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가정환경과 유아의 학습행동과의 관계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s, Home Environment, and Preschool Children's Learning Behavior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8 no.1 = no.257, 2010년, pp.15 - 26  

김경미 (경희대학교 아동주거학과) ,  안선희 (경희대학교 아동가족)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s, home environment, and preschool children's learning behavior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44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hildren'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학습행동과의 관련성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와 유아교사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IQ에 비해 학습행동은 개선이 가능하고 개입을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교육의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McDermott,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가정환경이 유아의 학습행동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얻은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논의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주된 관심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가정환경이 유아의 학습행동과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은 유아의 학습행동과 비록 상관계수는 다소 낮았으나 서로 간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상에서 진술한 바와 같이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좋은 학습행동 즉, 주의집중해서 경청하고 자발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하고 사려깊게 반응할 뿐 아니라 잘못에 대한 지적을 받아들이는 특성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태도와 행동이 형성되는데 필요한 환경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본 연구는 아동이 바람직하게 성장하고 발달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고려되는 부모변인 즉,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가정환경이 학습행동과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들 변인 중에 어떤 요인이 학습행동과 더 밀접하게 연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과도한 조기 교육으로 발달수준에 맞지 않는 학습을 강요하여 유아들이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현 상황에서 부모들에게 취학전 준비 교육으로 학습행동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바람직한 학습행동이 형성되기 위한 자녀양육과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러한 태도와 행동이 형성되는데 필요한 환경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본 연구는 아동이 바람직하게 성장하고 발달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고려되는 부모변인 즉,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가정환경이 학습행동과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들 변인 중에 어떤 요인이 학습행동과 더 밀접하게 연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과도한 조기 교육으로 발달수준에 맞지 않는 학습을 강요하여 유아들이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현 상황에서 부모들에게 취학전 준비 교육으로 학습행동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바람직한 학습행동이 형성되기 위한 자녀양육과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가정환경과 유아의 학습행동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어머니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가정환경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학습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넷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가정환경과 유아의 학습행동은 관계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떤 점으로 최근에 학령기의 학업성취를 예언해주는 유아들의 학습행동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관심을 받고 있는가? 일반적으로 학교에서의 학업성취를 예측해 볼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요인으로 IQ를 꼽을 수 있다. 그동안 학령기 아동의 학업성취에서의 차이를 조사하는 연구에서 지능 변인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해 왔다(Brody, 2002; Grigoreneko & Sternberg, 1997). 그러나 지능은 선천적이고 유전적이며 변화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교육효과라는 환경 변화를 충분히 설명해 주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Ceci, 1990; McDermott, Leigh, & Perry, 2002).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 학령기의 학업성취를 예언해주는 유아들의 학습행동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관심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학교에서의 학업성취를 예측해 볼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요인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학교에서의 학업성취를 예측해 볼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요인으로 IQ를 꼽을 수 있다. 그동안 학령기 아동의 학업성취에서의 차이를 조사하는 연구에서 지능 변인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해 왔다(Brody, 2002; Grigoreneko & Sternberg, 1997).
지능은 어떤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가? 그동안 학령기 아동의 학업성취에서의 차이를 조사하는 연구에서 지능 변인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해 왔다(Brody, 2002; Grigoreneko & Sternberg, 1997). 그러나 지능은 선천적이고 유전적이며 변화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교육효과라는 환경 변화를 충분히 설명해 주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Ceci, 1990; McDermott, Leigh, & Perry, 2002).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 학령기의 학업성취를 예언해주는 유아들의 학습행동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관심을 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권연희(2003). 아동의 정서성과 대인간 문제해결전략 및 어머니의 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김선영, 안선희(2006).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과 초기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27(6), 183-197. 

  3. 김현미, 도현심(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4. 문태형(2002). 어머니의 사고양식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아동학회지, 23(6), 49-63. 

  5. 문혁준(1999). 취업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부모효능감이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7(6), 97-107. 

  6. 문혁준(2005). 취학전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6(5), 139-149. 

  7. 문혁준(2008). 부모-자녀 관련 국내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아동학회지, 29(2), 15-31. 

  8. 박수현(2004).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사회적 유능성.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박주희, 이은해(2001). 아동의 또래유능성과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또래관계 관리전략. 아동학회지, 22(4), 1-15. 

  10. 서기남, 문혁준(2008). 발달적으로 적합한 실제(DAP)에 관한 어머니의 신념과 아동기 양육경험,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9(3), 23-40. 

  11. 서소정(2004). 양육효능감: 자녀양육행동 매개 모델. 대한가정학회지, 42(4), 11-27. 

  12. 송진숙, 권희경(2007).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을 예언하는 부모양육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3), 535-544. 

  13. 신숙재(1997).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안선희, 권희경(2005).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과 문식성 발달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6(4), 173-188. 

  15. 안현지(1999).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의 관계 연구. 서울 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우희정, 이숙(1994). 가정환경과 아동의 자기-효능감 간의 인과모형 탐색. 아동학회지, 15(1), 71-90. 

