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 기능성 변비의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Factors Contributing to Treatment Outcome of Functional Constipation in Children 원문보기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v.13 no.1, 2010년, pp.36 - 43  

김형석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홍유라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위주희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박재홍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소아에서 기능성 변비는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지만 임상적 경과 및 치료 반응에 대한 대단위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이 질환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8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 소아과에서 변비로 치료를 받았던 500명 중 Iowa 기준에 따라 기능성 변비로 1개월 이상 치료를 받고 경과관찰이 가능하였던 2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조사를 하였다. 변비의 주 치료제로 락툴로스를 복용한 군(145명)과 PEG (polyethylene glycol)를 복용한 군(95명)으로 나누었다. 환자에 따라 magnesium hydroxide, psyllium, bisacodyl, domperidone, 고장성 인산염 관장액등을 병용하였다. 치료 반응은 약물 투여 후 이틀에 1회 이상 통증이 없이 배변을 하는 시점으로 하였고, 치료 반응이 3개월 이상 유지되면 약물을 감량하였다. 결 과: 1) 남자 142명(59.2%), 여자 98명(40.8%)이었고, 발병 시 연령은 18.7${\pm}$21.5개월, 진단 시 연령은 51.2${\pm}$37.9개월이었다. 발병 시 연령은 1세 이하가 94명(39.2%)으로 가장 많았다. 2) 증상 지속 기간은 32.6${\pm}$33.7개월, 치료 전 배변 빈도는 1회/4.8일이었다. 3) 동반 증상은 유분증 91명(30.4%), 복통 76명(31.6%), 혈변37명(15.4%), 식욕저하 23명(9.6%), 복부팽만 18명(7.5%), 구토 14명(5.8%)이었다. 4) 배변 빈도가 락툴로스 투여군 1회/4.6일로 PEG 투여군 1회/5.2일에 비해 짧았던 것을 제외하고 두 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 5) 치료 반응은 여자에서(p<0.001), 동반증상이 있었을 때(p<0.05), PEG 투여군에서(p=0.001) 의미 있게 빨랐으며, 치료 전 증상 지속 기간이 길수록(p<0.05), 배변 빈도가 적을수록(p<0.05) 늦었다. 6) 총 치료 기간은 성별, 증상 발생 나이, 증상 지속 기간, 배변 빈도, 동반 증상, 유분증 유무, 타병원에서의 치료, 민간 요법 시행, 치료 약물의 종류와 무관하였다. 7) 7명(락툴로스군 6명, PEG군 1명)에서 치료 후 재발이 있었으나, 2명을 제외하고 재치료로 완치되었다. 결 론: 여자, 치료 전 증상 지속 기간 및 배변 빈도가 치료 반응에 중요한 인자였고, PEG가 락툴로스에 비해 치료 반응 시간이 짧았기 때문에 1차 치료 약제로 고려해 볼 수 있겠다. 총 치료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었으나, 조기 치료가 치료 반응 및 치료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features and factors contributing to treatment outcome for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in children. Methods: We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constipation, who visited the inpatient or outpatient clinic of the Depart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들 중 해부학 또는 생리학적 이상, 대사 장애, 내분비 기능 이상과 같은 기질적 질환이 동반된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으며, Iowa 기준10)에 따라 배변 횟수가 일주일에 3회 미만, 유분증이 일주일에 두 번 이상, 7∼30일마다 주기적으로 매우 굵은 변을 보거나, 진찰에서 복부나 직장 내 덩어리가 만져지는 등 4가지 중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을 만족할 때로 하였다. 기능성 변비로 1개월 이상 치료를 받고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240명을 최종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환자의 연령 및 성별 분포, 동반 증상, 임상 경과, 변비의 치료 방법 및 치료제의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이러한 결과는 만성 변비의 치료에 약물 투여와 더불어 식사 요법이나 배변 훈련과 같은 행동 치료가 치료 기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암시한다3,18,19). 본 연구는 락툴로스나 PEG의 치료 효과를 직접 비교한 것이 아니라, 이들 두 약과 함께 치료 반응에 따른 다른 약물의 병용, 배변 교육, 행동 치료, 식이요법 등 변비의 총체적 치료 방식에서 주 약물에 따른 차이를 비교한 것이다.
  • 소아 기능성 변비의 임상적 경과에 대한 대단위 연구나 표준 치료에 대한 의견의 일치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240명의 비교적 많은 수의 변비 환자를 대상으로 기능성 변비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여 이 질환의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 기능성 변비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것은 무엇이 있는가? 소아 기능성 변비의 치료는 우선 보호자에게 원인, 치료 과정 및 예후 등을 설명하면서 치료 기간이 길어질 수 있음을 이해시켜야 하며, 약물 치료와 더불어 식사 조절 및 배변 훈련을 포함한 생활 습관 교정의 중요성을 강조하여야 한다. 치료제로는 미네랄 오일, PEG(polyethylene glycol) 용액, 수산화마그네슘, 락툴로즈, 솔비톨, 센나, 비사코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PEG가 치료에 이용되면서 효과와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보고들이 많이 늘고 있다5,6).
소아에서 변비의 원인은 대부분 무엇인가? 소아에서 변비의 원인은 기능적 변비가 대부분(90∼95%)이며 해부학 또는 생리학적 이상, 대사 장애, 내분비 기능 이상과 같은 기질적 질환이 동반된 경우는 5∼10%에 불과하다고 알려져 있다1,2). 환자의 부모들은 아이가 변을 잘 보지 못해 힘들다고 생각하지만 나이가 들면 좋아질 것으로 생각하여 질병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치료에 대한 무관심으로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거나 충분한 기간 동안 치료를 하지 않아 재발되는 경우가 많다1,3).
소아에서 기능성 변비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선정한 대상자는? 이 질환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8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 소아과에서 변비로 치료를 받았던 500명 중 Iowa 기준에 따라 기능성 변비로 1개월 이상 치료를 받고 경과관찰이 가능하였던 2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조사를 하였다. 변비의 주 치료제로 락툴로스를 복용한 군(145명)과 PEG (polyethylene glycol)를 복용한 군(95명)으로 나누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Loening-Baucke V. Prevalence, symptoms and outcome of constipation in infants and toddlers. J Pediatr 2005;146:359-63. 

