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품종, 지역에 따른 적색양파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 of Red Onion (Allium cepa L.)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ing Areas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8 no.6, 2010년, pp.921 - 927  

문진성 (경남농업기술원 양파연구소) ,  김희대 (경남농업기술원 양파연구소) ,  하인종 (경남농업기술원 양파연구소) ,  이선영 (경남농업기술원 양파연구소) ,  이종태 (경남농업기술원 양파연구소) ,  이상대 (경남농업기술원 양파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육종효율 증진 및 소비확대를 위해 적색양파의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 S&P5294가 가장 높은 당 함량 및 감미도를 나타냈고 선발조합 모두 레드프라임, 썬파워에 비해 당 함량 및 감미도가 높았으며, pyruvic acid는 레드프라임=S&P5295> S&P5294=S&P7273>S&P5296=S&P7276>레드썬=썬파워 순으로 함량이 낮았다. 총 페놀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선발조합 대부분이 레드프라임, 썬파워에 비해서는 함량이 높고 레드썬에 비해서는 낮은 함량을 보였다. Rutin은 모든 품종에서 가장 높은 함량(136.9-$169.9{\mu}g{\cdot}g^{-1}$ F.W.)을 보였으며, quecetin과 myricetin의 함량은 각각 62.5-135.7, 11.2-$16.1{\mu}g{\cdot}g^{-1}$ 보였고 kaempferol은 검출되지 않았다. Quercetin과 rutin은 레드썬에서, myricetin은 S&P5296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선발조합 모두 레드프라임, 썬파워에 비해 rutin, quercetin 및 myricetin의 함량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함평지역이 가장 높은 반면 ruin, myricetin 및 quercetin의 함량은 창녕지역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안토시아닌의 경우는 레드썬에 비해서는 다소 함량이 낮으나 레드프라임에 비해서는 선발조합 모두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breeding efficiency and consumption of red onion by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The red cultivar S&P5294 ($52.9mg{\cdot}g^{-1}$ F.W.) resulted in the highest sugar content, and sweetness whereas 'Redprime' had the lowest. For the pyruv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적색양파의 재배면적은 황색양파에 비해 많지 않으나 웰빙문화의 확산과 용도의 다양화에 의해 소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나, 적색양파 품종도 거의 수입종에 의존하고 있어 적색양파의 품종개발 또한 시급한 실정이며, 수입 적색양파의 대부분이 고정종으로 양파 구 착색이 불안정하고 저장성이 약할 뿐만 아니라 매운맛이 강한 문제점이 지적됨에 따라, 적색양파의 F1 품종육성은 아직 초기 단계이기는 하나 황색양파에 비해 쉽게 수입대체 및 수출용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적색양파 선발 계통에 대한 유용성분 분석으로 기능성 함량이 높은 적색양파 품종육성 효율을 증진하고 적색양파 소비확대를 위해 황색양파와 유용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색양파 중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ruin, myricetin, quercetin 함량이 가장 높은 지역은 어디인가? Quercetin과 rutin은 레드썬에서, myricetin은 S&P5296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선발조합 모두 레드프라임, 썬파워에 비해 rutin, quercetin 및 myricetin의 함량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함평지역이 가장 높은 반면 ruin, myricetin 및 quercetin의 함량은 창녕지역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안토시아닌의 경우는 레드 썬에 비해서는 다소 함량이 낮으나 레드프라임에 비해서는 선발조합 모두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입 적색양파에서 지적된 문제점은 무엇인가? 5%(한국종자협회, 2009)를 점유하고 있어 고추, 무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국내에서 육성된 품종은 40%미만으로 수입종에 비해 품질, 수량성 및 저장성이 열위에 있어 적지 않은 외화가 유출되고 있다. 적색양파의 재배면적은 황색양파에 비해 많지 않으나 웰빙문화의 확산과 용도의 다양화에 의해 소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나, 적색양파 품종도 거의 수입종에 의존하고 있어 적색양파의 품종개발 또한 시급한 실정이며, 수입 적색양파의 대부분이 고정종으로 양파 구 착색이 불안정하고 저장성이 약할 뿐만 아니라 매운맛이 강한 문제점이 지적됨에 따라, 적색양파의 F1 품종육성은 아직 초기 단계이기는 하나 황색양파에 비해 쉽게 수입대체 및 수출용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적색양파 선발 계통에 대한 유용성분 분석으로 기능성 함량이 높은 적색양파 품종육성 효율을 증진하고 적색양파 소비확대를 위해 황색양파와 유용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양파 중 국내에서 육성된 품종이 차지하는 비율은? 우리나라 채소종자의 연간 총 매출액은 약 1,797억원이며, 이 중 양파가 188억원으로 10.5%(한국종자협회, 2009)를 점유하고 있어 고추, 무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국내에서 육성된 품종은 40%미만으로 수입종에 비해 품질, 수량성 및 저장성이 열위에 있어 적지 않은 외화가 유출되고 있다. 적색양파의 재배면적은 황색양파에 비해 많지 않으나 웰빙문화의 확산과 용도의 다양화에 의해 소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나, 적색양파 품종도 거의 수입종에 의존하고 있어 적색양파의 품종개발 또한 시급한 실정이며, 수입 적색양파의 대부분이 고정종으로 양파 구 착색이 불안정하고 저장성이 약할 뿐만 아니라 매운맛이 강한 문제점이 지적됨에 따라, 적색양파의 F1 품종육성은 아직 초기 단계이기는 하나 황색양파에 비해 쉽게 수입대체 및 수출용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usain, S.R., J. Cillard, and P. Cillard, 1987.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lavonoids. Phytochem., 26:2489. 

