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집분석을 이용한 응급실 간호사-환자 상호작용 유형 및 환자의 상호작용 만족도
Nurse-Patient Interaction Patterns and Patient Satisfac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1, 2010년, pp.99 - 109  

김은정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ive nurse interaction patterns with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Methods: For this study, video technology was used to record complete conversations between the nurse and patient. The participants were 28 nurses and 63 patients i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oing more 유형에서는 간호사가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간호이외에 무언가를 더 하는 유형으로 일상적으로 요구되는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환자에게 보내며 환자 중심적이다. 돌봄을 제공하기 위해 환자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며 환자의 관심과 증상에 대해 알고자 한다. Doing for 유형에서는 환자의 처치와 관련되지 않는 요구에도 반응하는 것이 주요 특성으로 환자에 개별적 접근을 한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환자 상호작용 분석틀을 이용하여 응급실에서의 간호사-환자 상호작용 유형을 설명하고자 하는 분석적 탐색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간호사와 환자 간 상호작용 유형 및 환자의 상호작용 만족도를 확인하여 응급실에서 효과적인 상호작용 유형을 설명하고자 하는 분석적, 탐색연구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간호의 한 영역으로 간호사-환자 상호교환속에서의 상호작용 행위를 분석하여 응급실에서의 효과 적인 상호작용 유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상호작용 유형은 상호작용 행위를 대상변수로 하여 군집분석을 이용하였으며 폐쇄적, 긍정적, 정보 및 지시적, 촉진적 등의 4개의 간호사 상호 작용 유형이 확인되었다.
  • 셋째, 응급실 간호사의 상호작용 유형별 환자의 상호작용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이에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특성상 정서적 내용의 대화뿐만 아니라 질환 및 처치, 검사 등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고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Roter의 분석 체계를 이용하여 간호사와 환자간의 모든 대화를 분석하여 응급실 간호사-환자 간의 상호작용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별로 환자의 상호작용 만족도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환자의 상호작용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효과적인 상호작용 유형을 확인하는 것은 응급실 간호사의 의사소통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 추가적으로 간호사에 따라 상호작용의 유형이 고정적인지 또는 같은 간호사일지라도 서로 다른 유형을 사용하는지 확인하여 보았다. 28명의 간호사 중 16명이 2회 이상 4회까지 대상자가 되었으며 이 중 6명은 매 사례마다 동일한 유형의 상호작용을 보이고 있는 반면 10명은 2가지 이상의 상호작용 유형을 사용하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은? 응급실 간호사는 환자의 신체적 안위를 증진시키는 간호중재뿐만 아니라 환자의 고통이나 불안을 최소화할 책임을 갖는다. 특히 응급실이라는 낯선 환경에서 질병이나 사고로 통증 및 불안을 경험하는 환자 및 가족들을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으로 편안하게 해주는 간호를 일차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의사와 환자 간 상호작용에 있어 의사의 대화 유형에는 무엇이 있나? 의사와 환자 간 상호작용을 분석한 Roter 등 (1997)의 연구에서는 의사의 대화 유형이 다섯 가지로 확인되었다. 주로 의학적 관심으로 폐쇄적 질문을 주로 하는 생의학적(narrowly biomedical) 유형, 심리사회적 상담을 좀 더 해주는 확장된 생의학적(expanded biomedical) 유형, 심리사회적, 의학적 대화가 균형을 이루는 생심리사회적(biopsychosocial) 유형, 심리사회적 대화가 주를 이루는 심리사회적(psychosocial)유형, 환자의 질문에 정보를 제공하는 대화가 주를 이루는 소비자(consumerist) 유형이었으며 환자의 만족도는 심리사회적 유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간호사-환자 상호작용 행위란? 간호사-환자 상호작용 행위란 간호사-환자 간에 일어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즉 간호사-환자 간의 대화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이에 동반되는 간호행위, 그리고 당시 환자 간호상황(Kasch & Lisnek, 1984; Morse, Havens, & Wilson, 1997)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ottorff, J. L., & Morse, J. M. (1994). Identifying types of attending: Patterns of nurses' work.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6, 53-60. 

  2. Bowles, N., Mackintosh, C., & Torn, A. (2001). Nurses' communication skills: An evaluation of the impact of solution-focused communication train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6, 347-354. 

  3. Caris-Verhallen, W. M., Gruijter, I. M., Kerkstra, A., & Bensing, J. M. (1999). Factors related to nurse communication with elderly peopl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0, 1106-1117. 

  4. Caris-Verhallen, W. M., Kerkstra, A., Heijden, P. G., & Bensing, J. M. (1998). Nurse-elderly patient communication in home care and institutional care: An explor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5, 95-108. 

