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7 no.1, 2010년, pp.139 - 144
이승제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전남대학교 기능성식품연구센터) , 안기완 (전남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 최태수 (전남도청 산림소득과) , 정형석 (순천청암대학 호텔조리학과) , 문제학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전남대학교 기능성식품연구센터) , 박근형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전남대학교 기능성식품연구센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otential applications of the extract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구실잣밤나무란 무엇인가? | 피자식물문 참나무과 모밀잣밤나무속 상록활엽 교목류 중의 한 수종인 구실잣밤나무(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NAKAI)는 일본, 중국, 타이완, 인도, 자바 등지에 분포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제주도 및 남해안의 일부 도서지방의 경사지 또는 능선을 중심으로 발달해 있다(6). | |
구실잣밤나무 잎의 외형적 특징은? | 구실잣밤나무의 특성을 살펴보면 껍질은 회색이며 높이는 약 15 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끝은 뾰쪽한 모양으로 길이 7~12 cm이고,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 표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고, 뒷면에는 갈색 비늘털이 있으며 연한 갈색을 띠고 있다. 6월에 꽃이 피고 10월에 달걀모양으로 익는 열매는 날로 먹거나 구워서 먹고, 떡이나 묵에 넣어서 먹기도 한다. | |
구실잣밤나무 껍질 색상은? | sieboldii NAKAI)는 일본, 중국, 타이완, 인도, 자바 등지에 분포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제주도 및 남해안의 일부 도서지방의 경사지 또는 능선을 중심으로 발달해 있다(6). 구실잣밤나무의 특성을 살펴보면 껍질은 회색이며 높이는 약 15 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끝은 뾰쪽한 모양으로 길이 7~12 cm이고,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
Oh, K.K. and Park, S.G. (2003) Conservation status and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 Korea(II). Kor. J. Env. Eco., 17, 71-82
Lee, M.Y. and Yoon, S.J. (2006) The quality properties of Dotoridasik with added acorn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849-854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I.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p.234-235
Kang, J.T., Park, N.C. and Chung, Y.G. (2002) Effects of the soil properties on growth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nd Dendropanax morbiferastands in warm temperate forest zone. J. Korean For. Soc., 91, 679-689
Jang, H.J. (2007)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Jeju native plants. M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p.19-25
Gancedo, M. and Luh, B.S. (1986)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s and sugars in tomato juice. J. Food Sci., 51, 571-573
Palmer, J.K and List, D.M. (1973) Determination of organic acids in foods by liquid chromatography. J. Agric. Food Chem., 21, 903-906
Jung, M.J., Heo, S.I. and Wang, M.H. (2007) Comparative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in acorn powders from Korea and China. Korean. J. Pharmacogn., 38, 90-94
Belitz, H.D. and Grosch, W. (1987) Food Chemistry. Springer-Verlag Publishing Co. Ltd., Berlin, Germany, p.335-34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