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간질 환아에서 Lamotrigine 초기 단독 요법의 효능 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lamotrigine monotherapy in newly diagnosed pediatric patients with epilepsy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53 no.4, 2010년, pp.565 - 570  

한지혜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오정은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김선준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LTG의 국외에서의 임상 연구는 다양한 발작과 간질증후군에 단일 또는 보조요법으로서 넓은 범위의 작용을 한다고 보고되었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소아연령에서의 LTG 초기 단일요법에 대한 연구보고가 거의 없다. 이에 저자들은 단일 병원의 전향적 자료 분석을 통한 소아 간질 환자에서의 단일 LTG 약물요법의 효용성과 안정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9월부터 2009년 6월까지 간질약 복용 병력이 없이 간질로진단 받고 LTG을 복약하였던 소아 환자 148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통해 효용성과 안정성을 연구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 중 초기 단일 요법으로 LTG을 복용 후 최소 6개월간 외래 추적 관찰했을 때 발작이 전혀 없었던 환아(완전 관해군)는 87명(78.4%, n=111)이었고 발작 감소를 보인 환아(부분 관해군)는 13명(11.7%), 발작이 이전과 같은 빈도이거나 오히려 악화된 경우(발작 지속군)는 11명(9.9%)이었고 부작용인 피부발진과 틱 장애로 LTG복약을 중지해야만 했던 환아가 8명이었다. 발작의 유형에 따른 치료 결과는 완전 관해군을 기준으로 할 때 부분 간질에서 전신간질보다 발작 완해률이 81.6% vs 44.8 %로 더 높았다(${\kappa}^2$=26.75, $P$<0.05). 발작 유형별로는 각각 CPS가 41명(75.9%, n=54), BRE가 30명(90.9%, n=33) absence seizure가 3명(30.0%, n=10) JME가 5명(35.7%, n=14), IGE가 5명(100.0%, n=5)으로 완전 관해 되었고 IGE와 BRE에서 완전 관해률이 각각 100.0%, 90.9%로 높았다. 투약 기간 중 부작용이 관찰된 환아는 모두 17명(14.3%, n=119)이었다. 피부 발진이 11명, 틱 장애가 3명, 간염이 1명, 결막염이 1명, 졸림이 1명에서 관찰되었고 피부 발진이 생긴 환아 11명 중 7명은 발진이 심하여, 1명은 틱 증상이 심하여 투약을 중지하였다. Stevens-Johonson 증후군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생겼던 환아는 없었다. 결 론: 본 연구 결과 LTG 초기 단일요법의 효용성은 국외 보고와 비교하여 우수하거나 큰 차이가 없었으며, 위중한 부작용 사례는 없었다. 소아 간질 환자, 특히 양성 로란딕 간질 환자와 특발성 전신발작 환자에서 LTG의 초기 단일 요법 치료에 매우 우수한 것으로 사료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o verify the efficacy and safety of lamotrigine (LTG) monotherapy in newly diagnosed children with epilepsy. Methods : We prospectively enrolled 148 children who had undergone LTG monotherapy at our institution between September 2002 and June 2009. Twenty-nine patients were excluded: 19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 : 본 연구 결과 LTG 초기 단일요법의 효용성은 국외 보고와 비교하여 우수하거나 큰 차이가 없었으며, 위중한 부작용 사례는 없었다. 소아 간질 환자, 특히 양성 로란딕 간질 환자와 특발성 전신발작 환자에서 LTG의 초기 단일 요법 치료에 매우 우수한 것으로 사료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소아연령에서의 LTG 초기 단일요법에 대한 연구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단일 병원의 전향적 연구를 통한 소아 간질 환자에서의 단일 LTG 약물요법의 효용성과 안정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소아연령에서의 LTG 초기 단일 요법에 대한 연구보고가 거의 없다. 이에 저자들은 단일 병원의 전향적 자료 분석을 통한 소아 간질 환자에서의 단일 LTG 약물 요법의 효용성과 안정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TG의 대사와 배설은 어디서 이루어지는가? 뇌에서 측정된 약물농도는 혈중 농도와 비슷하다. 주로 간에서 대사되며, 투여량의 43-87%가 소변에서 주로 glucuronide 대사물의 형태로 배설된다. 약물의 반감기는 22.
항경련제의 단일 요법이 가지는 장점은 무엇인가? 항경련제의 단일요법은 복합요법보다 좋은 순응도와, 적은 약물 상호작용, 적은 부작용, 적은 기형유발가능성, 적은 비용 등의 장점 때문에 더 이로우며 특히 복합요법을 하는 소아간질 환자에서 단일요법으로 바꿀 때 부작용을 줄여주면서 경련조절을 할 수 있어 더욱 추천되어진다.
Lamotrigine은 어떤 작용으로 항경련효과를 나타낸다고 추측되는가? Lamotrigine (3.5-diamino-6-(2,3-dichlorophenyl-1,2, 4-triazine)은 이전의 항경련제와는 전혀 다른 구조를 가진 약물로 중추신경계내의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glutamate의 과도한 방출을 막아줌으로 항경련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어지는데 이 작용은 N-methyl-D-aspartate (NMDA)수용체에 작용하는 흥분성 아미노산의 길항체의 역할을 포함한다13-15). 이는 신경전접합부의 나트륨 통로를 방해하여 막 안정화효과를 통해 반복되는 나트륨 이온의 내부이동을 막음으로 얻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Von Wegerer J, Hesslinger B, Berger M, Walden J. A calcium antagonistic effect of the new antiepileptic drug lamotrigine. Eur Neuropsychopharmacol 1997;7:77-81. 

