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과시적 소비 특성
A Study on the Conspicuous Consumption Characteristic Expressed in the Modern Fashion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18 no.1, 2010년, pp.177 - 189  

이지현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양숙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onspicuous consumption characteristic expressed in the modern fashion. The conspicuous consumptions are classified with 2 parts as follows as: 1. The motive of conspicuous consumption, 2. The effect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motive of conspicu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 뚜렷하게 나타나는 소비 현상인 과시적 소비를 고찰하였는데, 과시적 소비의 동기적 측면으로 타인에게 부를 과시할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사용하는 과시 소비, 현대와 같은 비대한 대중 소비 사회에서 특히 많이 나타나게 되는 특정 인물이나 집단과 자신을 동일시하게 만든 동조 소비, 사회적 지위 및 자아존중과 관련되어 하류계층은 지위의 결핍을 보상하기 위해, 상류계층은 자신의 높은 지위를 더욱 드러내기 위한 과시 소비 형태와 유사한 보상 소비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 큰 의미의 과시 소비는 과시적 소비로 표기하였음을 밝혀둔다.
  • 이런 점에서 패션과 과시적 소비의 관계를 연관시켜서 현대 패션에 나타난 과시적 소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라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현대 패션을 21세기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는 소비 현상인 과시적 소비를 동기적 측면과 효과적 측면으로 고찰하고,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과시적 소비 특성을 추출하여 현대 패션에 나타난 과시적 소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사람들은 그들 나름대로 다양한 범주의 지도자들로부터 그들의 의복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얻으려고 한다. 어린 10대 청소년들은 연예인이나 운동 선수들 중 현재 우상이 되는 사람들을 따르기 쉬우며, 여성들의 모방 대상은 개인의 역할과 가치에 따라 다양하다10).

가설 설정

  • <그림 19> 토즈의리미티드 파시미 가방.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놉 효과는 희소성을 가진 제품을 구입하여 남과 구별되기를 원하는 것인데, 그 예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스놉은 아랫사람을 무시하고 윗사람에게 아부하는 속물을 뜻하지만, 라이벤스타인이 발표한 자료에서 스놉 효과는 희소성을 가진 제품을 구입하여 남과 구별되기를 원하는 것이다. 즉, 다른 사람과 구별되려고 특별한 의상을 입는다든지, 진귀한 예술품이나 희귀한 스포츠카를 소유하고자 하는 행위를 지칭한다. 이러한 행위를 하는 소비자들은 고가격 상품을 선호하지만 고가격 상품이더라도 대량 생산된 것보다는 소량 생산되거나 수제품, 하나밖에 없는 물건 등을 더욱 선호한다.
미국의 경제학자인 하비 라이벤스타인이 제시한 소비의 외부 효과 3가지는 무엇인가? 미국의 경제학자인 하비 라이벤스타인(Harvey Lei- benstein)8)은 소비의 외부 효과로 베블렌 효과, 밴드 웨건 효과, 스놉 효과 세 가지 효과를 지적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소비자의 선택이나 수용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소비의 외부 효과들은 과시적 소비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시적 소비의 효과적 측면으로 베블렌 효과, 밴드웨건 효과, 스놉 효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메이슨(Mason)에 의해 현대적 의미로 재정의 된 과시 소비란? 그리고 베블렌은 상류계급은 전시를 위한 과시 소비의 행태를 보여주는데, 특히 부를 축적한 유한계급의 사람들은 사회경제적으로 우월한 지위를 과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과시적인 소비를 하고, 이러한 현상은 의복에 가장 잘 반영 되어 나타난다고 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과시 소비 개념은 메이슨(Mason)1)에 의해 현대적 의미로 재정의되었는데, 과시 소비란 지위 상품을 고가의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능력을 다른 사람들에게 과시하려는 욕망에 의해 자극받아 행해지는 것으로 제품의 경제적, 생리적 효용에서라기보다는 사회적 으로 자극받아 이루어지는 것이며, 소비자 행동에 있어 예외적인 행동의 한 형태로 간주하고 있다. 즉, 과시 소비는 타인에게 보이기 위한 소비로 소비를 통해서 타인에게 사회적 지위를 인정받으려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간호섭 (2008). "현대 패션에 나타난 콜레보레이션 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혜원 (1995). 의상사회심리. 서울: 교문사 

  3. 김기훈 (2006년 2월 12일). "짝퉁산업 524兆시장 '호황'." 조선일보. 

  4. 김민정, 김성숙 (2005). 소비문화와 트랜드. 서울: 태일사. 

  5. 김선미 (2009년 1월 15일). "[단독]명품의 자신감." 동아일보 

  6. 김영화 (2008년 11월 18일). "세계 각국 영부인 패 션은…." 헤럴드 경제. 

  7. 김지연 (2009). "한국 사회의 명품 소비자 유형과 소비특성: 가치 소비로서의 명품 소비 심리." 연 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정자 (2006). 로빈슨 크루소의 사치. 서울: 기파랑. 

  9. 박효경 (2006). "소비자의 명품 태도, 소비자-명품 브 랜드 관계, 명품 충성도에 관한 정성적 연구: 패션 명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신유림 (2009). "한국인의 불인정경험과 과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오성택 (2007년 5월 21일). "3명 중 1명 '짝퉁 구입 경험 있다'." 한경비즈니스. 

  12. 유송은, 이은영, 황선진 (1996). 복식 문화. 서울: 교문사. 

  13. 이금실 (2002). "한국사회의 과시적 소비 성향과 영향요인." 사회과학연구 11권 1호. 

  14. 이선희 (2007). "대학생들의 복제 상품 이용 확산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승신, 김시월 (2004). 소비자, 그리고 소비문화. 서울: 신정 

  16. 전세화 (2009년 3월 3일). "[명품 트렌드] 불황 속 명품 보수냐 혁신이냐." 주간 한국. 

  17. 차영란, 리대룡 (2003). "부유층의 심리적 특성과 소비행태의 관계 분석." 광고연구 59권. 

  18. 최순화 (2002년 9월 24일). "소비시장의 양면성." 삼성경제연구소 보고서. 

  19. 황정순 (2008). "명품소비욕망에 따른 명품과 위조품 구매태도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Danziger, Pamela N. (2005). Why People Buy Things They Don't Need( 사람들은 왜 소비하는가). 최 경남 역. 서울: 거름. 

  21. Mooij, Marieke de (2007). Consumer Behavior and Culture( 소비자행동과 문화). 김유경, 이상훈, 김 병희 역. 파주: 나남.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