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김치발효에서 Weissella 속의 중요성과 앞으로의 연구 과제
Importance of Weissella Species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Future Works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8 no.4, 2010년, pp.341 - 348  

이강욱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 ,  박지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 ,  천지연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한남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정환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issella 종들은 김치발효중 가장 흔히 검출되는 유산균 들이지만 이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새로운 속으로 비교적 최근에 정립된 점이 연구가 미흡한 한 이유이고 생화학적 특성들에 기초한 동정법의 부정확성도 다른 이유가 된다. 현재 14종이 등록되어 있으나 새로운 종들이 계속 보고되고 있다. Weissella들의 특성과 김치발효중 역할을 상세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맛과 기능성이 우수한 김치 제조를 위해 Weissella 균주들의 장점을 충분히 이용하려할 경우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issella species are one of the most common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during kimchi fermentation but few researches have been done on this group of organisms. Its recent establishment as a separate genus is one reason for the few studies. Another reason is probably poor resolution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Cho 등(2006)은 김치냉장고내 온도가 다른 저장칸에서 저장한 김치를 대상으로 미생물 천이를 조사하였다[10]. 15℃에서 2일간 둔 후 24시간 동안 -1℃로 온도가 낮아지도록 프로그램하여 저장한 김치(15℃ 김치)와 10oC에서 4일간 둔 후 12시간 이내에 -1℃로 낮추어 저장한 김치(10℃ 김치)를 비교하였다. 15℃ 김치의 경우 Leu.
  • 또 중합체 구조분석을 통해서 glucose 단위들이 β-1,3 결합으로 연결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 다양한 맛을 내는 김치 제조를 위해 예상되는 제조 과정들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먼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맛을 지닌 김치의 상세한 대사물 분석을 통해 대사물 프로파일을 얻고 그런 프로파일에 적합한 균주들을 선발한다. 선발 균주(들)을 김치에 접종하고 대사물 생산에 적합한 조건(발효온도와 탄소원)에서 발효를 진행하면서 발효중 그리고 발효후 대사물 분석과 관능검사를 통해 기대한 대사물 조성과 맛을 지닌 김치가 얻어졌는지 확인한다.
  • 먼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맛을 지닌 김치의 상세한 대사물 분석을 통해 대사물 프로파일을 얻고 그런 프로파일에 적합한 균주들을 선발한다. 선발 균주(들)을 김치에 접종하고 대사물 생산에 적합한 조건(발효온도와 탄소원)에서 발효를 진행하면서 발효중 그리고 발효후 대사물 분석과 관능검사를 통해 기대한 대사물 조성과 맛을 지닌 김치가 얻어졌는지 확인한다. 체계적으로 이런 방법을 사용한다면 소비자의 국적이나 지역 혹은 연령대별로 가장 적합한 맛을 지닌 김치 제조가 가능할 것이다.
  • 이를 잘 보여준 예가 Bae 등(2005)의 보고이다[2]. 여기서는 유리판에 고정화시킨 유산균 genomic DNA들에 김치에서 추출한 DNA를 첨가하여 DNA-DNA hybridization을 일으키는 genome-probing microarray(GPM)가 시도하였다. 총 149개 유산균 genomic DNA들이 사용되었고 김치 발효 단계별로 총 99균주들이 검출되었다.

이론/모형

  • Kim과 Chun(2005)은 시판 김치들에 존재하는 유산균들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조사하여 종을 먼저 확인하고 다음 증폭된 16S rDNA를 제한효소 MspI으로 절단하여 얻는 DNA 패턴을 분석하는, ARDRA법(Amplified Ribosomal DNA Restriction Analysis)을 분석에 사용하였다[23]. 조사한 5점 김치 모두에서 W.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eissella 속 균을 김치에 접종할 경우, 예상되는 효과는? Weissella 속 균들은 이상유산발효를 수행하며 그 결과 비교적 적은 양의 유산을 생성하기에 종균으로 김치에 접종할 경우 산도를 낮추어 줄 것이 예상된다. Park 등(2001)이 깍두기 김치에서 분리한 W.
Weissella 속 균들은 어떤 균들인가? Weissella 속 균들은 유산균에 포함되는 그램 양성 무포자 형성균이다. 그 대표적 형태는 Fig.
본 연구에서, 김치 발효 단계별로 우점종인 유산균 종들을 신속히 파악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김치 발효 단계별로 우점종인 유산균 종들을 신속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DGGE(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방법이 효과적이다. 박 등(2003)은 4oC에서 60일간 발효시킨 김치에서 추출한 DNA로부터 증폭한 16s rRNA 유전자들에 대해 DGGE를 수행하였다[37]. 그 결과 Leu.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hn, D.-K., T.-W. Han, H.-Y. Shin, I.-N. Jin, and S.-Y. Ghim. 2003. Divers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 J. Microbiol. Biotechnol. 31: 191-196. 

