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후지' 사과의 우량 측지묘/M.9 EMLA를 이용한 밀식재배원의 조기 생산성 평가
Evaluation of Early Productivity of High Density 'Fuji' Apple Orchards by Planting Well-feathered Trees/M.9 EMLA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8 no.3, 2010년, pp.374 - 380  

양상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박무용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송양익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사공동훈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윤태명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초록

'후지'/M.26 회초리묘(직경 10mm)는 $4.0{\times}2.0$m, '후지'/M.9 EMLA 우량 측지묘(측지 수 5.2, 직경 13mm)는 $4.0{\tiems}1.5$m로 심어 세장방추형으로 키우면서 재식 6년 차까지의 생산성 및 수량효율을 비교하였다. M.9 EMLA 우량 측지묘 재식의 경우 재식 2년차에 이미 주당 수관용적이 $2.07m^3$에 달하였고 4년차에 $2.9m^3$의 성목 수관에 도달하였으나 M.26 회초리묘목 재식의 경우 초기 1-2년은 생육속도가 느리다가 3년차부터 수관용적이 빠르게 증가하여 5년차에야 주어진 공간을 채우는 수관용적 $5.6m^3$에 도달하였다. 10a당 수량에 있어 M.9 EMLA는 재식 2년차에 0.3톤의 사과 수확을 시작으로 5년차 4.6톤으로 성과기에 도달하였으나, M.26의 경우 3년차에 처음으로 0.5톤의 사과를 수확하기 시작하여 6년차에도 수확량이 3.8톤에 그쳤다. 재식 6년차까지의 누적생산량은 M.9 EMLA 측지묘목 재식은 13.9톤인 반면에 M.26 회초리 묘목 재식은 9.8톤에 불과하였다. 6년간 평균과중은 M.9 EMLA 308g으로 M.26의 295g에 비해 무거웠다. 결론적으로 M.9 EMLA와 같은 왜화도가 높은 대목을 이용하고 우량 측지묘를 심어 고밀식으로 재배하는 것이 M.26 대목의 회초리 묘목을 넓게 심어 재배하는 관행재배보다 2년차부터 수확이 가능하여 5년차에는 성과기에 도달하는 조기 다수확이 실현되고, 수량효율성도 높아 우월한 재배체계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ll-feathered (5.2 feathers, stem diameter 13 mm) trees of 'Fuji' apple/ M.9 EMLA were planted at $4.0{\tiems}1.5$ m and whip trees (stem diameter 10 mm) of 'Fuji'/M.26 at $4.0{\times}2.0$ m were trained to the slender spindle. The productivity and yield efficiency of two or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단위면적당 TCA 및 수관용적은 재식 6년차 마지막 TCA 및 수관용적에 10a당 재식주수를 곱한 뒤 단위면적(10a)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10월 말에 수확하여 주당 수량을 조사하였고 수량효율은 12월에 측정한 TCA당(cm2) 주당 생산량 및 수관용적당(m3) 주당 생산량으로 나타내었다. 누적 생산효율은 재식 6년 차의 마지막 TCA, 수관용적에 대한 6년까지의 누적생산량으로 나타내었다.
  • 26 회초리묘를 이용한 관행재배와 ‘후지’/M.9 EMLA 측지묘를 이용한 고밀식 재배체계를 비교, 검토하였다.
  • EMLA와 M.26 자근대목에 접한 ‘후지’ 묘목을 재식하였다.
  • 수관용적은 1/3πr2h(r=수폭의 반지름, h=수고-첫 측지 위치)으로 계산하였다(Robinson 등, 1991). 단위면적당 TCA 및 수관용적은 재식 6년차 마지막 TCA 및 수관용적에 10a당 재식주수를 곱한 뒤 단위면적(10a)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10월 말에 수확하여 주당 수량을 조사하였고 수량효율은 12월에 측정한 TCA당(cm2) 주당 생산량 및 수관용적당(m3) 주당 생산량으로 나타내었다.
  • 26(4열로 28주/열 재식)의 중간 열(2, 3열)에 있는 나무 중 균일한 세력을 가진 나무 각 10주씩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생육이 정지된 후에 수고, 수폭과 주당 20개의 선단 신초 길이를 조사하였다. 주간단면적(TCA, trunk cross section area)은 접목부 상부 10cm위치에서 산출하였다.
  • 시비는 1년간 부숙 시킨 퇴비(우분)를 매년 이른 봄에 주당 3kg씩 주었으며, 화학비료는 시용하지 않았다. 세장방추형을 목표로 대목과 묘목소질에 따라 상이한 방법으로 수형을 만들어 나갔다.
  • 3년 차에는 주간연장지를 자르지 않고 유인과 아상으로 측지발생을 유도하였다. 수고는 3.0-3.5m에서 제한하면서 측지의 기부 직경이 주간 직경의 2/3를 넘어서는 강한 측지와 서로 겹치는 측지는 적절히 솎아주는 방법으로 전정하였다.
  • 생육이 정지된 후에 수고, 수폭과 주당 20개의 선단 신초 길이를 조사하였다. 주간단면적(TCA, trunk cross section area)은 접목부 상부 10cm위치에서 산출하였다. 수관용적은 1/3πr2h(r=수폭의 반지름, h=수고-첫 측지 위치)으로 계산하였다(Robinson 등, 1991).
  • 신초발생 초기에 이쑤시개를 끼워 분지 각을 넓히고 세력에 따라 유인의 정도를 달리하였다. 주간연장지를 약한 결실지로 대체시키는 방법으로 수고를 2.5-3.0m로 제한하였고 세력이 강하거나 과밀한 측지는 솎음전정으로 제거하였다.
  • 직경 20mm의 쇠파이프로 높이 2.5m의 개별 지주를 세우고 점적관수로 토양수분을 관리하였다. 시비는 1년간 부숙 시킨 퇴비(우분)를 매년 이른 봄에 주당 3kg씩 주었으며, 화학비료는 시용하지 않았다.

