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도 주변의 해수에서 분리한 세균의 다양성과 군집구조 분석
Bacterial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Cultivable Bacteria Isolated from Dokdo Island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8 no.3, 2010년, pp.263 - 272  

성혜리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경북대학교 울릉도.독도연구소) ,  김사열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경북대학교 울릉도.독도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독도 연안에 존재하는 배양 가능한 미생물의 다양성을 16S rRNA 분석으로 조사하였다. 동도 선착장 주변과 서도 숙소 부근을 중심으로 채취한 시료에서 163개의 해양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미생물 163종을 16S rRNA 염기서열의 분석을 이용하여 부분동정 할 수 있었다. 부분동정된 미생물은 gamma-proteobacteria(58%), alpha-proteobacteria (20%), bacteriodetes(16%) 계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그 외에도 low G+C Gram positive bacteria와 epsilonproteobacteria가소수 동정 되었다. 염기서열이 분석된 미생물들은 이전에 보고된 미생물들의 16S rRNA 유전자와 93.3%에서 100%의 유사도를 보이며 56속 94종으로 부분 동정되었다. 163종의 부분 동정된 미생물 중 36개의 분리 미생물이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후보군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독도연안 바닷물에는 proteobacteria와 bacteriodetes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미생물 다양성을 높게 유지하고 있었다. 이 다양한 미생물로부터 다양한 유용미생물 자원을 확보할 수 있고,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후보군 들은 추후 여러 생리생화학적 실험을 수행하여 새로운 종 또는 새로운 속으로 발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hundred sixty three strains showing different colon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n different concentration of marine agar (MA) plates were isolated from ambient seawater near Dokdo island. Bacterial diversity and distributions were studied by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partial 16S rRNA ge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독도의 동도 연안과 선착장 주변, 서도 어민 숙소 근처에서 2007년과 2008년에 3차례에 걸쳐 해수와 모래 등을 채집하여 해양 세균을 분리한 후, 그 염색체 DNA를 추출하여 16S r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부분동정을 통하여 독도에 존재하는 해양미생물의 종류를 밝혔다. 동시에 독도에 서식하는 배양가능한 세균의 우점속을 파악하며, 새로운 종 또는 새로운 속으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나아가 보다 유용한 세균 자원 확보를 위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도란 무엇인가? 독도는 북서태평양 연해인 동해의 중남부에 위치하고 있는 화산섬으로 수리적 위치는 동도, 서도 및 그 주변에 흩어져 있는 89개의 바위섬으로 이루어진 화산섬이다. 동도는 동경 131도 52분 10.
해양미생물군집이란 무엇인가? 그러므로 어느 한 구성원이 변화를 보이면 다른 구성원의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26]. 특히 해양미생물군집은 유기물 분해와 영양물질 순환 등으로 인하여 해양 생태계에서 생산자이면서 분해자로 생태계의 안정한 동적 평형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생물군집이다. 그래서 해양생태계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인 미생물에 의한 역할과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6, 9, 22].
독도 연안에 존재하는 배양 가능한 미생물의 다양성을 16S rRNA 분석으로 조사한 결과는 무엇인가? 독도 연안에 존재하는 배양 가능한 미생물의 다양성을 16S rRNA 분석으로 조사하였다. 동도 선착장 주변과 서도 숙소 부근을 중심으로 채취한 시료에서 163개의 해양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미생물 163종을 16S rRNA 염기서열의 분석을 이용하여 부분동정 할 수 있었다. 부분동정된 미생물은 gamma-proteobacteria(58%), alpha-proteobacteria (20%), bacteriodetes(16%) 계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그 외에도 low G+C Gram positive bacteria와 epsilonproteobacteria가소수 동정 되었다. 염기서열이 분석된 미생물들은 이전에 보고된 미생물들의 16S rRNA 유전자와 93.3%에서 100%의 유사도를 보이며 56속 94종으로 부분 동정되었다. 163종의 부분 동정된 미생물 중 36개의 분리 미생물이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후보군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독도연안 바닷물에는 proteobacteria와 bacteriodetes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미생물 다양성을 높게 유지하고 있었다. 이 다양한 미생물로부터 다양한 유용미생물 자원을 확보할 수 있고,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후보군 들은 추후 여러 생리생화학적 실험을 수행하여 새로운 종 또는 새로운 속으로 발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lfreider, A., J. Pernthhaler, R. Amann, B. Sattler, F. O. GlOckner, A. Wille, and R. Psenner. 1996. Community analysis of the bacterial assemblages in the winter cover and pelagic layers of high mountain lake by in situ hybridization. Appl. Environ. Microbiol. 62: 2138-2144. 

  2. Amann, R. I., W. Ludwig, and K. H. Schleifer. 1995. Phylogenetic identification and in situ detection of individual microbial cells without cultivation. Microbiol. Rev. 59: 143-169. 

