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청지역 누룩에서 양조용 우수 곰팡이의 탐색 및 특성
Screening and Characteristics of Useful Fungi for Brewing from Commercial Nuruk in Chungcheong Provinces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8 no.4, 2010년, pp.373 - 378  

백성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윤혜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최혜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홍승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구본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명자원부) ,  여수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술의 주질개선 및 현장 실용화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술 담금의 기본재료인 누룩의 규격화 및 품질향상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누룩에 생육하는 우수 양조미생물의 분리 발굴, 균주개량 및 보존관리 등 우리 고유의 양조미생물 자원을 확보하고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누룩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충청지역에서 시판되고 있는 누룩을 수집하여 희석평판 배양법으로 174개 균주를 분리하여 효소활성 검정을 통하여 효소 활성이 높은 균주를 다수 분리하였다. 분리된 곰팡이를 대상으로 액화력 및 당화력 등의 효소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선발된 활성균주의 동정을 위해 genomic DNA상의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 부위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Aspergillus sp.(4균주), Rhizopus sp.(4균주), Rhizomucor sp.(2균주), Mycocladus sp.(2균주)으로 동정되었다. 밀기울을 사용한 고체배양에서 액화력, 당화력 및 산 생성능을 검토한 결과, Rhizopus sp. CN084, CN174, Aspergillus sp. CN161와 Mycocladus sp. CN042 균주가 효소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spergillus sp. CN010, CN161, Rhizopus sp. CN105, CN168 균주와 Rhizomucor sp. CN088 균주는 산 생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균주가 양조를 위한 누룩의 원료 균주로서 사용될 경우 단일 누룩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udies on standardization and quality upgrade of nuruk which is a basic component in brewing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quality level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s and to develop the technology for practical use of it. It is important to isolate best strains, to improve the properties and ef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통주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충청지역 누룩에서 생육하는 우수 균주를 분리 · 선발하고, 이들 균주의 미생물학적 특성 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 발효주 제조 시, 누룩곰팡이의 역할은? 전통누룩은 고온 다습한 여름철에 자연적으로 곡물(밀)에 생육하는 다양한 미생물군(곰팡이, 효모 및 유산균)을 이용 하여 제조한 것으로, 주로 밀을 원료로 만들어지며 저온에서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미생물군에 의해 발효되며, 지역에 따라 옥수수, 보리, 대두, 귀리, 조 및 백미 등의 잡곡류가 사용되기도 한다[12, 18]. 또한, 누룩곰팡이의 전분분해효소 작용으로 당화 효소제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효모 증식으로 알코올을 생산하는 역할까지 수행하는 병행복발효로 전통 발효주에 향과 맛을 낸다[13].
전통누룩은 무엇인가? 전통누룩은 고온 다습한 여름철에 자연적으로 곡물(밀)에 생육하는 다양한 미생물군(곰팡이, 효모 및 유산균)을 이용 하여 제조한 것으로, 주로 밀을 원료로 만들어지며 저온에서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미생물군에 의해 발효되며, 지역에 따라 옥수수, 보리, 대두, 귀리, 조 및 백미 등의 잡곡류가 사용되기도 한다[12, 18]. 또한, 누룩곰팡이의 전분분해효소 작용으로 당화 효소제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효모 증식으로 알코올을 생산하는 역할까지 수행하는 병행복발효로 전통 발효주에 향과 맛을 낸다[13].
전통 누룩 제조법의 현대화와 품질 표준화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배경은? 누룩 미생물 연구는 누룩에서 분리한 황곡균의 특성[17, 22], 누룩미생물의 문헌적 고찰[23, 24], 한국 전통누룩에서 분리한 유용 곰팡이의 특성[11], 한국 재래식 누룩 중의 곰팡이의 분리 및 동정[8], 소곡주 공장의 공기로부터 곰팡이의 분리 및 동정[19], 효모 연구는 누룩으로부터 분리한 야생형 효모의 청주제조 가능성에 관한 연구[10], 전통 누룩에서 분리된 Saccharomyces cerevisiae HA3을 이용한 하향 주의 제조 및 특성[9] 등 여러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분리 균주 보존관리가 미흡하고, 산업적 활용성이 낮은 상태이다. 농가에서 전통방식으로 제조한 누룩에서 곰팡이, 효모 및 유산균 등 다양한 균총의 존재로 생산된 누룩 또한 비위생적이고 역가가 낮은 제품들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통 누룩 제조법의 현대화 및 품질 표준화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국세청기술연구소. 2008. 주류분석규정(7차 개정), 서울, pp. 12-15. 