  2. Jeong, C.H., J.H. Kim, and K.H. Shim. 2006. Chemical Components of Yellow and Red Onion. J. Kor. Soc. Food Sci. Nutr. 35:708-712. 

  3. Kang, Y.H., Y.K. Park, and G.D. Lee. 1996. The Nitrite Scavenging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 J. Food Sci. Technol. 28:232-239. 

  4. Kee, H.J. and Y.K. Park. 2000. Preparat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extruded snack using onion pomace and onion. Kor. J. Food Sci. Technol., 32:979-984. 

  5. Kim, G.H. and M.H. Choi.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in plant origin food. Kor. J. Postharvest 5:121-135. 

  6. Lachman, J., D. Pronek, A. Hejtmankova, J. Dudjak, V. Pivec, and K. Faitova. 2003. Total polyphenol and main flavonoid antioxidants in different onion (Allium cepa L.) varieties. Hort. Sci. 301:42-147. 

  7. Lin, J.Y. and L.Y. Tang. 2007.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in selected fruits and vegetables, as well as their stimulatory effects on mouse splenocyte proliferation. Food Chem. 101:140-147. 

  8. Nuutia, A.M., R. Puupponen-Pimia, M. Aarni, and K.M. Oksman- Caldentey. 2003.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onion and garlic extracts by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od Chem. 81:485-493. 

  9. Patil, B.S. and L.M. Pike. 1995. Distribution of quercetin content in different rings of various coloured onion (Allium cepa L.) cultivars. J. Hort. Sci. 70:643-650. 

  10. Robak, J. and R.J. Gryglewski. 1988. Flavonoids are scavengers of superoxide anion. Biochem. Pharmacol., 37:837. 

  11. Shon, M.Y. and S.K. Park. 2006. Chemical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Onions. Kor. J. Food Preserv. 13:762-768. 

  12. Shon, M.Y., S.D. Choi, G.J. Kahng, S.H. Nam, and N.J. Sung. 2004. Antimutagenic,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yl acetate extracts from white, yellow and red onions. Food Chem. Toxi. 42:659-666. 

  13. Suh, H.J., S.H. Chung, J.Y. Son, H.S. Son, W.D. Cho, and S.J. Ma. 1996. Preparation of onion hydrolysates with enzyme. J. Kor. Soc. Food Sci. Nutr. 25:786-790. 

  14. Vinson, J.A. and B.A. Hontz. 1995. Phenol antioxidant index: comparative antioxidant effectiveness of red and white wines. J. Agric. Food Chem. 43:401-403. 

  15. Vinson, J.A., J. Jang, Y.A. Dabbagh, M.M. Serry, and S. Cai. 1995. Plant polyphenols exhibit lipoprotein-bound antioxidant activity using an in vitro model for heart disease. J. Agric. Food Chem. 43:2798-2799. 

  16. Vinson, J.A., Y. Hao, X. Su, and L. Zubik. 1998. Phenol antioxidant quantity and quality in foods: Vegetables. J. Agric. Food Chem. 46:3630-3634. 

  17. Yoo, K.S., L. Pike, K. Crosby, R. Jones, and D. Leskovar. 2006. Differences in onion pungency due to cultivars, growth environment and bulb sizes. Sci. Hort. 110:144-1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