  3. Buchan, A., J. M. Gonzalez, and M. A. Moran. 2005. Overview of the marine Roseobacter lineage. Appl. Environ. Microbiol. 71: 5665-5677. 

  4. Burns, A., M. Roche, and L. Berthe-Corti. 2001. Muricauda ruestringensis gen. nov., sp. nov., a facultatively anaerobic, appendaged bacterium from German North sea intertidal sediment. Int. J. Syst. Evol. Microbiol. 51: 1997-2006. 

  5. Campbell, B. J., A. S. Engel, M. L. Porter, and K. Takai. 2006. The versatile $\varepsilon$ -proteobacteria: key players in sulphidic habitats. Nat. Rev. Microbiol. 4: 458-468. 

  6. Cho B. C. and F. Azan. 1988. Major role of bacteria in biogeochemical fluxes in the ocean's interior. Nature 332: 441-443. 

  7. Cottrell, M. T. and D. L. Kirchman. 2000. Community composition of marine bacterioplankton determined by 16S rRNA gene clone libraries an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Appl. Environ, Microbiol. 66: 5116-5122. 

  8. Cottrell, M. T. and D. L. Kirchman. 2000. Natural assemblages of marine proteobacteria and members Cytophaga- Flavobacter cluster consuming low- and high-molecularweight dissolved organic matter. Appl. Environ. Microbiol. 66: 1692-1697. 

  9. Ducklow H. W., A. P. Duncan, P. J. L. Williams, and M. D. John. 1986. Bacterioplankton: a sink for carbon in a coastal marine plankton community, Science 232: 865-867. 

  10. Eilers, H., J. Pernthaler, F. O. GlOckner, and R. Aman. 2000. Culturability and in situ abundance of pelagic bacteria from the North Sea. Appl. Environ, Microbiol. 66: 3044-3051. 

  11. Fabiano, L. Thompson, I. Tetsuya, and S. Jean. 2004. Biodiversity of Vibrios. Microbiol. Mol. Biol. Rev. 68: 403-431. 

  12.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esi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13. GlOckner, F. O., B. M. Fuchs, and R. Aman. 1999. Bacterioplankton compositions of lakesand oceans: a first comparison based on fluorescence- in situ-hybridization. Appl. Environ. Microbiol. 65: 3721-3726. 

  14. Gonzalez, J. M., and M. A. Moran. 1997. Numerical dominance of a group of marine bacteria in the $\alpha$ -subclass of the class Proteobacteria in coastal seawater. Appl. Environ. Microbiol. 63: 4237-4242. 

  15. Gonzalez, J. M., W. B. Whitman, R. E. Hodson, and M. A. Moran. 1996. Identifying numerically abundant culturable bacteria from complex communities: an example from a lignin enrichment culture. Apple. Environ. Microbiol. 62: 4433-4440. 

  16. Gong, Y. and S. J. Son. 1982. A study of oceanic thermal fronts in the Southern Japan Sea. Bull. Fish. Res. Dev. Agency 28: 25-54. 

  17. Holmes, B. 1991. The genera Flavobacterium, Sphingobacterium, and Weeksella, In A. Balows, H. G. Truper, M. Dworkin, W. Harder, and K.-H. Schleifer (eds.). The prokaryotes. Springer-Verlag, Berlin, Germany. pp. 3620-3630. 

  18. Ivanova, E. P., T. Sawabe, N. M. Gorshkova, V. I. Svetashev, V. V. Mikhailov, D. V. Nicolau, and R. Christen. 2001. Shewanella japonica sp. nov. Int. J. Syst. Evol. Microbiol. 51: 1027-1033. 

  19. Ivanova, E. P., T. Sawabe, N. V. Zhukova, N. M. Gorshkova, O. I. Nedashkovskaya, K. Hayashi, G. M. Frolova, A. F. Sergeev, K. G. Pavel, V. V. Mikhailov, and D. V. Nicolau. 2003. Occurrence and diversity of mesophilic Shewanella strains isolated from the North-West Pacific Ocean. Syst. Appl. Microbiol. 26: 293-301. 

  20. Jeon, S. A., H. R. Sung, Y. M. Park, J. H. Park, and S.- Y. Ghim. 2009. Analysis of endospore-forming bacteria or nitrogen-fixing bacteria community isolated from plants rhizosphere in Dokdo island.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 189-196. 

  21. Jukes, T. H. and C. R. Cantor. 1969. Evolution of protein molecules. In Mammalian protein metabolism, (Munro, H. N. eds.) pp. 21-132. New York, Academic Press, USA. 

  22. Kang H. and D. S. Kang. 2002. Contribution of marine microbes to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Korea Strait. J. Kor. Soc. Oceanogr. 1: 35-44. 

  23. Kim, B. S., H. M. Oh, H. J. Kang, S. S. Park, and J. S. Chun. 2004. Remarkable bacterial diversity in the tidal flat sediment as revealed by 16S rDNA analysis. J. Microbiol. Biotechnol. 14: 205-211. 

