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분변오염의 지표가 되는 장구균을 검출하기 위하여 장구균 선택 배지를 개발하였다. 기존에 알려진 여러 장구균 검출배지 중 총 9종류(Enterococci Confirmatory agar, Azide dextrose agar, Bromocresol-purple azide agar, Esculin bile agar, Citrate azide tween carbonate agar, KF Streptococcus agar, BROLACIN agar, Kanamycin esculin azide agar, Membrane filter Enterococcus selective agar)의 배지를 선별하였고, 배지 성분을 적절히 조합하여 새로운 배지 Enterococcus Mixed medium을 개발하였다. 배지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장구균 6종류(Enterococcus avium KACC 10788, Enterococcus faecium KACC 11954, Enterococcus saccharolyticus KACC 10783, Enterococcus durans KACC 10787, Enterococcus faecalis KACC 11304, Enterococcus hirae KACC 10779)와 비장구균 3종류(Escherichia coli KACC 10005, 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KACC 10768, Bacillus subtilis KACC 10111)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새롭게 개발된 장구균 검출배지에서 비장구균의 생장이 억제된 반면에 장구균 6종류는 모두 생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환경시료에서 장구균을 분리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하천과 바다에서 채취해온 시료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장구균의 생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배지를 이용하면 수질 분변오염의 지표가 되는 장구균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nterococci selective medium was developed to detect the presence of enterococci for use as a fecal contamination indicator. Among several media which have been known to detect enterococci, the following 9 different kinds of media were selected: Enterococci Confirmatory agar, Azide dextrose ag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0). 따라서 본 실험에서 개발한 Enterococcus Mixed F medium이 환경 시료에서의 장구균 검출 효율을 확인 하기 위해 대전지역의 주요 하천인 갑천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장구균 검출효과를 확인하였다. 장구균의 개체 수와 형광성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료를 30, 60, 90, 120, 150 CFU/100 ml이 되도록 희석한 후 41℃에서 18시간 Enterococcus Mixed F broth에 배양하여 1시간 간격으로 형광성을 측정하였고, 4-methylumbelliferyl-β-D-glycoside가 366 nm에서 blue 형광을 띄는 것을 이용하여 육안으로도 관찰하였다(Fig.
  • 본 연구는 분변오염의 지표가 되는 장구균을 좀 더 쉽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배지를 개발하여, 이 배지에서의 장구균 배양 조건과 배양시간에 따른 균체 증식 속도 등을 조사한 후, 실제 환경시료에 존재하는 장구균 검출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분변오염의 지표가 되는 장구균을 검출하기 위하여 장구균 선택 배지를 개발하였다. 기존에 알려진 여러 장구균 검출 배지 중 총 9종류(Enterococci Confirmatory agar, Azide dextrose agar, Bromocresol-purple azide agar, Esculin bile agar, Citrate azide tween carbonate agar, KF Streptococcus agar, BROLACIN agar, Kanamycin esculin azide agar, Membrane filter Enterococcus selective agar)의 배지를 선별하였고, 배지 성분을 적절히 조합하여 새로운 배지 Enterococcus Mixed medium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llen, H.E., Minear, R.A., and Sues, M.J. 1982. Metal Ions, vol. 2, Chapter 2, pp. 43-168. In Suess, M.J. (ed.), Examination of Water for Pollution Control. A reference handbook-1982. Pergamon, Oxford, UK. 

  2. Audicana, A., Perales, I., and Borrego, J.J. 1995. Modification of kanamycin-esculin-azide agar to improve selectivity in the enumeration of fecal streptococci from water samples. Appl. Environ. Microbiol. 61, 4178-4183. 

  3. Bates, J. 1997. Epidemiology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 the community and the relevance of farm animals to human infection. J. Hosp. Infect. 37 89-101. 

  4. Cohen, J. and Shuval, H.I. 1973. Coliforms, fecal coliforms, and fecal streptococci as indicators of water pollution. Water Air Soil Pollut. 2, 85-95. 