대상 데이터

  • 1996년부터 2001년까지 경북 군위군 소보면 소재 농진청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시험포장에서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1995년 말에 포장을 정비하여 4.
  • 재식된 M.9 EMLA(4열로 37주/열 재식)와 M.26(4열로 28주/열 재식)의 중간 열(2, 3열)에 있는 나무 중 균일한 세력을 가진 나무 각 10주씩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생육이 정지된 후에 수고, 수폭과 주당 20개의 선단 신초 길이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과농사를 포기하는 농가가 증가한 배경은 무엇인가? 그렇지만 관행의 교목재배에 비해서는 일찍 수확이 가능하고 수고도 낮아 나름대로 재배체계가 정착될 수 있었다. 그러나 재배기술의 보편화로 사과재배면적이 빠르게 늘어난데다 배, 감귤, 단감 등 경쟁 과종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더구나 1990년대 중반부터 국내 과실시장이 개방되면서 사과가격의 급락을 가져와 사과농사를 포기하는 농가가 속출하게 되었다(Oh, 1998; Yoon, 2004). 이러한 사과산업의 위기를 타파하고자, 유럽에서 널리 보급되고 있는 M.
우리나라의 M.9 측지묘를 이용한 밀식 사과재배는 어느 지역을 모델로 사용하는가? 우리나라의 M.9 측지묘를 이용한 밀식 사과재배는 이태리 남티롤지역을 모델로 하고 있는데(Yoon 등, 2005), 남티롤을 비롯한 유럽에서는 ‘후지’/M.9의 경우 우량한 측지묘를 재식거리 3.
M.26 이중접목 회초리묘목을 4.0-5.0×2.0-3.5m(571-1,250주/ha)로 심은 방법의 부족한 점은? 5m(571-1,250주/ha)로 재식 하여왔다(Yoon, 2004). 이러한 재식체계는 비록 왜성대목을 이용하였으나 실생대목이 붙은 이중접목 회초리묘목을 심어 절단 중심으로 수관을 형성시켰기 때문에 조기다수확이나 인력 절감이라는 왜화재배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지는 못하였다(Oh, 1998). 그렇지만 관행의 교목재배에 비해서는 일찍 수확이 가능하고 수고도 낮아 나름대로 재배체계가 정착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rden J.A and G.H. Neilsen. 2003. Selecting the orchard site, site preparation and orchard planning and Establishment. p. 237-265. In: D.C Ferree and I.J. Warrington (eds.). Apples; botany, production and uses. CABI Publishing, Cambridge, MA, USA. 

  2. Barritt, B.H., B.S. Konishi, and M.A. Dilley. 1997. Tree size and biennial bearing relationships with 40 apple rootstocks and three scion cultivars. Acta Hort. 451:105-112. 

  3. Claytion-Greene, K.A. 1993. Influence of orchard management system on yield, quality and vegetative characteristics of apple trees. J. Hort. Sci. 68:365-369. 

  4. Costa, G., E. Beltrame, P. Eccher, and A. Pianezzola. 1997. High density planted apple orchards: Effects on yield, performance and fruit quality. Acta Hort.. 451:505-511. 

  5. Cripps, K.E.L., F. Melville, and H.I. Nicol. 1975. The relationship of Granny Smith apple tree growth and early cropping to planting density and rectangularity. J. Hort. Sci. 50:291-299. 