  17. 이선주(2006).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가정환경과 정서지능과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승은, 서 현(2007).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감성지능과의관계. 아동학회지, 28(4), 127-144. 

  19. 이은미(2005). 유아의 리더쉽과 부모양육태도 관계 분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주리(1994). 유아 및 아동의 가정환경 및 또래환경과 역량 지각.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이주현(2004). 과외학습과 부모양육태도가 학업스트레스, 학습태도,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지연, 곽금주(2008). 아동초기 사회경제적 지위(SES)와 가정환경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1(3), 151-165. 

  23. 이진숙(2004). 취학전 시기의 모-자녀관계, 교사 및 또래관계가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4), 333-357. 

  24. 이혜련, 최보가(2000). 유아의 개인 및 부모특성과 정서이해와 정서조절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3(5), 1-14. 

  25. 임말자, 최경순(2003). 유아의 성.연령.기질 및 가정환경 자극과 유아교육기관 적응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2(1), 189-207. 

  26. 임희수, 박성연(2002).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3(1), 37-54. 

  27. 장혜진(2007). 농촌아동의 가정환경자극과 성취동기 및 학교 적응.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정선교, 안선희(2006). 보육시설에 다니는 저소득층 유아의 또래놀이 행동과 학습행동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217-236. 

  29. 전향미(2009).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과 유아의 인성특성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조성연(2002). 학령전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가정환경과 성격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4), 103-111. 

  31. 최지현, 김말경, 박혜원(2008). 가정환경, 개인특성, 학습준비도간의 관계. 2008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00-101. 

  32. 홍계옥(1994).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모자 애착 행동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3. Barnett, D. W., Bauer, A. M., Ehrhardt, K. E., Lents, F, E., & Stollar, S. A.(1996). Keystone targets for changes: Planning for widespread positive consequences. School Psychology Quarterly, 11, 95-117. 

  34. Bradley, R., & Caldwell, B.(1984). The relation of infants' home environments to achievement test performance in the first grade: A follow-up study. Child Development, 55, 803-809. 

  35. Brody, N.(2002). g and the one-many problems: Is one enough: The nature of intelligence. Novartis Foundation Symposium, vol 233(pp. 122-135). NY: Wiley. 

  36. Ceci, S. J.(1990). On intelligence.... more or less: A bioecological treatise on intellectual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7. Childs, G., & McKay, M.(2001). Boys starting school disadvantaged: Implications from teachers' ratings of behaviour and achievement in the first two year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1, 303-314. 

  38. Crase, S. P., Clark, S. G., & Pease, D.(1987).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 Manual. Ames, IA: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39. DiPerna, J. C., & Elliott, S. N.(2002). Promoting academic enablers to improve student achievement: An introduction to the mini-series. School Psychology Reviews, 31, 293-297. 

  40. Eccles, J., Wigfield, A., Harnold, R. D., & Blumenfeld, P.(1993).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children's self and task perceptions during elementary school. Child Development, 64, 830-847. 

  41. Giband-Wallston, J., & Wanderrsman, L. P. (1978, August).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Canada. 

  42. Green, L., & Francis, J.(1988). Children's learning skills at the infant and junior stages: A follow-on study.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8,120-126. 

  43. Grigoreneko, E. L., & Sternberg, R. J.(1997). Styles of learning abilities and academic performance. Exceptional Children, 63, 295-312. 

  44. McDermott, P. A.(1984). Comparative functions of preschool learning style and IQ in predicting future academic performance.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9, 38-47. 

  45. McDermott, P. A.(1995). Sex, race, class and other demographics a sexplanations for children's ability and adjustment: A national appraisal.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3, 75-91. 

  46. McDermott, P. A., Chomat-Mooney, L. I., Grim, S. M., Menaker, M. R., Mordell, M., Tighe, E. A., et al.(2000, June). A nationwide typology of child and adolescent classroom learning patterns. CE credit symposium conducted at the Annual Convention of the Pennsylvania Psychological Association, Harrisburg, PA. 

  47. McDermott, P. A., Green, L. F., Francis, J. M., & Stott, D. H.(2000). Preschool learning behaviors scales. Philadelphia, PA: Edumetric and Clinical Science. 

  48. McDermott, P. A., Leigh, N. M., & Perry, M. A.(200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eschool learning behaviors scale. Psychology in the Schools, 39, 353-365. 

  49. Schaefer, B. A.(2004). A Demographic survey of learning behaviors among American students. School Psychology Review, 33(4), 481-496. 

  50. Schaefer, B. A., & McDermott, P. A.(1999). Learning behavior and intelligence as explanations for children's scholastic achieve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7, 299-313. 

  51. Wasik, B. H., Ramey, C. T., Bryant, D. M., & Sparling, J.(1990). A longitudinal study of two early intervention strategies: Project CARE. Child Development, 61, 1682-1696. 

  52. Webster-Stratton, C., & Herbert, M.(1994). Troubled families-problem children: Working with parents: A collaborative process. Chichester, England: John Wiley & Sons. 

  53. Yen, C. J., Konold, T. R., & McDermott, P. A.(2004). Does learning behavior augment cognitive ability as an indicator of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2, 157-16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