  2. Bae, J.-W., S.-K. Rhee, J. R. Park, W.-H. Chung, Y.-D. Nam, I. Lee, H. Kim, and Y.-H. Park. 200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genome-probing microarray for monitoring lactic acid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71: 8825-8835. 

  3. Bjorkroth, K. J., R. Geisen, U. Schillinger, N. Weiss, P. De Vos, W. H. Holzapfel, H. J. Korkeala, and P. Vandamme. 2000. Characterization of Leuconostoc gasicomitatum sp. nov., associated with spoiled raw tomato-marinated broiler meat strips packaged under modified-atmosphere conditions. Appl. Environ. Microbiol. 66: 3764-3772. 

  4. Bjorkroth, K. J., U. Schillinger, R. Geisen, N. Weiss, B. Hoste, W. H. Holzapfel, H. J. Korkeala, and P. Vandamme. 2002. Taxonomic study of Weissella confusa and description of Weissella cibaria sp. nov., detected in food and clinical samples. Int. J. Syst. Evol. Microbiol. 52: 141-148. 

  5. Champagne, C. P., T. A. Tompkins, N. D. Buckley, and J. M. Green-Johnson. 2010. Effect of fermentation by pure and mixed cultures of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Lactobacillus helveticus on isoflavone and B-vitamin content of a fermented soy beberage. Food Microbiol. 27: 968-972. 

  6. Chang, H.-W., K.-H. Kim, Y.-D. Nam, S. W. Roh, M.-S. Kim, C. O. Jeon, H.-M. Oh, and J.-W. Bae. 2008. Analysis of yeast and archaeal population dynamics in kimchi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Int. J. Food Microbiol. 126: 159-166. 

  7. Cheigh, H. S. and K. Y. Park. 1994.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Crit. Rev. Food Sci. Nutr. 34: 175-203. 

  8. Chi, H., D.-H. Kim, and G.-E. Ji. 2005. Transformation of ginsenosides Rb2 and Rc from Panax ginseng by food microorganisms. Biol. Pharm. Bull. 28: 2102-2105. 

  9. Chin, H. S., F. Breidt, H. P. Fleming, W.-C. Shin, and S.-S. Yoon. 2006. Identification of predominant bacterial isolates from the fermenting kimchi using ITS-PCR and partial 16S rDNA sequence analyses. J. Microbiol. Biotechnol. 16: 68-76. 

  10. Cho, J.-H., D.-Y. Lee, C.-N. Yang, J.-I. Jeon, J.-H. Kim, and H.-U. Han. 2006. Microbial population dynamics of kimchi, a fermented cabbage product. FEMS Microbiol. Lett. 257: 262-267. 

  11. Choi, H.-J., C.-I. Cheigh, S.-B. Kim, J.-C. Lee, D.-W. Lee, S.-W. Choi, J.-M. Park, and Y.-R. Pyun. 2002. Weissella kimchii sp. nov., a novel lactic acid bacterium from kimchi. Int. J. Syst. Evol. Microbiol. 52: 507-511. 

  12. Choi, I.-K., S.-H. Jung, B.-J. Kim, S.-Y. Park, J. Kim, and H.-U. Han. 2003. Novel Leuconostoc citreum starter culture system for the fermentation of kimchi, a fermented cabbage product. Antonie van Leeuwenhoek 84: 247-253. 