  5. Cooper, R.C. and Danielson, R.E. 1997. Detection of bacterial pathogens in wastewater and sludge, pp. 222-230. In Hurst, C.J., Knudsen, G.R., McInerney, M.J., Stetzenbach, L.D., and Walter, M.V. (eds.), Manual of Environmental Microbiology-1997.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DC, USA. 

  6. Emori, T.G. and Gaynes, R.P. 1993. An overview of nosocomial infections, including the role of the microbiology laboratory. Clin. Microbiol. Rev. 6, 428-442. 

  7. Figueras, M.J., Inza, I., Polo, F., and Guarro, J. 1998. Evaluation of the oxolinic acid-esculin-azide medium for the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faecal streptococci in a routine monitoring programme for bathing waters. Can. J. Microbiol. 44, 998-1002. 

  8. He, J.W. and Jiang, S. 2005. Quantification of enterococci and human adenoviruses in environmental samples by Real-Time PCR. Appl. Environ. Microbiol. 71, 2250-2255. 

  9. Kay, D., Jones, F., Wyer, M.D., Fleisher, J.M., Salmon, R.L., Godfree, A.F., Jacquotte, A.Z., and Shore, R. 1994. Predicting likelihood of gastroenteritis from sea bathing: results from randomised exposure. Lancet 344, 905-909. 

  10. Lee, K.H., Kim, H.S., Kim, B.R., Lee, S.H., In, C.K., and Park, K.R. 2009. Fluorogenic and chromogenic assay for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and total coliform bacter. J. Korean Soc. Water Quality 25, 363-369. 

  11. Noskin, G.A. 1997.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Clinical, microbiologic, and epidemiologic features. J. Lab. Clin. Med. 130, 14-20. 

  12. Perry, J.D., James, A.L., Morris, K.A., Oliver, M., Chilvers, K.F., Reed, R.H., and Gould, F.K. 2006. Evaluation of novel fluorogenic substrates for the detection of glycosidases in Escherichia coli and enterococci. J. Appl. Microbiol. 101, 977-985. 

  13. Sinton, L.W., Donnison, A.M., and Hastie, C.M. 1993a. Faecal streptococci as faecal pollution indicators: a review. Part I: Taxonomy and enumeration. N. Z. J. Mar. Freshwater Res. 27, 101-115. 

  14. Sinton, L.W., Donnison, A.M., and Hastie, C.M. 1993b. Faecal streptococci as faecal pollution indicators: a review. Part II: Sanitary significance, survival, and use. N. Z. J. Mar. Freshwater Res. 27, 117-137. 

  15. Slanetz, L.W. and Bartley, C.H. 1957. Numbers of Enterococci in water, sewage, and feces determined by the membrane filter technique with an improved medium. J. Bacteriol. 74, 591-595. 

  16. Sneath, P.H.A., Mair, N.S., Sharpe, M.E., and Holt, J.G. 1986. Grampositive cocci, pp. 999-1103.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 2. Williams & Wilkins, Baltimore, Maryland, USA. 

  17. Toranzos, G.A. and McFeters, G.A. 1997. Detection of indicator microorganisms in environmental freshwaters and drinking waters, pp. 184-194. In Hurst, C.J., Knudsen, G.R., McInerney, M.J., Stetzenbach, L.D., and Walter, M.V. (eds.), Manual of environmental Microbiology-1997,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DC, USA. 

  18. Volterra, L., Bonadonna, L., and Aulicino, F.A. 1986. Fecal streptococci recoveries in different marine areas. Water Air Soil Pollut. 29, 403-413. 

  19. Yoon, T.H., Lee, H., Lee, S.J., Yeo, I.H., and Eom, S.W. 2010. Detection of Enterococci and their vancomycin resistance in drinking spring-water. Korean J. KSEE 32, 979-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