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장류에 대한 일부 초등학생 대상 영양교육의 효과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bout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roduc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1 no.4, 2015년, pp.441 - 447  

박윤옥 (부천 대명초등학교) ,  민성희 (세명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부) ,  이민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ducating 5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bout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 product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rom the educated group increased after nutrition education compared to the non-educated group (p<0.001). The percep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아동·청소년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우리나라 전통식품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단순 조사를 통한 기호도, 지식, 섭취실태 조사가 대부분이며(Kang MS 등 2006, Kang DH 2011, Lee KA 2013), 체험위주의 영양교육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들이 우리나라 전통식품 중 장류에 대한 우수성을 알고 소비할 수 있도록 체험위주의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교육 실시 전후의 전통장류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 기호도와 섭취빈도를 비교분석하여 영양교육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 전통장류에 대한 영양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11차시의 체험 위주 영양교육을 실시한 후 전통장류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 기호도 및 섭취빈도 등에 관한 변화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음식이란? 전통음식이란 그 민족이 정착한 자연 환경과 사회 환경에서 겪은 정치, 경제, 문화의 변화에 따라 형성된 소중한 자산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장류는 세계적으로도 관심이 높은 대표적인 Slow Food로 영양적 우수성과 과학성, 예방의학적인 측면에서 점차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Suh HJ & Kim YS 1996, Kim KK 등 2007, Kim JH 2012).
우리나라의 전통장류는 어떤 측면에서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가? 전통음식이란 그 민족이 정착한 자연 환경과 사회 환경에서 겪은 정치, 경제, 문화의 변화에 따라 형성된 소중한 자산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장류는 세계적으로도 관심이 높은 대표적인 Slow Food로 영양적 우수성과 과학성, 예방의학적인 측면에서 점차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Suh HJ & Kim YS 1996, Kim KK 등 2007, Kim JH 2012).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산업화, 국제화의 영향으로 시간과 노력이 많이 요구되는 전통음식 대신 만들기 쉽고 먹기 편한 서구식 패스트푸드와 인스턴트 식품 등의 가공식품들이 각광을 받고 있기 때문에(Jegal YH 등 2009, Oh SC & Jang JS 2015) 어린이들의 패스트푸드에 대한 기호도는 높아지는 반면 한국전통음식을 접할 기회는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Lee MY & Kim YA 2006, Kim KM 등 2013).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패턴이 증가하게 된 배경은? 우리나라의 전통장류는 세계적으로도 관심이 높은 대표적인 Slow Food로 영양적 우수성과 과학성, 예방의학적인 측면에서 점차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Suh HJ & Kim YS 1996, Kim KK 등 2007, Kim JH 2012).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산업화, 국제화의 영향으로 시간과 노력이 많이 요구되는 전통음식 대신 만들기 쉽고 먹기 편한 서구식 패스트푸드와 인스턴트 식품 등의 가공식품들이 각광을 받고 있기 때문에(Jegal YH 등 2009, Oh SC & Jang JS 2015) 어린이들의 패스트푸드에 대한 기호도는 높아지는 반면 한국전통음식을 접할 기회는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Lee MY & Kim YA 2006, Kim KM 등 2013). 서구화된 식생활패턴은 소아비만과 같은 식생활 관련 만성질환을 증가시킬 뿐 만아니라 미래의 건강에까지 영향을 미쳐(Lee KA 2013) 건강수명에도 큰 지장을 초래 할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ng HM. 2013. Effect and continuation of dietary life education elementary student-Focus on the theoretical learning and experimental leaving. Master's thesis. Chonnam University. Gwangju, Korea. pp 36-38 

  2. Boo CS, Kim JH, Kim MC, Lim SB. 2010. A study on priorities calculation among the attritbutes and products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Korean J Culin Res 16(2):322-329 

  3. Jegal YH, Hong KW, Yroo KM. 2009. A study on teenagers' selection attributes and satisfaction of fast food menu. Korean J Culin Res 15(2):108-120 

  4. Kang DH. 2011. Recognition of traditional foods and isoflavones intake from soybean food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pp 17-53 

  5. Kang MS, Lee EH, Chyun JH 2006.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food consum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urban and rural area. J Korean Soc Food Culture 21(4):357-365 

  6. Kim JH. 2012. A study on the consumer's perception of Korean tradf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Seoul and Kyunggi-do. Korean J Nutr 45(6):577-587 

  7. Kim JH, Jeon SK, Lee MJ 2009. A study of integrated dietar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extbook an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I) - Part 2: Application of integrated dietar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Pr Arts Educ 23(4):1-18 

  8. Kim KK, Park HC, Son HJ, Kim YG, Lee SM, Choi IS, 2007.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paste with chopi. J Life Sci 17(8):1121-1128 

  9. Kim, KM, Kwon YS, Kwon, Kim YS, Kim GC, Kim Y. 2013.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regarding Korean rraditional food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8(2):167-176 

  10. Kim NY, Han MJ 2007. Recogni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and soysauce of housewives according to age in Seoul. Korean J Food Cook Sci 23(6):867-876 

  11. Kim SM, 2002.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n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among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Korea. pp 43-54 

  12. Kim YS, Han YB. 1994.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 of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in Seoul and Jeonju.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6(2):73-83 

  13. Kim YS, Lee MJ. 2011.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social cognitive theo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4(2):246-257 

  14. Ko MJ, Kim YH. 2012. The effects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practical problem solutions to the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Pr Arts Edu 25(2):151-172 

  15. Lee JW. 2004.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preparing and management of Korean traditional soybean sauces by Korean families and soybean food industry. Master's thesis. Hankyung University. Anseong, Korea. pp 17-32 

  16. Lee JW, Lee HS, Chang NS, Kim JM.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knowledge scores and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s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ing in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orean J Nutr 42(4):338-349 

  17. Lee KA 2013.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s of traditional Korean foods, based on the health benefit model. Korean J Nutr 46(1):86-97 

  18. Lee MY, Kim YA. 2006.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and fast food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Ansan area. J Korean Home Econ 44(10):109-120 

  19. Oh SC, Jang JS. 2015. The relationship of food-related lifestyle type and fast food consumption behavior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 Korean J Food Nutr 28(1):119-125 

  20. Suh HJ, Kim YS. 1996. Functionality and inhibitory effect of soybean hydrolysate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Korean J Food Nutr 9(2):167-175 

  21. Woo TJ, Lee KH 2011. Development of a sensory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guidebook for preference improvement toward traditional Korean foods in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44(4):303-311 

  22. Yoon SJ, Kim HS 2010. Meal practice and perceptions of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Culture 25(5):558-5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