  13. Chun, J., G. M. Kim, K. W. Lee, I. D. Choi, G.?H. Kwon, J.? H. Park, S.?J. Jeong, J. S. Kim, and J. H. Kim. 2007. Conversion of isoflavone glucosides to aglycones in soymilk by ferment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J. Food. Sci. 72: 39-44. 

  14. Chun, J., J. S. Kim and J. H. Kim. 2008. Enrichment of isoflavone aglycones in soymilk by fermentation with single and mixed cultures of Streptococcus infantarius 12 and Weissella sp. 4. Food Chem. 109: 278-284. 

  15. Collins, M. D., J. Samelis, J. Metaxopoulos, and S. Wallbanks. 1993. Taxonomic studies on some leuconostoc-like organisms from fermented sausages: description of a new genus Weissella for the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group of species. J. Appl. Bacteriol. 75: 595-603. 

  16. De Bruyne, K., N. Camu, K. Lefebvre, L. De Vuyst, and P. Vandamme. 2008. Weissella ghanensis sp. nov., isolated from a Ghanaian cocoa fermentation. Int. J. Syst. Evol. Microbiol. 58: 2721-2725. 

  17. De Bruyne, K., N. Camu, L. De Vuyst, and P. Vandamme. 2010. Weissella fabaria sp. nov., from a Ghanaian cocoa fermentation. Int. J. Syst. Evol. Microbiol. 60: 1999-2005. 

  18. Donkor, O. N. and N. P. Shah. 2008. Production of betaglucosidase and hydrolysis of isoflavone phytoestrogens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Bifidobacterium lactis, and Lactobacillus casei in soymilk. J. Food. Sci. 73: 15-20. 

  19. Ennahar, S. and Y. Cai. 2004. Genetic evidence that Weissella kimchii Choi et al. 2002 is a later heterotypic synonym of Weissella cibaria Bjorkroth et al. 2002. Int. J. Syst. Evol. Microbiol. 54: 463-465. 

  20. Hong, S. W., L. K. You, B. M. Jung, W. S. Kim, and K. S. Chung. 2009. Characterization of $\alpha-galactosidase$ and $\beta-glucosidase$ by Weissella cibaria.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 204-212. 

  21. Izumi, T., M. K. Piskula, S. Osawa, A. Obata, K. Tobe, M. Saito, S. Kataoka, Y. Kubota, and M. Kikuchi. 2000. Soy isoflavone aglycones are absorbed faster and in higher amounts than their glucosides in humans. J. Nutrit. 130: 1695-1699. 

  22. Kim, B., J. Lee, J. Jang, J. Kim, and H. Han. 2003. Leuconostoc inhae sp. nov., a lactic acid bacterium isolated from kimchi. Int. J. Syst. Evol. Microbiol. 53: 1123-1126. 

  23. Kim, M.-J. and J.-S. Chun. 2005.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kimchi, a Korean fermented vegetable food, as revealed by 16S rRNA gene analysis. Int. J. Food Microbiol. 103: 91-96. 

  24. Kim, M.-J., H. N. Seo, T. S. Hwang, S. H. Lee, and D. H. Park. 2008. Characterization of exopolysaccharide (EPS) produced by Weissella hellenica SKkimchi3 isolated from kimchi. The J. Microbiol. 46: 535-541. 

  25. Lee, C.-W., C.-Y. Ko, and D.-M. Ha. 1992. Microbial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102-109. 

  26. Lee, D.-Y., S.-J. Kim, J.-H. Cho, and J.-H. Kim. 2008. Microbial population dynamics and temperature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kimjang Kimchi. The J. Microbiol. 46: 590-593. 

  27. Lee, H.-J., Y.-J. Joo, C.-S. Park, J. S. Lee, Y.-H. Park, J.-S. Ahn, and T.-I. Mheen. 1999. Fermentation patterns of green onion kimchi and Chinese cabbage kimchi. Kor. J. Food Sci. Technol. 31: 488-494. 

