적 가구 및 오브제와 현대적 가구 및 공간의 병치와 재해석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간적속성의 경우 표현특성에서 재료는 자연 형태를 인공적 .
둘째, 공간적속성의 경우 표현특성에서 재료는 자연 형태를 인공적 . 이질적 재료로 치환하거나, 외부재료를 내부로 도입하여 내부와 외부를 전환시키거나, 자연재료와 인공재료의 병치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빛과 조명은 현대적 공간속에 동양적 또는 지역적 모티브의 조명기구를 적용하거나, 어둠과 밝음의 연속장면을 통한 내부와 외부의 전환, 빛을 이용한 새로운 공간감 부여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또한 색채는 지역색 도입, 자연색채와 인공색채의 병치를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가구 및 오브제는 동양적, 지역적 가구 및 오브제의 도입, 자연적형태의 인공적 형태로의 변환, 외부요소 도입을 통한 내부와 외부의 전환, 중력에 반하는 오브제로 새로운 공간감 부여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이질적 재료로 치환하거나, 외부재료를 내부로 도입하여 내부와 외부를 전환시키거나, 자연재료와 인공재료의 병치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빛과 조명은 현대적 공간속에 동양적 또는 지역적 모티브의 조명기구를 적용하거나, 어둠과 밝음의 연속장면을 통한 내부와 외부의 전환, 빛을 이용한 새로운 공간감 부여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또한 색채는 지역색 도입, 자연색채와 인공색채의 병치를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가구 및 오브제는 동양적, 지역적 가구 및 오브제의 도입, 자연적형태의 인공적 형태로의 변환, 외부요소 도입을 통한 내부와 외부의 전환, 중력에 반하는 오브제로 새로운 공간감 부여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르적속성의 경우 표현특성에서 재료는 구조재의 장식재화, 장식재의 내부마감재 및 가구재화, 재료의 꼴라쥬 구성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빛과 조명은 타장르와의 접목, 조형적 표현, 스케일과장과 형태분해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또한 색채는 구조요소 또는 창호 등에의 적극적 색채적용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가구 및 오브제는 만화영화 등의 키치적 요소와의 접목, 타장르(벽화, 그래픽 등)와의 접목, 단순화 및 비례변형, 스케일 변형된 비일상적 오브제의 연출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또한 색채는 구조요소 또는 창호 등에의 적극적 색채적용 등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가구 및 오브제는 만화영화 등의 키치적 요소와의 접목, 타장르(벽화, 그래픽 등)와의 접목, 단순화 및 비례변형, 스케일 변형된 비일상적 오브제의 연출을 통한 표현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상에서 살펴본 시간적, 공간적, 장르적 속성은 속성별로 국한되어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한 사례에서도 여러 속성이 동시에 표현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후속연구
이처럼 'Mix & Match'의 표현특성에서 공간유형에 따른 차이를 일부 발견할 수 있다. 이후 연구에서 이러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사례구성에서 공간유형별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이질적인 것으로 부터의 조화를 의미하는 'Mix & Match'의 개념에서 알 수 있듯이 이러한 표현 특성들은 향후 보다 더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후 연구에서 이러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사례구성에서 공간유형별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이질적인 것으로 부터의 조화를 의미하는 'Mix & Match'의 개념에서 알 수 있듯이 이러한 표현 특성들은 향후 보다 더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17)
하이브리드컬처연구소, 하이브리드컬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John A. Walker, 정진국 역, 대중매체시대의 예술, 열화당, 1997
김소연, 복합공간에 나타난 빈티지스타일 특성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김은지, 이정욱, 현대 실내디자인의 하이브리드 미학적 표현기법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v.16 n.1, 2007
김은지, 이정욱, 혼성 디자인의 의미구성과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v.15 n.2, 2006
김정호, 현대실내디자인의 혼성(hybrid)적 표현경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명은정, Mix & Match 스타일의 표현경향에 관한 연구-'낯설게 하기'의 현대적 표현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박완아, 트렌드 분석을 통한 모델하우스 단위세대 디스플레이 계획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백경아, 혼성적 공간개념을 적용한 디자인호텔 계획,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
유영희, 실내건축공간에 '한국성'적용을 위한 디자인 개념 추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4, no.5, 2005
윤갑근, 건축물 내.외부 디자인요소의 인지 특성에 관한 상관 관계분석,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이태하, 데페이즈망(Deepaysement)기법의 혼성(hybrid)적 표현 특성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최승희, 혼성적 표현 경향의 스포츠 레스토랑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최은정, 현대 실내공간에서 한국성 적용을 위한 혼성(hybrid) 표현기법 및 디자인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