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Methylcyclopropane 처리가 토마토 선도유지 효과 및 색소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 (1-MCP) Treatmen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igmentation of Tomato Fruit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8 no.4, 2010년, pp.600 - 608  

이윤석 (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정대성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미시간주립대학교 패키징학과) ,  신중민 (위스콘신대학교 패키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마토 에틸렌 발생 억제제인 1-Methylcyclopropane(1-MCP) 처리 방법 및 저장 온도에 따른 토마토의 선도 유지 그리고 토마토 과색의 주요 성분인 엽록소라이코펜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확한 토마토는 무처리 그리고 $1.0{\mu}L/L$ 1-MCP를 사용하여 20시간 한번 처리 또는 매일 한 번씩 지속 처리를 통하여 각각 12, 17, $23^{\circ}C$에 저장하여 토마토의 색소 성분의 변화와 품질변화를 관찰하였다. 토마토 외피 색변화, 에틸렌 발생, 그리고 경도는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1-MCP 처리에 대한 품질변화 지연효과가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중량감모율은 저장 기간 동안 1-MCP처리 유무와 관계없이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저장온도가 높음에 따라 증가하는 차이를 보였다. 엽록소 및 라이코펜 함량 변화는 a specific extinction coefficient absorbance를 사용하여 관찰하였으며 각 저장 온도별 1-MCP 처리구가 엽록소 손실 및 라이코펜 형성에 지연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더욱이 매일 지속적인 1-MCP 처리구는 초기 한번 1-MCP 전처리구 보다 두드러진 숙도 변화가 낮아짐을 보여 주었으며 과피별로 pericarp 부분이 placenta 부분 보다 1-MCP 처리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는 표피를 접하고 있는 외부 환경 1-MCP 물질이 pericarp 부분에 sorption을 통해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리라 판단된다. 실험 결과 저온 온도에서 적정한 농도의 1-MCP를 매일 처리한 토마토의 품질 유지 및 색소 성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attributes of tomato fruit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to treatments with 1-methylcyclopropene (1-MCP) were studied. Harvested tomato fruit was treated one time at the initiation of storage or once-a-day during storage with $1{\mu}L/L$ 1-MCP at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1-MCP treatments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tomato fruit and focus on changes in the major pigments during storage.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three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12, 17, and 2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uckle, K.A. and F.M.M. Rahman. 1979. Separation of chlorophyll and carotenoid pigments of capsicum cultivars. J. Chromatogr. A. 71:385-391. 

  2. Britton, G. 1983. Carotenoids, p. 32-38. In: G. Britton (ed.). The biochemistry of natural pigments. Cambridge Univ. Press, New York. 

  3. Edwards, R.A. and F.H. Reuter. 1967. Pigment changes during the maturation of tomato fruit. Food Technol. Austral. 19: 352-357. 

  4. Fraser, P.D., M.R. Truesdale, C.R. Bird, and W. Schuch. 1994. Carotenoid biosynthesis during tomato fruit development. J. Plant Physiol. 105:405-413. 

  5. Golding, J.B., D. Shearer, S.G. Wyllie, and W.B. McGlasson. 1998. Application of 1-MCP and propylene to identify ethylenedependent ripening processes in mature banana fruit. Postharvest Biol. Technol. 14:87-98. 

  6. Guillen, F., S. Castillo, P.J. Zapata, D. Martines-Romero, M. Serrano, and D. Valero. 2007. Efficacy of 1-MCP treatment in tomato fruit 1. Duration and concentration of 1-MCP treatment to gain an effective delay of postharvest ripening. Postharvest Biol. Technol. 43:23-27. 

  7. Jiang, Y., D.C. Joyce, and A.J. Macnish. 1999. Extension of the shelf life of banana fruit by 1-methylcyclopropene in combination with polyethylene bags. Postharvest Biol. Technol. 16:187-193. 

  8. Kim, H.O., E.W. Hewett, and N. Lallu. 2001. Softening and ethylene production of kiwifruit reduced with 1-methyleyclopropene. Acta Hort. 553:167-170. 