  28. Lee, J.-S., K. C. Lee, J.-S. Ahn, T.-I. Mheen, Y.-R. Pyun, and Y.-H. Park. 2002. Weissella koreensis sp. nov., isolated from kimchi. Int. J. Syst. Evol. Microbiol. 52: 1257-1261. 

  29. Lee, J.-S., G.-Y. Heo, J. W. Lee, Y.-J. Oh, J. A. Park, Y.-H. Park, Y.-R. Pyun, and J. S. Ahn. 2005. Analysis of kimchi microflora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Int. J. Food Microbiol. 102:143-150. 

  30. Lee, S. O., C. S. Kim, S. K. Cho, H. J. Choi, G. E. Ji, and D. K. Oh. 2003. Bioconversion of linoleic acid into conjugated linoleic acid during fermentation and by washed cells of Lactobacillus reuteri. Biotechnol. Lett. 25: 935-938. 

  31. Liang, Z.-Q., S. Srinivasan, Y.-J. Kim, H.-B. Kim, H.-T. Wang, and D.-C. Yang. 2010. Lactobacillus kimchicus sp. nov., a $\beta-glucosidase$ producing bacterium isolated from kimchi. Int. J. Syst. Evol. Microbiol. (in press) doi:10.1099/ ijs.0.017418-0. 

  32. Magnusson, J., H. Jonsson, J. Schnurer, and S. Roos. 2002. Weissella soli sp. nov., a lactic acid bacterium isolated from soil. Int. J. Syst. Evol. Microbiol. 52: 831-834. 

  33. Mheen, T.-I. and T.-W. Kwon.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34. Nam, Y.-D., H.-W. Chang, K.-H. Kim, S.-W. Roh, and J.-W. Bae. 2009. Metatranscriptome analysis of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with genome-probing microarrays. Int. J. Food Microbiol. 130: 140-146. 

  35. Padonou, S. W., U. Schillinger, D. S. Nielsen, C. M. A. P. Franz, M. Hansen, J. D. Hounhouigan, M. C. Nago, and M. Jakobsen. 2010. Weissella beninensis sp. nov., a motile lactic acid bacterium from submerged cassava fermentations, and emended description of the genus Weissella. Int. J. Syst. Evol. Microbiol. 60: 2193-2198. 

  36. Park, H. J., Y.-H. Park, and Y. B. Kim. 2001. Characterization of growth and ethanol formation of Weissella paramesenteroides P30. Food Sci. Biotechnol. 10: 72-75. 

  37. Park, J. A., G.?Y. Heo, J. S. Lee, Y. J. Oh, B. Y. Kim, T. I. Mheen, C. K. Kim, and J. S. Ahn. 2003. Change of microbial communities in kimchi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The Kor. J. Microbiol. 39: 45-50. 

  38. Pham, T. T and N. P. Shah. 2008. Effect of lactulose on biotransformation of isoflavone glycosides to aglycones in soymilk by lactobacilli. J. Food. Sci. 73: 158-165. 

  39. Raimondi, S., L. roncaglia, M. de Lucia, A. Amaretti, A. Leonardi, U. M. Pagnoni, and M. Rossi. 2009. Bioconversion of soy isoflavones daidzin and daidzein by Bifidobacterium strains. Appl. Microbiol. Biotechnol. 81: 943-950. 

  40. Shim, S.-M. and J.-H. Lee. 2008. Evalu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community in Kimchi using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 247-259. 

  41. Tanasupawat, S., O. Shida, S. Okada, and K. Komagata. 2000. Lactobacillus acidipiscis sp. nov. and Weissella thailandensis sp. nov., isolated from fermented fish in Thailand. Int. J. Syst. Evol. Microbiol. 50: 1479-1485. 

  42. Tang, A. L., N. P. Shah, G. Wilcox, K. Z. Walker, and L. Stojanovska. 2007. Fermentation of calcium-fortified soymilk with Lactobacillus: effects on calcium solubility, isoflavone conversion, and production of organic acids. J. Food. Sci. 72: 431-436. 

  43. Yu, J.-J., H.-J. Park, S.-G. Kim, and S.-H. Oh. 2009.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eissella strains with high ornithine producing capacity from kimchi. Kor. J. Microbiol. 45: 339-3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