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암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영양지표의 변화와 수술 후 단기간 합병증과의 연관성
Changes of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Nutritional Statuse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Assessment of the Nutritional Factors That Are Correlated with Short-Term Postoperative Complications 원문보기

대한위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v.10 no.1, 2010년, pp.5 - 12  

오정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  김대훈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  오승종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  최민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  노재형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  손태성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  김성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  배재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위 절제술을 받은 위암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영양상태를 손쉽게 시행할 수 있는 간단한 임상적 자료로 변화를 살펴 보고 이들과 수술 후 단기간의 합병증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위암으로 위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669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환자의 영양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수술 전과 수술 5일 후, 수술 6개월 후의 총 림프구수(TLC, cells/$mm^3$), 혈중 알부민(g/dl), 체중(kg), 체질량 지수(BMI, kg/$m^2$)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 인자들과 단기간 합병증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TLC와 혈중 알부민은 수술 전에 비해, 수술 5일 후에는 전반적으로 감소되었다가 수술 6개월 후에는 다시 회복하는 추세를 보였다. 6개월 후 환자의 영향 상태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진행성 위암에서 수술 6개월 후 TLC, 혈중 알부민이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위전절제술 후에 6개월 후의 혈중 알부민과 BMI가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보조적 치료를 한 군의 6개월 뒤의 TLC가 더 낮은 경향을 보였고, 체중 감소 비율도 더 컸다. 단기간 합병증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갖는 영양 인자는 수술 후 5일째 혈중 알부민과 수술 전과 수술 후 5일째의 혈중 알부민 변화량이었다. 결론: TLC와 혈중 알부민은 수술 5후에는 유의하게 감소 되었다가 수술 6개월 후에는 회복 추세를 보였다. 수술 후 5일째의 혈중 알부민 저하가 합병증과 관련 있는 요소로서, 이환율에 대한 좋은 예측도를 나타내는 지표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nutritional statuses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factors that are correlated with perioperative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8 to Jun 2008, 669 patient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 내용으로는 첫째 수술 후 6개월까지의 영양 지표의 변화를 살펴보고, 둘째 수술 후 단기간 합병증과의 연관 있는 영양 인자를 밝히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위 절제술을 받은 위암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영양상태를 손쉽게 시행할 수 있는 간단한 임상적 자료로 변화를 살펴보고 이들과 수술 후 단기간의 합병증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암의 발생 빈도는 어떤 추세인가? 위암은 세계적으로 발생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암 관련 사망률에서 두 번째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으며,(1) 우리나라는 위암의 호발 지역으로 전체 암 중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 및 폐암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2) 수술이 유일한 궁극적 치료적인 방법이지만, 수술의 후유증은 비교적 적지 않으며, 이것 중에는 소화기계 증상, 즉 식욕 상실과 영양 장애, 체중 감소를 포함하고 있다.
십이지장은 무엇을 흡수하는데 중요 부위인가? 그 기전으로는 십이지장을 우회하는 수술 방식에서는 음식물을 섭취한 후, 담즙액과 췌액의 분비 자극이 부족하고 따라서 담즙액과 췌장액의 음식물과의 부적절한 혼합으로 흡수불량을 유발한다. 또한 십이지장은 철분, 칼슘, 지방, 카로틴의 중요 흡수 부위이며, 구심성 고리의 정체는 미생물의 과증식을 유발해서 담즙염 대사에 이상을 일으킨다. 십이지장을 우회함으로써 세크레틴(secretin)과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 방출이 줄어들고 췌장 소화효소 분비가 감소해서 소화장애와 흡수장애를 일으킨다.
위암 수술의 후유증은 무엇인가? 위암은 세계적으로 발생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암 관련 사망률에서 두 번째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으며,(1) 우리나라는 위암의 호발 지역으로 전체 암 중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 및 폐암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2) 수술이 유일한 궁극적 치료적인 방법이지만, 수술의 후유증은 비교적 적지 않으며, 이것 중에는 소화기계 증상, 즉 식욕 상실과 영양 장애, 체중 감소를 포함하고 있다.(3) 특히 영양장애가 수술 후 중요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Dicken BJ, Bigam DL, Cass C, Mackey JR, Joy AA, Hamilton SM. Gastric adenocarcinoma: review and considerations for future directions. Ann Surg 2005;7:27-39. 