  2. Loening-Baucke V. Prevalence rates for constipation and faecal and urinary incontinence. Arch Dis Child 2007;92:486-9. 

  3. Baker SS, Liptak GS, Colletti RB, Croffie JM, Di Lorenzo C, Ector W, et al. Constipation in infants and children: evaluation and treatment. A medical position statement of the North American Society for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1999;29:612-26. 

  4. Borowitz SM, Cox DJ, Tam A, Ritterband LM, Sutphen JL, Penberthy JK. Precipitants of constipation during early childhood. J Am Board Fam Pract 2003;16:213-8. 

  5. Dupont C, Leluyer B, Maamri N, Morali A, Joye JP, Fiorini JM, et al. Double-blind randomized evaluation of clinical and biological tolerance of polyethylene glycol 4000 versus lactulose in constipated childre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5;41:625-33. 

  6. Loening-Baucke V. Polyethylene glycol without electrolytes for children with constipation and encopresis.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2;34:372-7. 

  7. Lee JH, Lee R, Bae SH. Efficacy and safety of electrolytes-free polyethylene glycol (PEG) 4000 for disimpaction in children with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Korean J Pediatr 2008;51:391-5. 

  8. Uhm JH. Comparison of polyethylene glycol 4000 and lactulose for treatment of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in children. Korean J Pediatr 2007;50:752-6. 

  9. Ahn YJ, Park JO. Clinical outcome and long term follow-up of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in children.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6;9:200-9. 

  10. Loening-Baucke V. Factors responsible for persistence of childhood constipatio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1987;6:915-22. 

  11. Kot TV, Pettit-Young NA. Lactulose in the management of constipation: a current review. Ann Pharmacother 1992;26:1277-82. 

  12. Wang BX, Wang MG, Jiang MZ, Xu CD, Shao CH, Jia LY, et al. Forlax in the treatment of childhood constip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clinical study. Zhongguo Dang Dai Er Ke Za Zhi 2007;9:429-32. 

  13. Thomson MA, Jenkins HR, Bisset WM, Heuschkel R, Kalra DS, Green MR, et al. Polyethylene glycol 3350 plus electrolytes for chronic constipation in children: a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crossover study. Arch Dis Child 2007;92:996-1000. 

  14. Candy DC, Edwards D, Geraint M. Treatment of faecal impaction with polyethylene glycol plus electrolytes (PGE+E) followed by a double-blind comparison of PEG+E versus lactulose as maintenance therapy.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6;43:65-70. 

  15. Voskuijl W, de Lorijn F, Verwijs W, Hogeman P, Heijmans J, Makel W, et al. PEG 3350 (Transipeg) versus lactulose in the treatment of childhood functional constipation: a doub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Gut 2004;53:1590-4. 

  16. Gremse DA, Hixon J, Crutchfield A. Comparison of polyethylene glycol 3350 and lactulose for treatment of chronic constipation in children. Clin Pediatr (Phila) 2002;41:225-9. 

  17. Loening-Baucke V, Pashankar DS. A randomized, prospective, comparison study of polyethylene glycol 3350 without electrolytes and milk of magnesia for children with constipation and fecal incontinence. Pediatrics 2006;118:528-35. 

  18. Abi-Hanna A, Lake AM. Constipation and encopresis in childhood. Pediatr Rev 1998;19:23-30. 

  19. Seo JW. Constipation and encopresis in children. J Korean Med Assoc 2001;44:59-68. 

  20. Kim JY. Constipation in children. Korean J Pediatr 2005;48:355-62. 

  21. van Ginkel R, Reitsma JB, Buller HA, van Wijk MP, Taminiau JA, Benninga MA. Childhood constipation: longitudinal follow-up beyond puberty. Gastroenterology 2003;125:357-63. 

  22. Sutphen JL, Borowitz SM, Hutchison RL, Cox DJ. Long-term follow-up of medically treated childhood constipation. Clin Pediatr (Phila) 1995;34:576-80. 

  23. Staiano A, Andreotti MR, Greco L, Basile P, Auricchio S. Long-term follow-up of children with chronic idiopathic constipation. Dig Dis Sci 1994;39:56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