  24. Lee, D. S., Y. S. Kim, S. Y. Jeong, C. K. Kang, and W. J. Lee. 2008.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s of marine bacteria in the surface sediments of Kamak Bay in winter and summer. J. Environ. Sciences 17: 755-765. 

  25. Lee, J. B., M. S. Han and H. S. Yang. 1998. The ecosystem of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Korea 1.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primary productivity in September, 1994. J. Korean Fish . Soc. 31: 45-55. 

  26. Lee, J. H., H. H. Shin, D. S. Lee, K. K. Kwon, S. J. Kim, and H. K. Lim. 1999. Bacterial diversity of cultivable isolates from sea water and a marine coral, Plexauridae sp. near Mun-Sum, Cheju-Island. J. Microbiol. 37: 193-199. 

  27. Maidak, B. L., J. R. Cole, T. G. Parker, CT Jr., P. R. Saxman, J. M. Stredwick, G. M. Garrity, B. Li, G. H. Olsen, S. Paranik, T. M. Schmidt, and J. M. Tiedje. 2000. The RDP (Ribosomal Database project) continues. Nucleic acids Res. 28: 173-174. 

  28. McClung, C. R., D. G. Patriquin, and R. E. Davis. 1983. Campylobacter nitrofigilis sp. nov., a nitrogen-fixing bacterium associated with roots of Spartina alternijlora Loisel. Int. J. Syst. Bacteriol. 33: 605-612. 

  29. MEthe, B. A., W. D. Hiorns, and J. P. Zehr. 1998. Contrasts between marine and freshwater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analyses of communities in Lake George and six other Adirondack lakes. Limnol. Oceanogr. 43: 368-374. 

  30. Olsen, G. J., D. J. Lane, S. J. Giovannoni, and N. R. Pace. 1986. Microbial ecology and evolution: a ribosomal RNA approach. Ann. Rev. Microbiol. 40: 337-365. 

  31. Pernthaler, J., F. O. GlOckner, S. Unterholzner, A. Alfreider, R. Psenner, and R. Amann. 1998. Seasonal community and population dynamics of pelagic bacteria and archaea in a high mountain lake. Appl. Environ, Microbiol. 64: 4299-4306. 

  32. Prado, S., J. Montes, J. L. Romalde, and J. L. Barja. 2009. Inhibitory activity of Phaeobacter strains against aquaculture pathogenic bacteria. Int. Microbiol. 12: 107-114. 

  33. Saitou, N. and M. Nei.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34. Vandamme, P., E . Falsen, R. Rossau, B. Hoste, P. Segers, R. Tytgat, J. De Ley. 1991. Revision of Campylobacter, Helicobacter, and Wolinella taxonomy: emendation of generic descriptions and proposal of Arcobacter gen. nov. Int. J. Syst. Evol. Microbiol. 41: 88-103. 

  35. Wagner-Dobler, I. and H. Biebl. 2006. Environmental biology of the marine Roseobacter lineage. Annu. Rev. Microbiol. 60: 255-280. 

  36. Wang J, X. Jiang, X. Mou, and H. Guan, 2004. Antioxidation of agar oligosaccharides produced by agarase from a marine bacterium. J. Appl. Phycol. 16: 333-340. 

  37. Wimpenny, J. W., W. L. T. Robert, and C. Philip. 1983. Laboratory model systems for the investigation of spatially and temporally organized microbial ecosystems. In microbes in their natural environments. Cambridge Univ. Press. pp. 67-117. 

  38. Woo., P. C. Y., S. K. P. Lau, J. L. L . Teng, H. Tse, and K. Y. Yuen. 2008 Then and now : use of 16S rDNA gene sequencing for bacterial identification and discovery of novel bacteria in clinical microbiology laboratories. C.M.I. 14: 908-934. 

  39. Yoon, J. H., S. T. Lee, and Y. H. Park. 1998. Inter- and intraspecific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genus Norcardioides and related taxa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Int. J. Syst. Bacteriol. 48: 187-194. 

  40. Yoon, J. H., K. H. Kang, S. Y. Lee, C. H. Lee and T. K. Oh. 2005. Maribacter dokdonensis sp. nov., isolated from sea water off a Korean island, Dokdo. Int. J. Syst. Evol. Microbiol. 54: 487-491. 

  41. Yoon, J. H., S. J. Kang, S. Y. Lee, M. H. Lee, and T. K. Oh. 2005. Virgibacillus dokdonensis sp. nov., isolated from a Korean island, Dokdo, located at the edge of the East Sea in Korea. Int. J. Syst. Evol. Microbiol. 51: 1079-1086. 

  42. Yoon, J. H., S. J. Kang, and T. K. Oh. 2006. Polaribacter dokdonensis sp. nov., isolated from seawater. Int. J. Syst. Evol. Microbiol. 56: 1251-12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