  6. Eccher, T and G. Granelli. 2006. Fruit quality and yield of different apple cultivars as affected by tree density. Acta Hort. 712: 535-540. 

  7. Ferree, D.C. 1980. Canopy development and yield efficiency of 'Golden Delicious' apple trees in four orchard management systems. J. Amer. Soc. Hort. Sci. 105:376-380. 

  8. Ferree, D.C. 1994. Early performance of two apple cultivars in three training systems. HortScience 29:1004-1007. 

  9. Forshey, C.G and D.A. Elfving. 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vegetative growth and fruiting in apples. Hort. Rev. 11:229-287. 

  10. Granger, R.L., G.L. Rousselle, and A. charland. 1986. Effect of planting densities, rootstocks and training systems on the Spartan apple cultivar. Acta Hort. 160:105-113. 

  11. James, P. 1997. Performance of 3 apple cultivars on 6 rootstocks during the first 6 seasons at Lenswood, South Australia. Acta Hort. 451:163-169. 

  12. James, P.A and S.G. Middleton. 2001. Apple cultivar and rootstock performance at lenswood, South Australia. Acta Hort. 557: 235-241. 

  13. Meyer, G. 1997. Die Wahl der Pflanzendichte unter Berucksichtigung anbautechnischer Kriterien. Mitteilungen des Obstbauversuchsringges des Alten Landes 52:203-214. 

  14. Ogata, R., K. Goto, T. Kunisawa, and R. Harada. 1986. Productivity and fruit quality of four apple cultivars on three different rootstocks and at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Acta Hort. 160:97-104. 

  15. Oh, S.D. 1998. Emphasis on low tree & high density planting system -Future prospects of research strategies in Korea-. Kor. J. Hort. Sci. Technol. 16:264-268. 

  16. Palmer, J. W., and H. M. Adams. 1997. Early results with intensive systems of apples on virus-free M.9 rootstock in New Zealand. Acta Hort. 451:487-493. 

  17. Robinson, T.L. 2003. Apple-orchard planting systems. p. 345-407. In: D.C Ferree and I.J. Warrington (eds.). Apples; botany, production and uses. CABI Publishing, Cambridge, MA, USA. 

  18. Robinson, T.L., A.N. Lakso, and S.G. Carpenter. 1991. Canopy development, yield, and fruit quality of 'Empire' and 'Delicious' apple trees grown in four orchard production systems for ten years. J. Amer. Soc. Hort. Sci. 116:179-187. 

  19. Robinson, T.L., J.N. Cummins, S.A. Hoying, and W.H. Smith. 1997. Commercial orchard evaluation of the new cornell-geneva apple rootstocks. Acta Hort. 451:113-119. 

  20. Sansavini, S., B. Marangoni, C. Buscaroli, L. Corelli, and G. Tazzari. 1986.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ing and rootstock effects in an intensive planting trial of two apple cultivars. Acta Hort. 160:23-37. 

  21. Tustin, D.S., P.M. Hirst, W.M. Cashmore, I.J. Warrington, and C.J. Stanley. 1993. Spacing and rootstock studies with central leader apple canopies in a high vigour environment. Acta Hort. 349:169-177. 

  22. Weber, M.S. 2001. Optimizing the tree density in apple orchards on dwarf rootstocks. Acta Hort. 557:229-234. 

  23. Wertheim, S.J. 1985. Productivity and fruit quality of apple in single-row and full-field planting systems. Sci. Hort. 26: 191-208. 

  24. Wertheim. S.J. 2005. Planting system and tree shape. p. 190-203. In: J. Tromp., J.T. Webster and S.J. Wertheim (eds.). Fundamentals of temperate zone tree fruit production. Backhuys Publishers, Leiden. 

  25. Widmer, A and C. Krebs. 2001. Influence of planting density and tree form on yield and fruit quality of 'Golden Delicious' and 'Royal Gala' apples. Acta Hort. 557:235-241. 

  26. Yoon, T.M. 2004. Development of high density apple growing in Europe and Korea. In: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recent high density apple growing techniques and prospects. p. 79-97.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27. Yoon, T.M., H.S. Park, and D.H. Sagong. 2005. Effect of root pruning on tre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Fuji'/M.9 apple trees. Kor. J. Hort. Sci. Technol. 23:275-281. 

  28. Ystaas, J., O. Frynes, and M. Meland. 1997. Evaluation of 9 apple rootstocks the first cropping years in a northern climate. Acta Hort. 451:147-151. 

  29. Yun, C.J. 1998. The Present Situation of Research for Densing Cultivation as an Apple Rootstock in Korea. Kor. J. Hort. Sci. Technol. 16:261-2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