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색과 자색 양파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of Yellow and Red On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6, 2006년, pp.708 - 712  

정창호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김진희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심기환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색과 자색 양파를 기능성식품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황색과 자색 양파의 수분 및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각각 92.80%, 5.13%와 92.47%, 5.59%로 나타났으며, 황색양파와 자색양파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무기성분으로는 K(123.64, 114.41 mg%), Na(34.09, 33.57 mg%) 및 Ca(18.77, 27.59 mg%)이었다. 황색양파의 주요 유리당glucose(744.2 mg%)와 fructose(705.9 mg%)였으며, 자색양파에서는 sucrose(692.8 mg%) 와 fructose(517.3 mg%)였다. 황색과 자색 양파의 총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 phenylalanine 및 aspartic acid의 함량이 높았으며, 황색양파의 유리아미노산은 hydroxy-L-proline(27.34 mg%), L-serine(27.34 mg%) 및 L-arginine(26.25 mg%) 순이었고, 자색양파에서는 L-glutamic acid (16.35 mg%), ammonium chloride(15.22 mg%) 및 L-serine(10.93 mg%) 순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황색양파(19.20 mg%)보다 자색양파(28.34 mg%)가 높았으며, 황색과 자색양파의 quercetin 함량은 각각 15.24 mg%와 5.70 mg%였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황색과 자색 양파에서 각각 0.319 mg/g 및 0.248 mg/g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emical properties of yellow and red oni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nctional food materialization and processing. The moisture and nitrogen free extract contents of yellow and red onion were 92.80%, 5.13% and 92.47%, 5.59%, respectively. Mineral components of 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잉여의 양파를 대량으로 소모하면서 고 기능성을 함유한 고부가가치 가공식품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황색양파와 자색양파의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 황색과 자색 양파를 기능성식품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황색과 자색 양파의 수분 및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각각 9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ee HJ, Park YK. 2000. Preparat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extruded snack using onion pomace and on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578-583 

  2. Bang HA, Cho JS. 1998. Antioxidant effects on various solvent extract from onion peel and onion flesh. J Korean Diet Assoc 4: 14-19 

  3. Woo HS, Aan BJ, Bae JH, Kim S, Choi HJ, Han HS, Choi C. 2003. Effect of biologically active fractions from onion on physiological activity and lipid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19-123 

  4. Sheo HJ, Lim HJ, Jung DL. 1993. Effect of onion juice on toxicity of lead in rat. J Korean Soc Food Nutr 22: 138-143 

  5. Woo HS, Aan BJ, Bae JH, Kim S, Choi HJ, Han HS, Choi C. 2003. Effect of biologically active fractions from onion on physiological activity and lipid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19-123 

  6. Sheela CG, Kumud K, Augusti KT. 1995. Antidiabetic effects of onion and garlic sulfoxide amino acids in rats. Planta Med 61: 356-357 

  7. Kang JA, Kang JS. 1997. Effect of garlic and onion on plasma and liver cholesterol and triacylglycerol and platelet aggregation in rats fed basal or cholesterol supplement diets. Korean J Nutr 30: 132-138 

  8. Sheo HJ, Jung DL. 1997. The effects of onion juice on serum lipid levels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6: 1164-1172 

  9. Ra KS, Chung SH, Suh HJ, Son JY, Lee HK. 1998. Inhibition of xanthin oxidase from onion s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97-701 

  10. Cho NC, Yoon YH, Lee HJ, Shon HJ, Kim YK, Choi KH, Ra MS, Jo YK, Lee HH, Chin JE. 2001. Effect of onion (Allium cepa L.) extract on tyrosinase gene expression. Korean J Food Nutr 14: 228-232 

  11. Lee CJ, Kim HD, Choung EH, Suh JK, Park CW, Ha YL. 2000. Reduction effect of carcinogenesis by the extract of onion was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25-530 

  12. Ma SJ. 2000. Inhibitory effect of onion seasoning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95-400 

  13. Park PS, Lee BR, Lee MY. 1994. Effects of onion juice on ethanol-induc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3: 750-756 

  14. Ra KS, Suh HJ, Chung SH, Son JY.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from onion s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95-600 

  15. Lee CJ, Kim HD, Lee JT, Cho YC, Song GW, Choi CK. 2004. Quality improvement of onion by cultural managements, pre-harvest treatments and storage methods under storage at room temperature. Kor J Hort Sci Technol 22: 162-168 

  16. Lee JY, Kang HA, Chang KS, Kim SS. 1995. Drying of onion and ginger using drying system controlled by microcomputer.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38: 78-82 

  17.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8. Choi JH, Jang JG, Park KD, Park MH, Oh SK. 1981.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ree sugars in ginseng and its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107-113 

  19. Jeong CH, Bae YI, Shim KH. 200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ovenia dulcis Thunb. leaf te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117-123 

  20. Huafu W, Ketith H. 2001. Determination of flavonols in green and black tea leaves and green tea infusion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od Res Inter 34: 223-227 

  21. Graham HD. 1992. Modified prussian blue assay for total phenolic compound. J Agric Food Chem 40: 801-805 

  22. Ahn BJ, Lee JT. 2001.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for phenolic fraction from on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224-230 

  23. Shon MY, Choi SD, Kahng GJ, Nam SH, Sung NJ. 2004. Antimutagenic,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yl acetate extracts from white, yellow and red onions. Food Chem Toxi 42: 659-666 

  24. Kang SK, Kim YD, Hyun KH, Kim YW, Song BH, Shin SC, Park YK. 1998. Development of separating techniques on quercetin-related substances in onion (Allum cepa L.) 1. Contents and stability of quercetin-related substances in on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682-6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