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명품 대중화 시대의 명품 브랜드 인지도와 주요 속성에 대한 인식 및 구매 행동
Brand Awareness, Attributes and Purchase Behaviors for Luxury Products in the Age of McLuxury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18 no.1, 2010년, pp.133 - 149  

김미숙 (경희대학교 의상학과) ,  안수경 (경희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rand awareness, attributes and purchase behaviors for luxury products in the age of mcluxur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18 consumers(10 singles, 8 married) in the age range of 20~49 and having purchased luxury products twice in last 1 y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명품 시장이 확대되고 명품이 대중화됨에 따라 한국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명품에 대한 개념과 명품 브랜드의 인지도 및 명품 속성, 구매 행동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그 변화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기존의 명품 구매 속성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가 인식하는 일반적인 고급 브랜드와 명품 브랜드의 가치 속성의 차이와 그 속에 내포된 심리적인 기제가 무엇인지 탐색하여 명품 대중화 시대에 맞는 명품 브랜드 속성과 구매 행동의 새로운 척도 개발을 위한 1차적 자료를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새로운 명품 브랜드 개발 및 명품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명품 시장이 확대되고 명품이 대중화됨에 따라 한국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명품에 대한 개념과 명품 브랜드의 인지도 및 명품 속성, 구매 행동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그 변화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기존의 명품 구매 속성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가 인식하는 일반적인 고급 브랜드와 명품 브랜드의 가치 속성의 차이와 그 속에 내포된 심리적인 기제가 무엇인지 탐색하여 명품 대중화 시대에 맞는 명품 브랜드 속성과 구매 행동의 새로운 척도 개발을 위한 1차적 자료를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새로운 명품 브랜드 개발 및 명품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명품 대중화시대를 맞이하여 명품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와 소비자가 인식하는 명품 속성, 명품 대중화에 따른 명품 소비자나 명품 브랜드에 대한 인식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현재 한국 사회에서 명품 소비가 일부 상류층의 특별한 소비가 아니라 대중의 소비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명품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명품 구매자가 부여하는 명품 속성과 구매 행동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명품 구매자의 심층적 인터뷰를 통해 명품 브랜드 인지도 및 명품의 속성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명품 구매 행동 및 명품 대중화에 따른 명품 소비 인식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는 설문조사를 통한 정량적인 통계분석보다 심층면접을 통해 명품의 대중화에 따라 실제 명품의 구매자들이 인식하는 명품의 속성 인식과 구매 행동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종합적이고 다차원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명품 대중화시대를 맞이하여 명품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와 소비자가 인식하는 명품 속성, 명품 대중화에 따른 명품 소비자나 명품 브랜드에 대한 인식 변화에 대해 알아본 본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은? 1. 명품 브랜드 인지도는 가방에 대해서는 루이비통(18)>샤넬(17)>구찌(15)>에르메스(12), 페라가모(12) 순으로, 의류 부분에서는 샤넬(15)>아르마니(13)> 구찌(8), 디올(8)> 순으로 나타나 아직까지는 일반에 알려진 브랜드를 명품으로 인지하고 있었 으나, 명품을 자주 구매하는 소비자들임에도 준 명품으로 인지하고 있는 브랜드가 명품으로 언급된 것이 많아 명품의 대중화가 확실히 일어나고 있음과 일부 브랜드들은 인지도에서 상당히 하락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연령에 따라 명품 브랜드 인지도 순위가 달랐다.