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먹는물 약수터 장구균의 검출 특성과 반코마이신 내성 현황
Detection of Enterococci and their Vancomycin Resistance in Drinking Spring-Water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2 no.10, 2010년, pp.979 - 985  

윤태호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이향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이승주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여인학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엄석원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먹는물 약수터를 대상으로 분변오염 지표미생물인 장구균 검출 특성과 염기서열을 이용한 동정 및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특성을 평가하였다. 먹는물 약수터의 장구균은 212건의 시료 중 42건(19.8%)에서 0~110 CFU/100 mL의 범위로 검출되었고 대장균의 검출빈도와 유사(t-검정, p-값 0.268, 유의수준 0.05)하여 지표미생물로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동정에서는 표본적으로 추출한 56개 검체에서 Enterococcus faecalis (24검체), E. faecium (10검체), E. casseliflavus (10검체), E. gallinarum (3검체), E. hirae (2검체), E. durans (2검체), E. sanguinicola(1검체) 순서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되는 E. faecalis는 국내 병원환자의 임상검체에서 분리되는 우점종 분포와 유사하였다.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은 검체 시료 53검체 중 14(26.4%)검체에서 vanB 및 vanC1/C2 형이 각각 2와 12검체가 확인 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먹는물 약수터가 분변오염 등으로 인하여 장구균 검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소독 등 외부오염물질 유입 차단 및 저감대책이 필요할 것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ct enterococci strain as an indicator of faecal contamination, to identify of 16S rDNA sequence and vancomycin resistance by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est from drinking spring-water samples in Seoul. The detection frequency of enterococci was 42 (19.8%)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11)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먹는물 약수터(먹는물공동시설) 등 먹는물에 대한 장구균 검사 방법이나 현황조사가 미흡한 실정이며, 체계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에 노출되어 있고 사람이 자주 이용하지만 상수도와 같이 소독 등의 물리화학적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취약 시설인 먹는물 약수터를 대상으로 장구균 오염 실태를 조사하고 검출된 장구균에 대한 16S rDNA 분석 등을 통한 장구균 동정과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RE: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의 검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시내 위치한 먹는물 약수터에서 분변오염 지표미생물인 장구균 검출실태를 조사하는 것으로써 사람들이 빈번히 이용하지만 소독 등의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약수터의 구조에 따라 외부 오염 물질 등의 유입 가능성이 상존하여 이에 대해서 분변오염 지표미생물의 검출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구균이란 무엇인가? 장구균은 거의 모든 자연계에 생존하며 토양, 음식, 물, 동물, 새, 곤충 등에서 분리되며, 동물과 사람 모두 장관계 (Enteric)에 주로 분포되어 있고 다음으로 비뇨 생식계에 상재하는 통성혐기성 그람양성 구균이다.1) 비교적 독성이 약하여 정상인에서는 질병을 일으키지 않으나 노인이나 면역저하 환자 또는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에게 요로감염, 창상감염, 균혈증 등의 기회 감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Enterococus faecalis, Enterococcus faecium이 임상적으로 중요하게 취급되며 최근에는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이 병원내 감염의 주요 원인중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장구균에 대한 검사를 어떻게 시행하고 있는가? 실제로 미국 환경보호청(USEPA)에서는 먹는물로 이용되는 지하수와 위락용수에서 장구균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호주, 뉴질랜드, 유럽(EU) 등 선진 외국에서는 장구균을 분변오염지표항목으로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5,6) 한편, 기존 병원내 감염의 주요 원인 병원균으로 인식되어졌던 장구균은 도시하수나 가축사육 및 인체분변 배출로 인해 반코마이신 항생제 내성 장구균이 물 환경에 노출되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 장구균을 섭취 하였을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는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먹는물 약수터에서 장구균 검출실태를 조사한 결과 알 수 있는 사실은 무엇인가? 조사 결과 먹는물 약수터에서 장구균의 검출률은 19.8 %로 이와 유사한 지표 미생물인 대장균의 18.4%와 유사한 검출률을 나타내어 지표 미생물로써 유용성 높을 것으로 확인되어 이에 대한 기준 설정 등의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urray, P. R., Baron, E. J., Pfaller. J. H., Jorgensen, J. H. and Yolken, R. H.,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8th ed.,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pp. 422-433(2003). 

  2.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실험실진단, 3개정판, pp. 296-308 (2005). 

  3. Ashbolt, N. J., Grabow, W. O. J. and Snozzi, M., "Indicators of microbial water quality," Guidelines, standards and health assessment of risk and risk management for waterrelated infectious disease, Fewtrell, L. and Bartran J.(Eds), IWA Publication, London, pp. 289-315(2001). 

  4. Godfree, A. F., Howard, R. T. and Mayo, D. R., "Faecal streptocci as indicators of faecal contamination in water," J. Appl. Microbiol., S83, 110-119(1997). 