  2. 김종실. 2009. 우리술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전통주 산업 진흥 및 명품화 전략을 위한 세미나. 한국전통주진흥협회. pp. 5-24. 

  3. 박록담. 2009. 만인의 술이라야. 전통주 산업 진흥 및 명품화 전략을 위한 세미나. 한국전통주진흥협회. pp. 25-33. 

  4. 박록담, 전경례, 안계희, 심유미, 김소현, 김유미, 최원. 2005. 한국의 전통명주(4) 버선발로 디딘 누룩. 코리아쇼케이스. pp. 26-28. 

  5. 주현규, 조광연, 박충균, 조규성, 채수규, 마상조. 1995. 식품분석법. pp. 290-293. 

  6. de Hoog, G., S. J. Guarro, J. Gene, and M. J. Figueras. 2000. Atlas of clinical fungi. Centraalbureau voor Schimmelcultures, Utrecht, The Netherlands. 

  7. Dugan, F. M. 2006. The Identification of fungi; an illustrated introduction with keys, glossary and guide to literature. APS Press, St. Paul. Minnesota, U.S.A. 

  8. Jo, G. Y. and C. W. Lee. 199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fungi from Nuruk. J. Korean Soc. Food Nutr. 26: 759-766 

  9. Jung, H. K., C. D. Park, H. H. Park, G. D. Lee, I. S. Lee, and J. H. Hong. 2006.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Hahyangju prepar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HA3 isolated from traditional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59-667 

  10. Kim, H. S., J. S. Hyun, J. Kim, H. P. Ha, and T. S. Yu. 1997. Characteristics of useful fungi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J. Korean Soc. Food Nutr. 26: 767-774 

  11. Kim, I. H. and W. S. Park. 1996. Comparison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with different input step and treatment of rice and Nuruk Korean-style bran koji. Korean J. Dietary Culture. 11: 339-348 

  12. Kim, M. J. 2002. The study about traditional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9: 324-329. 

  13. Kim, H. R., S. H. Baek, M. J. Seo, and B. H. Ahn. 2006. Feasibility of Cheonghju Brewing with Wild Type yeast strains from Nuruk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4: 244-249. 

  14. Kim, S. H., A. Uzunovic, and C. Breuil. 1999. Rapid detection of Ophiostoma piceae and O. querqus in stained wood by PCR. Appl. Environ. Microbiol. 65: 187-190. 

  15. Klich, M. A. 2002. Identification of common Aspergillus species. Centraalbureau voor Schimmelcultures, Utrecht, The Netherlands. 

  16. Kumar, S., K. Tamura, and M. Nei. 2004. MEGA3: Integrated software for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and sequence alignment. Brief Bioinform, 5: 150-163. 

  17. Lee, S. S., D.H. Park, S. K. Seong, and J. Y. Yoo. 1997. Studies on the fungal isolates (Aspergillus species) inhabiting at the cereals in Korea. Korean, J. Mycology. 25: 35-45. 

  18.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1998. Industrializ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and Nuruk brewed. Reports of Ministry and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pp. 89-100. 

  19. Park, J. E., Y. J. Jeon, J. H. Kim, and S. H. Kim. 200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ilamentous fungi from indoor air of a Sogokju traditional rice wine factory. Korean J. Mycology. 36: 1-8. 

  20. Samson, R. A., E. S. Hoekstra, and J. C. Frisvad. 2004. Introduction to Food-and Airborne Fungi. Centraalbureau voor Schimmelcultures, Utrecht, The Netherlands. 

  21. The Brewing Society of Japan 1993. The Annotation of the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the National Tax Administration Agency. 4th ed., Tokyo, pp. 218-226. 

  22. Yu, K. W., S. K. Seong, S. S. Lee, and J. Y. Yoo. 1996. Studies on the fungal isolates of mucorales collected from Korean home made Mejus and Nuluks. Korean, J. Mycology. 24: 280-292. 

  23. Yu, T. S., H. S. Kim, J. Hong, H. P. Ha, T. Y. Kim, and I. H. Yoon. 1996. Bi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ganisms of Nuruk (Until 1945). J. Korean Soc. Food Nutr. 25: 170-179. 

  24. Yu, T. S., J. Kim, H. S. Kim, J. S. Hyun, H. P. Ha, and M. G. Park. 1998. Bi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ganisms of traditional Korean Nuruk (Since 1945). J. Korean Soc. Food Nutr. 27: 789-7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