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등장한 20, 30대의 명품 브랜드 인지도는 전통적인 명품 중에는 버버리, 그 외에도 마크 제이콥스나 비비안웨스트우드 등에 대한 인지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2. 명품 브랜드와 고급 브랜드의 속성 중 공통적인 속성으로는 훌륭한 품질, 우수한 디자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실용성 및 유용성, 높은 가격이 언급되었고, 명품 브랜드에서만 인식된 속성은 세계적 명성, 유명 디자이너 및 장인정신, 브랜드의 역사와 전통, 소장가치, 희소성으로 나타났다. 특히 명품의 명성은 전통에 의해서 형성되고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실제로 인정을 받아야 한다고 하였으며, 디자인은 유행이 많이 바뀌지 않아 소장가치가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우수한 디자인은 독창적인이고 혁신적인 디자인이라고 하여 명품의 디자인은 전통과 유행성의 균형을 얼마나 잘 맞추는가와 유행을 뛰어 넘을 정도의 독창성을 잘 살리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어 한국의 명품 브랜드 개발 시 고려할 만한 점이라 사료된다. 또한 20, 30대들은 브랜드의 실제 디자이너가 누구인가가 매우 중요한 속성이라고 생각하고 있어 이들에게 명성이 높은 디자이너가 누구인지를 파악하고, 이들을 영입 하는 것도 단 기간에 브랜드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 보인다. 3. 명품의 구매 행동에 관해서는 주로 디자인이나 브랜드명을 보고 구매하고, 해외에서 여행하다가 가격이 저렴한 명품을 구매하거나 국내 백화점에서 세일할 때 구매하는 경우가 많았고, 연령대별로 구매 충동을 느끼는 경우가 조금 달랐으나 구매 횟수나 명품 구입에 사용하는 액수 등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고관여 상품은 다양한 속성을 고려하여 포괄적으로 의사결정을 한다고 생각되고 있으나, 명품의 구매자들은 오히려 브랜드명을 근거로 한 휴리스틱 의사 결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명품이 대중화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과시적인 목적으로 명품을 구매하기보다는 자신의 만족과 명품의 소비를 자신의 삶을 높이는 일환으로 사용하고 그러한 부류에 속한다는 것을 비슷한 부류의 사람들이 알아주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품의 대중화가 모조품의 범람으로 인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많았고, 명품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들을 볼 때도 상황적인 면을 고려해서 명품의 진위를 가늠한다는 응답도 많아 명품 브랜드가 모조품으로 인한 피해를 입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에는 명품이 될 가능성이 있는 브랜드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브랜드들은 연령대에 따르게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아직은 명품으로 인식되는 브랜드는 없었다.
과거와 현재의 명품 소비는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이러한 명품 소비는 과거에는 일부 부유층의 과시적 소비 행동으로 여겨졌으나, 최근에는 고급 소비에 대한 사회적 거부감이 약화되고, 20ㆍ30대 소비자가 새로운 소비 주역으로 대두되면서 수요층이 다양해짐에 따라 명품 소비가 확산되고 있으며3), 유통 채널과 구매 경로가 다각화되면서 명품 소비가 점차 대중화되어 가고 있다. 여기에 중산층 소비자들이 고품질과 감성적인 만족을 위하여 좀 더 저렴한 신명품 브랜드를 소비하려는 ‘트레이딩업(trading up) 현상4)과 해외 여행이 활발해지면서 명품 소비는 점점 가속화되고 있다.
중산층 소비자들이 고품질과 감성적인 만족을 위하여 좀 더 저렴한 신명품 브랜드를 소비하려는 현상은? 이러한 명품 소비는 과거에는 일부 부유층의 과시적 소비 행동으로 여겨졌으나, 최근에는 고급 소비에 대한 사회적 거부감이 약화되고, 20ㆍ30대 소비자가 새로운 소비 주역으로 대두되면서 수요층이 다양해짐에 따라 명품 소비가 확산되고 있으며3), 유통 채널과 구매 경로가 다각화되면서 명품 소비가 점차 대중화되어 가고 있다. 여기에 중산층 소비자들이 고품질과 감성적인 만족을 위하여 좀 더 저렴한 신명품 브랜드를 소비하려는 ‘트레이딩업(trading up) 현상4)과 해외 여행이 활발해지면서 명품 소비는 점점 가속화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구영애 (2008). "매스티지 브랜드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패션브랜드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민주 (2003). 디마케팅: 마케팅의 다이어트 선언. 서울: 미래의 창. 

  3. 김민주 (2007). 앞으로 3년, 대한민국 트렌드: 트렌드로 바라본 한국, 한국인의 미래. 서울: 한스 미디어. 