  5. Chang, S. O., & Park, Y. J. (1999). The study on the communication barrier for nurses in clinical setting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6, 130-140. 

  6. Eleanor, H., Cheung, Y. K., Cheung, S. W., Luk, F. S., & Wong, W. W. (1998). A Chinese cultural perspective of nursing care behaviors in an acute sett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8, 1289-1294. 

  7. Hall, J. A., Irish, J. T., Roter, D. L., Ehrlish, C. M., & Miller, L. H. (1994). Satisfaction, gender, and communication in medical visit. Medical Care, 32, 1216-1231. 

  8. Hawley, M. P. (2000). Nurse comforting strategies: Perceptions of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Clinical Nursing Research, 9, 441-459. 

  9. Hewison, A. (1995). Nurses' power in interactions with pati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1, 75-82. 

  10. Jarrett, N., & Payne, S. (1995). A selec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on nurse-patient communication: Has the patient's contribution been neglected?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2, 72-78. 

  11. Kang, B. S., & Kim, K. S. (2001). Social science statistical analysis. Seoul: SPSS Academy. 

  12. Kasch, C. R., & Lisnek, P. M. (1984). Role of strategic communication in nursing theory and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7, 56-71. 

  13. Kim, D. H. (2002). Understanding experience of nurses dealing with difficult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 62-77. 

  14. Kim, E. J. (2005). The nurse-patient interaction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004-1013. 

  15. Kim, Y. M., Kols, A., Thuo, M., Mucheke, S., & Odallo, D. (1997). Client-provider communication in family planning: Assessing audiotaped consultations from Kenya, Working Paper Number 5.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Public Health Center for Communication Programs. 

  16. Kishi, K. I. (1983). Communication patterns of health teaching and information recall. Nursing Research, 32, 230-235. 

  17. Kruijver, I. P, Kerkstra, A., Bensing, J. M., & Van de Wiel, H. B. (2001). Communication skills of nurses during interactions with simulated cancer pati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4, 772- 779. 

  18. Leathart, A. J. (1994). Communication and socialization (1): An exploratory study and explanation for nurse-patient communication in an ICU. Intensive &Critical Care Nursing, 10, 93-104. 

  19. Lee, D. W. (2000). A conversational analysis of doctor-patient communicati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Communication studies, 45, 232-265. 

  20. Lee, J. Y., & Song, M. S. (1998). The types and perceptions of touch in nurse-elderly patient interac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0, 61-75. 

  21. Lim, S. L. (1998).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effect of gender, demanding status difference, and persona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2. Morse, J. M., Havens, G. A., & Wilson, S. (1997). The comforting interaction: Developing a model of nurse-patient relationship. Scholarly Inquiry for Nursing Practice, 11, 321-340. 

  23. Park, J. W. (2000). The experiences of psychiatric patients about nurse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9, 35-43. 

  24. Roter, D. (1997). The Roter method of interaction process analysis. Baltimore, MD: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Hygiene and Public Health, Department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5. Roter, D., & Hall, J. (1987). Physician's interviewing styles and medical information obtained from patient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 325-329. 

  26. Roter, D., Hall, J., Merisca, R., Bordstrom, B., Cretin, D., & Svarstad, B. (1998).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to improve patient compliance: A meta-analysis. Medical Care, 36, 1138-1161. 

  27. Roter, D., & Larson, S. (2002). The Roter interaction analysis system (RIAS): Utility and flexibility for analysis of medical interaction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46, 243-251. 

  28. Roter, D., Stewart, M., Putnam, S. M., Lipkin, M., Stile, W., & Inui, T. S. (1997). Communication patterns of primary care physician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7, 350-356. 

  29. Sandvik, M., Eide, H., Graugaard, P. K., Torper, J., & Finset, A. (2002). Analyzing medical dialogues: Strength and weakness of Roter's interaction analysis system (RIAS). Patient Education Counseling, 46, 235-241. 

  30. Shin, H. S. (2002). Analysis of metacommunicative behaviors between nurses and patients in a pediatric uni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31. Sitzia, J., & Wood, N. (1997). Patient satisfaction: A review of issues and concepts. Social Science Medicine, 45, 1829-1843. 

  32. Sondell, K., Soderfeldt, B., & Palmqvist, S. (2002). Dentist-patient communication and patient satisfaction in prosthetic dentistr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rosthodontics, 15, 28-37. 

  33. Wilkinson, S. (1991). Factors which influence how nurses communicate with cancer pati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6, 677- 688. 

  34. Wilkinson, S., Gambles, M., & Roberts, A. (2002). The essence of cancer care: The impact of training on nurses' ability to communicate effectivel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0, 731-73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