  9. Kim, J., T. Solomos, and K.C. Gross. 1999. Changes in cell wall galactosyl and soluble galactose content in tomato fruit stored in low oxygen atmospheres. Postharvest Biol. Technol. 17:33-38. 

  10. Ku, V.V.V. and R.B.H. Wills. 1999. 1-Methylcylopropene can differentially affect the postharvest life of strawberries exposed to ethylene. J. Amer. Soc. Hort. Sci. 34:119-120. 

  11. Lee, Y.S., R.M. Beaudry, B.R. Harte, and J.N. Kim. 2006. Development of a 1-methylcyclopropene (1-MCP) sachet release system. J. Food Sci. 71:C1-C6. 

  12. Lelievre, J.M., A. Latche, B. Jones, M. Bouzayen, and J.C. Pech. 1997. Ethylene and fruit ripening. Physiol. Plantarum 101:727-739. 

  13. Lopez Camelo, A.F. and P.A. Gomez. 2004. Comparison of color indexes for tomato ripening. Hort. Brasileira 22:534-537. 

  14. Manenoi, A., E.R.V. Bayogan, S. Thumdee, and R.E. Paull. 2007. Utility of 1-methylcyclopropene as a papaya postharvest treatment. Postharvest Biol. Technol. 44:55-62. 

  15. Mir, N., E. Curell, N. Khan, M. Whitaker, and R.M. Beaudry. 2001. Harvest maturity, storage temperature, and 1-MCP application frequency alter firmness retention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of 'Redchief Delicious' apples. J. Amer. Soc. Hort. Sci. 126:618-624. 

  16. Mitcham, E.J. and R.E. Mcdonald. 1992. Effect of high temperature on cell wall modifications associated with tomato fruit ripening. Postharvest Biol. Technol. 1:257-264 

  17. Moran, R. 1982. Formulae for determination of chlorophyllous pigments extracted with N,N-Dimethylformamide. J. Plant Physiol. 69:1376-1381. 

  18. Moretti, C.L., A.L.A. Araujo, W.A. Marouelli, and W.L.C. Silva. 2002. 1-Methylcyclopropene delays tomato fruit ripening. Hort. Brasileira 20:659-663. 

  19. Mostofi, Y., M.A. Toivonen Peter, H. Lessani, M. Babalar, and C. Lu. 2003. Effects of 1-methylcyclopropene on ripening of greenhouse tomatoes at three storage temperatures. Postharvest Biol. Technol. 27:285-292. 

  20. Nguyen, M.L. and S.J. Schwartz. 1999. Lycopene: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Food Technol. 53:38-45. 

  21. Porat, R., B. Weiss, L. Cohen, A. Daus, R. Coren, and S. Droby. 1999. Effects of ethylene and 1-methylcyclopropene on the postharvest qualities of "Shamouti" oranges. Postharvest Biol. Technol. 15:155-163. 

  22. Ratanachinakorn, B. and A. Klieber. 1997. Simons DH. Effect of short-term controlled atmospheres and maturity on ripening and eating quality of tomatoes. Postharvest Biol. Technol. 11:149-154. 

  23. Ryall, A.L. and W.J. Lipton. 1979. Tomatoes, p. 193-209. In: A.L. Ryall and W.J. Lipton (eds.). Handl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fruits and vegetables. AVI Publishing Co., Westport, Connect. 

  24. Saltveit, M.E. and A.R. Sharaf. 1992. Ethanol inhibits ripening of tomato fruit harvested at various degrees of ripeness without affecting subsequent quality. J. Amer. Soc. Hort. Sci. 117:793-798. 

  25. Sisler, E.C. and N. Lallu. 1994. Effect of diameterzocyclopentadiene (DACP) on tomato fruits harvested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Postharvest Biol. Technol. 4: 245-254. 

  26. Watada, A.E., K.H. Norris, J.T. Worthington, and D.R. Massie. 1976. Estimation of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s of whole tomato by light absorbance technique. J. Food Sci. 41:329-3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