  4. 김은주 (2006). "매스클루시버티와 디자인 유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재문 (2002년 5월 29일). "명품의 조건." LG주간경제. 

  6. 박효경 (2006). "소비자의 명품 태도, 소비자: 명품브랜드 관계, 명품 충성도에 관한 정성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배준환 (2004). "명품 구매 행동에 관한 영향 요인연구: 소비자 가치와 브랜드 기능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상민, 최순화 (2001년 3월). "소비시장 고급화와 기업의 대응." 삼성경제연구소. 

  9. 이승미 (2004). "대학생 소비자의 명품 브랜드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구매 경험 유무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준영, 김난도 (2007). "명품의 소비욕망: 심층면접을 통한 '욕망의 삼각형이론의 적용." 소비자학연구 18권 2호. 

  11. 최선형 (2001). "패션 명품에 대한 태도 연구" 복식문화연구 9권 6호. 

  12. 최윤정 (2004). "패션 명품의 상표 자산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한경 (2003년 10월 23일 [2009년 12월 9일 검색]). "잘 나가는 명품 시장 일등공신은 '2030' 여성" [온라인잡지];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 php?aid20091023201 

  14. 황선영 (2003). "명품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2009 소비 트렌드: 백화점, '스몰럭셔리, 아웃도어 상품 강세 이어진다." 한국경제. (2009년 1월 5일). 

  16. "대학생, 직장인까지 명품 열풍. 시장 규모 3조." 조선일보 (2007년 7월 3일). 

  17. "명품이 날개?" 중앙일보 Week & Coverstory. (2007년 3월 23일). 

  18. "올 유통 5대 키워드 '공포-불황-이강-해외-명품'."헤럴드경제 (2008년 12월 26일). 

  19. "Global Luxury Survey: An In-depth Look at Brand Awareness and Spending Habits among U. S. Millennials." Time Vol. 171, No. 10. 

  20. Assael, H. (1994).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Action. Kent Publishing Company. 

  21. BBC (2007). 경제의 최전선을 가다 개인. 기업. 국가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경제트렌드 26 Business Insight 4. 서울: 리더스북. 

  22. Bearden, William O. and Michael J. Etzel (1982). "Reference Group Influence on Product and Brand Decis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9. 

  23. Comitet, Colbert (1993). Report 1992. Perspective 1993. Paris. 

  24. Dubois, B. and P. Duquesne (1993). "The Market for Luxury Goods: Income Versus Culture."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 27, No. 1. 

  25. Hbriuchi, Yoshihide (1984). "A Systems Anomaly: Consumer Decision-Marketing Process for Luxury Good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26. LaBarbera, A. (1981). "The Nouveau Riche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Issue of Self-fulfillment." Research in Consumer Behavior Vol. 21, No. 1. 

  27. Lageat, T., S. Czellar and G. Laurent (2003). "Engineering Hedonic Attributes to Generate Perceptions of Luxury: Consumer Perception of an Everyday Sound." Marketing Letters Vol. 14, No. 2. 

  28. Mason, R. S. (1981). Conspicuous Consumption: A Study of Exceptional Consumer Behavior. N.Y.: ST. Martin's Press. 

  29. Nia, A. and J. Zaichkowsky (2000). "Do Counterfeits Devalue the Ownership of Luxury Brand." Journal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Vol. 9, No. 7. 

  30. Shah, David (2000). "A New Definition of Luxury." Textile View Vol. 52, No. 6. 

  31. Solomon, Michael and Nancy Rabolt (2007). Consumer Behavior in Fashion. 이승희, 김미숙, 황진숙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32. Stephenson, W. (1978). "Concourse Theory of Communication." Communication Vol. 3, No. 1. 

  33. Veblen, T. (1934).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N.Y.: Modern Library Inc. 

  34. Verhallen, Theo M. and Henry S. Robben (1994). "Scaricity and Preference: An Experiment On Unavailability and Product Evaluation."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Vol. 15, No. 2. 

  35. Vigneron, Frank and W. Johnson (1999). "A Review and a Conceptual Framework of Prestige-Seeking Consumer Behavior."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Review Vol. 99, No. 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