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영상을 활용한 영양교육이 초등학생의 영양지식, 식습관 및 식품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Animations on the Nutrition Knowledge,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5 no.1, 2010년, pp.50 - 60  

김경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이연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nutrition education using anim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proper eating habit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classes of fourth 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차시별로 파워포인트 자료, 동영상과 노래를 이용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용 동영상 자료는 선행 연구에서 개발된 것으로 도입 시나 학습 전개 시 학생들의 흥미, 관심도, 집중도, 참여도를 높이고, 식습관 변화를 유도하고자 활용하였다. 즉 동영상은 Fig.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편식, 우유 섭취, 채소와 과일 섭취, 아침결식, 간식, 야식, 올바른 식습관 갖기 등의 주제로 개발된 동영상 교육매체를 활용하여 8주간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이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기호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학교에서 영양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올바른 식습관 확립을 위해 동영상 교육매체를 활용하여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구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개 반 29명(남 13명 여 1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8차시의 영양교육을 실시한 후 교육 전 후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기호도의 변화와 영양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등을 조사하여 교육효과를 분석하였다.
  • 이러한 결과는 영양교육 후 식습관의 변화에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한 연구들(Jung 1999; Lee 등 2005; Jang 2006)과 일치하였다. 식습관의 변화는 기대했던 만큼의 효과를 볼 수 없었지만 학생들의 영양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증가시키고, 올바른 영양지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영양지식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확립을 위한 학교와 가정에서의 영양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기초 자료 제공에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식습관 형성기에 있는 초등학생들의 식습관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8주 이상의 좀 더 장기간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식으로 인해 학령기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은? 편식이 심각한 경우에는 영양소의 결핍으로 인해 여러 가지 질병을 유발하게 되며, 특히 학령기에는 단 것이 많이 들어간 과자, 사탕류, 청량음료, 인스턴트식품을 많이 먹기 때문에 당질 편중으로 인한 단백질과 무기질, 비타민의 결핍을 초래할수 있다(Ku & Lee 2000). 또한 편식이 심한 경우 신장, 체중, 시력 등의 평균치가 낮고 성격 측면에서 지배성, 책임감, 정서적 안정감, 사교성, 자신감에 결함이 있었고, 식습관이 좋지 못한 집단은 식습관이 좋은 집단에 비하여 안정성, 사교성이 낮고 의타성이 높았으며, 육식에 대한 기호도가 높은 집단은 자신감, 성취감, 인내력, 자율성이 높았다(Kim 1982).
식습관을 효과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는 방법은? 초등학교 시기는 일생의 건강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이 시기에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식습관은 반복학습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가치관이 완전히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영양교육을 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Lee 등 2000).
초등학교 영양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도 조사 연구에서 학생들이 원하는 것은? 8%가 실습을 병행한 교육이 적당하다고 답하였고, 도시형 급식학교 학부모의 경우 특별활동반을 활용한 교육을, 농어촌형 급식학교 학부모의 경우는 재량활동시간을 활용하는 것을 더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특별활동반을 활용하여 일주일에 1시간씩 영양교육을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hn Y, Ko SY, Kim KW (2009):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4(3): 266-276 

  2. Belfry MJ, Winne PH (1998): A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in nursing education. Comput Nurs 6(2): 77-85 

  3. Cullen KW, Eagan J, Baranowski T, Owens E, de Moor C (2000): Effect of a loa carte and snack bar foods at school on children's lunchtime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J Am Diet Assoc 100(12): 1482-1486 

  4. Han HY (1997):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knowledge, attitude, food habits, food preference and plate wast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tending national school lunch program. MS thesis, Gangneung National University 

  5. Jang JY (2006):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s' nutrition classes on the knowledge, eating habits, and intake of condi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sin University 

  6. Jung MK (1999):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7. Jung SA, Lee KA (2007):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using children's book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od preferences and eating behavio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9): 1161-1171 

  8. Kim HH, Park YH, Shin EK, Bae IS, Lee YK (2006): Students' and parents' perceptions of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8): 1016-1024 

  9. Kim HJ (200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vention of unbalanced die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0. Kim JY (2007): Changes of the dietary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nutrition education.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nkkang University 

  11. Kim KN (1982):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food habits and personality. Korean J Nutr 15(3): 94-201 

  12. Kim SH, Hyun TS (2006):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website for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1(2): 218-228 

  13. Kleinman RE (2002): Diet, breakfas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hildren. Annals Nutr Metabolism 46 (1): 24-30 

  14. Ku PJ, Lee KA (2000): A surve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15(3): 201-213 

  15. Ku UH, Seo JS (2005): The status of nutrient intake and factors related to dislike of veget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0(2): 151-162 

  16. Kyeon YK. Jang YA, Kim JW (2006): Application of a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JIDIKIDS, for the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 and habits of elementary students. Korean J Nutr 39(8): 808-816 

  17. Lee JW, Lee HS, Chang NS, Kim JM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knowledge scores and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s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ing in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orean J Nutr 42(4): 338-349 

  18. Lee OH, Chang SO, Park MJ (2008): Comparison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habi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nutrition educ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11): 1427-1434 

  19. Lee SH, Shim JS, Kim JY, Moon HA (1996): The effect of breakfast regularity on eating habits,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in adults. Korean J Nutr 29(5): 533-546 

  20. Lee YJ, Kim GM, Chang KJ (2000): The analysis of effect on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hon. J Korean Diet Assoc 6(2): 86-96 

  21. Lee YK (2005): Report 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hildhood obesity management program, Gumi public health center 

  22. Lee YK, Kim YH, Shin KH, Bae IS (2007a): Guidebook for Special Activity Time In Elementary School - Health Management Class,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3. Lee YK, Shin KH, Kim YH, Bae IS (2007b): Guidebook for Special Activity Time In Elementary School - Unbalanced Diet Management Class,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4. Lee YK, Son HK (2006): Report 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lth promotion, Gumi public health center 

  25. Lee YK (2002): Report 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lth promotion, Gumi public health center 

  26. Lee YM, Lee MJ, Kim SY (2005):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 Focused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in 4th, 5th and 6th-grade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1(3):331-340 

  27. Lopez-Sobaler AM (2003): Relationship between habitual breakfast and intellectual performance (logical reasoning) in well-nourished schoolchildren of Madrid (Spain). European J Clin Nutr 57(1): 49-53 

  28. Moon HK, Park Y, Park JH (2008):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5th grade students provided by community health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 Korean Diet Assoc 14(3): 259-275 

  29. Oh YJ, Lee YM, Kim JH, Ahn HS, Kim JW, Park HR, Seo JS, Kim KW, Kwon OR, Park HK, Lee EJ, Sung HN (2008): Interview surve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utrition education and practice. Korean J Community Nutr 13(4): 499-509 

  30. Painter J, Lee YK (2002):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written diagrams to multi-media computer videos in hospitality education. J Hospit Tour Educ 14(4): 20-22 

  31. Park SJ (2000):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n Diet Assoc 6(1): 17-25 

  32. Park YH, Kim HH, Shin KH, Shin EK,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J Nutr 39(4): 403-416 

  33. Shin EK, Kim KH, Park YH,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the needs of educators, learners and parents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Diet Assoc 12(1): 89-101 

  34. Yamajaki K, Murata M (1990): Frequency of atherogenic risk factors in Japanese obese children. Diabetes Research Clinical Practice 10(1): 211-219 

  35. Yang IS (1997): Enhancing the school foodservice management through national school breakfast program. J Korean Diet Assoc 3(2): 223-2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