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시스템사고로 본 주택 재개발 지역의 사회 통합과 사회적 자본과의 동태적 관계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Capital in the Residential Redevelopment Districts Based on the System Thinking Perspectives 원문보기

한국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11 no.4, 2010년, pp.61 - 76  

김병석 (중앙대학교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capital in the residential redevelopment districts based on the system thinking perspective using causal loop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exclusion phenomena brings about relative depriv...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부는 2005년 3월 개정된 ‘도시 및 주거 환경정비법’(이하 도정법)에서 재건축 사업에서 개발이익을 환수하여 임대주택과 일반분양주택을 혼합 건설하여 소득계층 간 주거 공간 분리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맥락 하에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연구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택재개발지역의 사회적 배제 문제를 살펴보고, 주택 재개발지역의 사회통합과 사회적 자본과의 동태적인 관계를 인과지도(Causal Loop Diagram) 작성을 통하여 부문별 문제의 구조와 부문 간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이론적 고찰로써 기존연구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주택 재개발지역의 사회적 배제 메커니즘을 살펴본다.
  • 주택재개발 지역의 사회 통합과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주택재개발 지역의 분양주택 주민과 임대주택 주민들 간에 문제를 극복하기위한 사회적 통합이고, 둘째, 사회적 통합을 달성하기 위한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이다.
  • 지금까지 주택 재개발지역의 문제를 극복하기위한 사회통합과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많은 연구들이 좁은 시각에서 각 부문별로 살펴본 연구로 한정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스템사고의 통합적인 관점에서 사회통합과 사회적 자본이 어떻게 서로 동태적으로 연관되어 있는지를 이해함으로써 구조적 취약점을 이해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인과지도 분석을 통한 주택 재개발지역의 사회통합과 사회적 자본과의 동태적인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은 주거지역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주거 공동체를 달성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사회통합에 대한 인과지도를 분석하고, 둘째,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인과지도를 분석한다.
  • 본 연구는 시스템사고를 바탕으로 주택재개발 지역의 사회적 배제 문제를 살펴보고, 주택 재개발 지역의 사회통합과 사회적 자본과의 동태적인 관계를 순환적 인과지도의 관점에서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주택재개발지역의 사회적 배제 문제를 보다 명확히 구분하고, 사회통합과 사회적 자본과의 동태적인 관계를 순환적 인과지도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형태의 관점에서 논의를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 자본의 측정까지는 고려되지 못하고, 개념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였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후불량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된 정부의 재개발 ․ 재건축의 영향은? 1970년대 중반 이후 등장한 아파트 단지는 국민의 주거형태와 생활양식에 커다란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도시 공간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특히, 노후불량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된 정부의 재개발 ․ 재건축으로 입주민의 소득계층에 따른 주거 공간 분리현상은 더욱 심화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 ․ 경제적 측면에서 도시공간을 소득 계층 간으로 분리시키게 되었다.
사회 ․ 경제적 측면에서 도시공간을 소득 계층 간으로 분리된 구체적인 모습은 무엇인가? 이러한 현상은 사회 ․ 경제적 측면에서 도시공간을 소득 계층 간으로 분리시키게 되었다. 일부 주택재개발 지역에서 분양주택 주민과 임대주택 주민들 간에 분쟁이 발생한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주거생활의 공간적 분리는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중, 임대주택은 저소득층의 거주지가 되어 사회적 편견과 낙인의 공간으로써 주거지 배제 ․ 격리 현상이 나타났고, 상대적 박탈감 등 차별로 인한 사회적 갈등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아파트 단지가 가져온 영향은? 1970년대 중반 이후 등장한 아파트 단지는 국민의 주거형태와 생활양식에 커다란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도시 공간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특히, 노후불량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된 정부의 재개발 ․ 재건축으로 입주민의 소득계층에 따른 주거 공간 분리현상은 더욱 심화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김도훈. 문태훈. 김동환. (1999). 시스템다이내믹스. 대영문화사. 

  2. 김동환. (2004). 시스템사고: 시스템으로 생각하기. 선학사. 

  3. 김광복. 남진. (2005). "주택재개발임대아파트의 단지배치특성에 따른 임대주택거주자의 커뮤니티의식 분석". 국토계획 제40권 7호: 73-86. 

  4. 김위정. (2003). "공공임대주택 주민들에 대한 사회적 배제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수현 외. (2002). 서울시 영구임대주택 주민의 생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6. 김동배. 이익섭. (1995). "영구임대주택 입주가구의 주거환경 및 가족기능에 관한 시론 연구". 지역사회발전연구 제20권 1호: 93-110. 

  7. 김주진. 서수정. 정경일. (2005). "사회통합을 고려한 임대주택정책 및 개발사례의 특성연구", 국토계획 제40권 6호: 159-176. 

  8. 김준환. (2004).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기업에 관한 고찰". 한국사회 제5집: 89-120. 

  9. 곽혁근. (2007). "지역사회 사회자본에 미치는 동네 효과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제11권 4호: 59-86. 

  10. 문태훈. (2007). 시스템사고로 본 지속가능한 도시. 집문당. 