  5. U. 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National Primary Drinking Water Regulations: Ground Water Rule, Federal Register, 71(216), pp. 65574-65660(2006). 

  6. Ministry of the Environment, Microbial water quality guidelines for marine and freshwater recreational area, New Zealand(2003). 

  7. Amy, R. S., Frank C, C., Kristen E. G. and Kellogg, J. S., "Antibiotic-resistant enterococci and fecal indicators i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impacted by a concentrated swine feeding operation," Environ. Health Perspect., 115(7), 1040-1045(2007). 

  8. Patrizia, M., Elisa, G., Simona, N., Carla, S. and Moreno B., "Vancomycin-resitance enterococci (VRE) in meat and environmental samples," Int. J. Food Microbiol., 107, 218-222(2006). 

  9. Junco, T, T., Martin, M, G., Toledo, L, P., Gomez, P, L. and Barrasa, J, L, M., "Identification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faecal enterococci isolated from water samples," Int. J. Hyg. Environ. Health, 203, 363-368(2001). 

  10. Seo, K. S., Lim, J. Y., Yoo, H. S., Bae, K. W. and Park, Y. H., "Comparison of vancomycin-resistat enterococci isolates from human, poultry and pigs in korea," Veterinary Microbiol., 106, 225-233(2005). 

  11. Blom, M., Sorensen, T. L., Poulsen, R. L., Frimodt-Moller, N., Monnet, D. L., Aarestrup, F. M. and Espersen, F., "Ingestion of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 faecium strains of food animal origin by human healthy volunteers a randomized double bind study," 40th ICAAC Abstracts, Toronto, Canada, pp. 432(2000). 

  12.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2008). 

  13. 환경부, 먹는물수질공정시험기준(2008). 

  14.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nterococci water by membrane filtration using membrane-enterococcus indoxyl- $\beta$ -D-glucoside agar (mEI) : method 1600," (2006). 

  15. Http://www.macrogen.co.kr 

  16. Manero, A. and Blanch, A, R., "Identification of Enterococcus spp. Based on specific hybridization with 16S rDNA probes," J. Microbiol. Method, 50, 115-121(2002). 

  17. 김미순, 이영민, 김성근, 서지현, 지경희, 오지윤, 고기동, 고광표.,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중목욕탕의 수질 중 미생물 오염도 조사 연구,"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5(3), 162-168 (2009). 

  18. 이희태, 김희연, 박현진, 조영은, 유소영, 이경진, 정종선, 고광표, "지표미생물을 이용한 시화호 유입수의 수질평가,"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4(1), 86-94(2008). 

  19. Leclerc, H., Devriese, L. A. and Mossel, D. A. A., "Taxonomical changes intestinal (faecal) enterococci and streptococci: consequences on their use as indicators of faecal contamination in drinking water," J. Appl. Bacteriol., 81, 459-466(1996). 

  20. 오향균, 박준홍., "도시하수 및 그 주변 하천 환경 중 항생제 내성 세균 노출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31(3), 232-239 (2009). 

  21. Saitou, N. and Nei, M.,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4, 406-425(1987). 

  22. Tamura, K., Dudley, J., Nei, M. and Kumar, S., "MEGA4: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MEGA) software version 4.0," Mol. Biol. Evol., 24, 1596-1599(2007). 

  23.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fifteenth infomational supplement," M100-S15, Wayne, Pa(2005). 

  24.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mbient water quality criteria for bacteria," (1986). 

  25. Panagiota, G., Irish, S., Eleni., S. and Maria, P., "PFGE analysis of enterococci isolates from recreational and drinking water in Greece," J. Water and Health, 4(2), 263-269 (2006). 

  26. 식품의약품안전청, "지역사회내 항생제 내성 감시사업; The surveillance of antimicrobial resistant pathogens in community," (2006). 

  27. Silvia, A., Giulia, L., Giovanni, G., Fabrizio, B., Marina, D. C. and Giordano, D., "Routine molecular identification of enterococci by gene specific PCR and 16S ribosomal DNA sequencing," J. Clin. Microbiol., 39(2), 794-797(2001). 

  28. Charles, M. A. P. F., Michael, E. S., Karl, H. S. and Wilhelm, H. H., "Enterococci in foods - a conundrum for food safety," Int. J. Food Microbiol., 88, 105-122(2003). 

  29. Patrice Courvalin, "Genetics of glycopeptide resistance in gram-positive pathogens," Int. J. Medical Microbiol., 294, 479-486(2005). 

  30. Robin, P., Kerryl, E. P., Mark, S. R., James, M. S., Jim, R. U., Peggy, K., Marlene, K. H., Franklin, R. C. III. and Bruce, C. K., "Determination of 16S r RNA sequences of enterococci and application to species identification of nonmotile enterococcus gallinarum isolates," J. Clin. Microbiol., 36(11), 3399-3407(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