  2. The Information Committee of the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2004 nationwide gastric cancer report in Korea.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7;7:47-54. 

  3. Javier M, Loarte A, Pilco P. Nutritional evaluation in patients with total and partial gastrectomy for gastric adenocarcinoma. Rev Gastroenterol Peru 2008;28:239-243. 

  4. Ryan AM, Healy LA, Power DG, Rowley SP, Reynolds JV. Short-term nutritional implications of total gastrectomy for malignancy, and the impact of parenteral nutritional support. Clin Nutr 2007;26:718-727. 

  5. Fuchs KH, Thiede A, Engemann R, Deltz E, Stremme O, Hamelmann H. Reconstruction of the food passage after total gastrectomy: randomized trial. World J Surg 1995;19:698-705. 

  6. Mullen JL, Buzby GP, Waldman MT, Gertner MH, Hobbs CL, Rosato EF. Prediction of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by preoperative nutritional assessment. Surg Forum 1979;30:80-82. 

  7. Rey-ferro M, Castano R, Orozco O, Serna A. Moreno A. Nutritional and immunologic evaluation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before and after surgery. Nutrition 1997;13:878-881. 

  8. Osada J, Kamocki Z, Rusak M, Dabrowska M, Kedra B. The effect of surgical and nutritional treatment on activation parameters of peripheral blood T lymphocytes in stomach cancer patients in postoperative period. Pol MerKur Lekarski 2008;24:231-236. 

  9. Liedman B, Andersson H, Berglund B, Bosaeus I, Hugosson I, Olbe L, Lundell L. Food intake after gastrectomy for gastric carcinoma-the role of a gastric reservoir. Br J Surg 1996;83: 1138-1143. 

  10. Bae JM, Park JW, Kim JP. Nutritional assessment and intestinal absorption studies on total gastrectomized gastric cancer patients. J Korean Surg Soc JKSS 1996;50:475-487. 

  11. Bozzetti F, Gianotti L, Braga M, Di Carlo V, Mariani L.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gastrointestinal cancer patients: the joint role of the nutritional status and the nutritional support. Clin Nutr 2007;26:698-709. 

  12. Katsube T, Konnno S, Murayama M, Kuhara K, Sagawa M, Yoshimatsu K, Shiozawa S, Shimakawa T, Naritaka Y, Ogawa K. Changes of nutritional status after distal gastr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2008;55: 1864-1867. 

  13. Shikora SA, Blackburn GL. Nutrition support: theory and therapeutics. Chapman & Rlall Seales in Clinical Nutrition 1997:35. 

  14. Lee MS. Nutritional management in gastric cancer patients.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3;3:172-177. 

  15. Bae JM, Park JW, Yang HK, Kim JP. Nutritional status of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total gastrectomy. World J Surg 1998;22:254-261. 

  16. Hill GL, Jonathan E. Rhoads Lecture. Body composition research: implication for the practice of clinical nutrition. JPEN J Paren Ent Nutr 1992;16:197-218. 

  17. Liedman B, Andersson H, Bosaeus I, Hugosson I, Lundell L.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fter gastrectomy: results of a controlled, prospective clinical trial. World J Surg 1997;21: 416-421. 

  18. Bozzetti F. Parenteral hyperalimentation i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cancer. Tumori 1978;64:407-418. 

  19. Pettigrew RA, Hill GL. Indicators of surgical risk and clinical judgement. Br J Surg 1986;73:47-51. 

  20. Meakins JL, Pietsch JB, Bubenick O, Kelly R, Rode H, Gorden J, MacLean LD. Delayed hypersensitivity: indicator of acquired failure of host defenses in sepsis and trauma. Ann Surg 1977;186:241-250. 

  21. Kang SY, Yu WS, Chung HY, Park SH. The prognostic value of the preoperative lymphocyte count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9;9:26-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