  11. 박병현. 최선미. (2001). "사회적 배제와 하층계급의 개념 고찰과 이들 개념들의 한국빈곤정책에의 함의". 한국사회복지학 제45권: 185-219. 

  12. 박광재. (2010). "사회통합을 위한 주거단지 계획방향". 한국부동산산업학회. 특집 제1007호: 21-24. 

  13. 배순석 외. (2006). 도시 주거공간의 사회통합 실현방안 연구. 

  14. 박신영. 최은희. 장경석. (2004). "공공주택 공급에 있어 비영리단체의 활동". 공간과 사회 제21호: 119-194. 

  15. 박경옥. (2007). "아파트단지 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 및 프로그램 고찰". 생활과학연구논총 제10권 2호: 113-129. 

  16. 서종녀. 하성규. (2009). "공동주택 커뮤니티와 사회적 자본의 영향요인 분석". 국토계획 제44권 2호: 183-193. 

  17. 서종녀. (2007). "공동주택단지 유형과 사회적 자본과의 관련성".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서수정. (2005). "사회통합을 위한 국민임대주택 혼합단지 조성". 국토 통권286호: 48-58. 

  19. 서수정. 김주진. 정경일. 설정임. (2004). 국민임대주택의 사회통합적 계획방안 연구. 대한주택공사. 

  20. 서수정. 김주진. 정경일. (2004). "임대주택단지의 사회통합적 계획을 위한 사회적 배제 실태 조사연구". 공간과 사회 통권 제22호: 24-55. 

  21. 정성기. 오세규. (2000). "Social-Mix 개념이 전제된 공동주택의 평형 혼합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99-102. 

  22. 최윤정. 최병선. (2004). "아파트 지역에서의 커뮤니티 형성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2004 추계 정기학술대회: 455-465. 

  23. 최막중. (2005). "재건축 규제의 허와 실".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세미나. 

  24. 최종렬. (2004). "신뢰와 호혜성의 통합의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자본". 한국사회학 제38집 6호: 97-132. 

  25. 천현숙. (2004). "대도시 아파트 주거단지의 사회자본". 한국사회학 제38권 4호: 215-249. 

  26. 천현숙. (2010). "보금자리주택단지의 사회적 혼합 방안". 건축학회 제54권 7호: 25-29. 

  27. 홍인옥 외. (2004). 공공임대주택 입주민의 사회통합방안 모색. 한국도시연구소. 

  28. 하성규. (2009).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사회적 자본과 주거공동체 활성화". 주택연구 제17권 4호: 77-94. 

  29. 하성규. 서종녀. (2006). "공공임대주택과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제14권 3호: 159-181. 

  30. Alfeld, Louis Edward & Alan K. Graham. (1976). Introduction to Urban Dynamics. MA: Wright-Allen Press, Inc. 

  31. Atkinson, R., & Kintrea. K. (2000). "Owner-occupation, social mix and neighbourhood impacts". Policy and politics, Vol. 28, No. 1: 93-108. 

  32. Bourdieu, P. (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Richardson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Greenwood: 241-258. 

  33. Brisson, D. S., & Usher. C. L. (2005). "Bonding social capital in low-income neighborhoods". Family Relations, Vol. 54, No. 5: 644-653. 

  34. Balchin, P., & Rhoden. M. (1998). Housing the Essential Foundations, in Rhoden, M(eds.). Equal Opportunities and Housing: 107-121. 

  35. Coleman, J. S. (199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94: 95-120. 

  36. Forrester, J. W. (1969). Urban Dynamics. Cambridge: The MIT Press. 

  37. Fukuyama, Francis. (1995). "Social Capital and the Global Economy". Foreign Affairs, Vol. 74, No. 5: 89-97. 

  38. Kearns, A. (2004). "Social capital, regeneration and urban policy". CNR Paper 15: April 2004, ESRC Centere for Neighbourhood Research. 

  39. Lmrie, R., & Race. M. (2004). Urban Renaissance?, in A, Kearens(ed.). Social Capital, Regeneration and Urban Policy. ESRC: Centre for Neighbourhood Research. 

  40. Ostendorf, W., Musterd, S., & Sjoerd D. V. (2001). "Social Mix and the Neighbourhood Effect". Housing Studies, Vol. 16: No. 3. 

  41. Onys, J., & Bullen, P. (2000). "Measuring social capital in five communities".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Vol. 36, No. 1: 23-42. 

  42. Putnamm, R. D. (2000). Bow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Y: Simon & Schuster Paperbacks. 

  43. Segageldin, I., & Grootaert, C. (2000). "Defining Social Capital : An Integrating View". in Dasgupta, p., & Segageldin, I(eds.). Social Capital: A Multifaceted Perspective: 40-58. Washington, D. C.: The World Bank. 

  44. SDG. (2004). The Dynamic Urban Model: the Role of Transport in Towns and Cities. London: Steer Davies Gleave. 

  45. Zucker, Lynne G. (1986). "Production of Trust :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 1840-1920",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 8: 53-11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