  2. Xie X, Lancaster B, Peakman T, Garthwaite J. Interaction of the antiepileptic drug lamotrigine with recombinant rat brain type IIA Na+channels and with native Na+channels in rat hippocampal neurons. Pflugers Arch 1995;430:437-46. 

  3. Goa KL, Ross SR, Chrisp P. Lamotrigine. A review of its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clinical efficacy in epilepsy. Drugs 1993;46:152-76. 

  4. Barron TF, Hunt SL, Hoban TF, Price ML. Lamotrigine monotherapy in children. Pediatr Neurol 2000;23:160-3. 

  5. Duchowny M, Pellock JM, Graf WD, Billard C, Gilman J, Casale E et al. A placebo-controlled trials of lamotrigine add-on therapy for partial seizures in children. Neurology 1999;53:1724-31. 

  6. Buchanan N. The efficacy of lamotrigine on seizure control in 34 children, adolescent and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and physical disability. Seizure 1995;4:223-6. 

  7. Coppola G, Auricchio G, Federico R, Carotenuto M, Pascotto A. Lamotrigine versus valproic acid as first-line monotherapy in newly diagnosed typical absence seizures an openlabel, randomized, parallel-group study. Epilepsia 2004;45: 1049-53. 

  8. Motte J, Trevathan E, Arvidsson JF, Barrera MN, Mullens EL, Manasco P. Lamotrigine for generalized seizures associated with the Lennox-Gastaut syndrome. Lamictal Lennox- Gastaut Study Group. N Engl J Med 1997;337:1807-12. 

  9. Frank LM, Enlow T, Holmes GL, Manasco P, Concannon S, Chen C et al. Lamictal(lamotrigine) monotherapy for typical absence seizures in children. Epilepsia 1999;40:973-9. 

  10. Mikati MA, Holmes GL. Lamotrigine in absence and primary generalized epilepsies. J Child Neurol 1997;12 Suppl 1: S29-37. 

  11. Richens A, Yuen AW. Overview of the clinical efficacy of lamotrigine. Epilepsia 1991;32 Suppl 2:S13-6. 

  12. Commission on classification and terminology of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Proposal for revised clinical and electrographic classification of epileptic seizures. In: Wyllie E. editor. The treatment of epilepsy. 3r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1:291-7. 

  13. Timmings PL, Richens A. Lamotrigine as and add-on drug in the management of Lennox-Gastaut syndrome. Eur Neurol 1992;32:305-7. 

  14. Cheung H, Kamp D, Harris E. An in vitro investigation of the action of lamotrigine on neuronal voltage-activated sodium channels. Epilepsy Res 1992;13:107-12. 

  15. Smith SE. al-Zubaidy ZA, Chapman AG, Meldrum BS. Excitatory amino acid antagonists, lamotrigine and BW 1003C87 as anticonvulsants in the genetically epilepsy-prone rat. Epilepsy Research 1993;15:101-11. 

  16. Pellock JM. The clinical efficacy of lamotrigine as an antiepileptic drug. Neurology 1994;44 Suppl 8:S29-35 

  17. Rambeck B, Wolf P. Lamotrigine clinical pharmacokinetics. Clinical Pharmacokinetics 1993;25:433-43. 

  18. Gamble CL, Williamson PR, Marson AG. Lamotrigine versus carbamazepine monotherapy for epilepsy.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Issue 3, 2009. 

  19. Prasad A, Kuzniecky RI, Knowlton RC, Welty TE, Martin RC, Mendez M, et al. Evolving antiepileptic drug treatment in juvenile myoclonic epilepsy. Arch Neurol 2003;60:1100- 5. 

  20. Pina-Garza JE, Elterman RD, Ayala R, Corral M, Mikati MA, Pina-Garza MJ et al. Long-term tolerability and efficacy of lamotrigine in infants 1 to 24 months old. J Child Neurol 2008;23:853-61. 

  21. Barron TF, Hunt SL, Hoban TF, Price ML. Lamotrigine monotherapy in children Pediatr Neurol 2000;23:160-3. 

  22. Ignacio Valencia, Gerard Pinol-Ripoll, Divya S. Khurana, Huntley Hardison, Sanjeev V. Kothare, Joseph J.Melvin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lamotrigine monotherap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pilepsy. Eur J Paediatr Neurol 2009; 13:141-5. 

  23. Coppola G, Licciardi F, Sciscio N, Russo F, Carotenuto M, Pascotto A. Lamotrigine as first-line drug in childhood absence epilepsy: a clinical and neurophysiological study. Brain Dev 2004;26:26-9. 

  24. Peltola J, Peltola M, Auvinen A, Raitanen J, Fallah M, Keranen T. Retention rates of new antiepileptic drugs in localization- related epilepsy: a single center study. Acta Neurol Scand 2009;119:55-60. 

  25. Duchowny M, Gilmaan J, Messenheimer J, Womble G, Risner M. Long-term tolerability and efficacy of lamotrigine in pediatric patients with epilepsy. J Child Neurol 2002;17: 278-85. 

  26. Messenheimer JA, Giorgi L, Risner ME. The tolerability of lamotrigine in children. Drug Saf 2001;22:303-12. 

  27. Shechter T, Shorter Z, Kramer U, Lerman-Sagie T, Ronen E, Rotem R et al. Adverse reaction of topiramate and lamotrigine in children. Pharmacoepidemiol Drug Saf 2005;14: 187-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