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으로서의 학교 흡연율: 다수준 분석의 적용
School Smoking Rate as a Social Factor Affecting the Adolescent Smoking in Korea: Multilevel Analysi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7 no.4, 2010년, pp.7 - 16  

변진옥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조영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obtain a more intensive understanding smoking behaviors of young adolescent in the contexts of schools which they atte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school level factors divided into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respectively. Methods: Multilevel logistic r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한국청소년패널조사는 2008년 자료까지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의 효과를 보여주는 것에 있기 때문에 첫 번째 측정시기를 이용하여 다수준 효과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전국의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체계적으로 추출한 자료를 분석하여 개인수준에서의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들, 그리고 학교수준에서의 사회적 요인들이 학생 들의 흡연경험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개인수준과 학교수준 모두에서 사회적 요인들은 흡연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심리적 요인의 영향력은 분명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흡연에 있어 개인적 수준과 학교수준의 사회적 요인이 청소년의 흡연여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전국 대표성을 가진 자료를 통해 학생들의 흡연관련 환경들 중 주요한 3가지 환경인 동료, 부모, 학교에서 각각 심리적 · 사회적 측면의 요인들을 따로 검토하여 이들이 청소년의 흡연과 어떠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지 검토해 볼 것이다.
  • 또한 이번 연구의 주요한 분석도구였던 다수준 분석을 통해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흡연여부가 학교에 따른 차이가 매우 크며, 그러한 차이들이 상당부분 학교수준의 흡연율이라는 사회적 변수들을 통해 설명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 동료들의 영향과 학교전체의 흡연율 영향이 독립적으로 강력한 유의미성을 보이기 때문에, 청소년의 흡연경험이 학교 흡연 수준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즉, 동료흡연이라는 사회적 요인을 가진 학생이 담배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지지하면서도 전체수준의 흡연율과의 관계를 함께 고려하도록 한다는 점이 이 연구가 확인한 중요한 발견점이다.
  • 또한 학교수준과 개인수준을 분리하여 다수준 분석을 시행함으로써 학교수준의 변수들이 집합적 단위로서 가지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를 통한 흡연행태 개입에 적합한 접근방식을 적용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전국 대표성을 가진 자료를 통해 학생들의 흡연관련 환경들 중 주요한 3가지 환경인 동료, 부모, 학교에서 각각 심리적 · 사회적 측면의 요인들을 따로 검토하여 이들이 청소년의 흡연과 어떠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지 검토해 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의 흡연율은 담배와 관련된 사회적 규범 환경으로서 또래의 영향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고 이야기 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학교의 흡연율은 담배와 관련된 사회적 규범 환경으로서 또래의 영향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Anderson, 1982; Alexander 등, 2001). Turner 등(2006)은 높은 흡연율을 가지는 학교에서 학생들은 더 잘 무리지어 다니며, 흡연자의 인기가 높고 더 흡연긍정적인 태도를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Aveyard 등(2005)은 학교 간 흡연율의 차이는 단순한 구성의 차이가 아니라 학교 수준의 다양한 요인들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청소년 흡연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청소년 흡연에는 연령 및 성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들은 물론이고(이윤수 등, 1998), 건강지각, 건강통제위, 자아관, 신념, 스트레스, 우울감 등 심리적 요인들(유지수 등, 1985; 민영숙, 1989; 조수현, 1996; 김희경 등, 2004)이 영향을 준다. 그런데 이러한 심리적 요인들이 강조되는 경우 사회적인 요인이 가지는 중요성들이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청소년 흡연문제에 대한 개입에서도 개인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접근하기 쉽다(최은진, 2000; 김현옥, 2003).
우리나라 성인 흡연율은 어떠한 추세를 보이고 있는가? 우리나라 성인 흡연율은 1998년 35.4%에서 2007년에는 25.3%로 전반적인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질병관리본부, 2009). 그러나 청소년의 흡연율은 일관된 감소성향을 보여 주지는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권수진.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사회적 요인간의 상관관계분석,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6;9(1):69-75. 

  2. 김병희, 조형오, 이건세. 청소년의 흡연동기와 상황적 맥락에 대한 질적연구. 홍보학연구 2001;5(2):81-108. 

  3. 김의철, 박영신. 스트레스 경험, 대처와 적응결과: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997;2(1):96-126. 

  4. 김현숙.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7;10(2):213-239. 

  5. 김현옥. 청소년의 흡연관련 사회적 환경, 흡연거절기술 및 금연관련 자기효능감. 아동간호학회지 2003;9(3);237-250. 

  6. 김희경 외 8명. 흡연청소년의 신념, 친구교제, 통제력, 흡연의도 및 자기효능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4;21(1):197-216. 

  7. 민영숙. 남녀고등학교 학생의 건강통제위 성격과 건강지각 건강행위와의 관계연구. 혜전대학 논문집 1989:547-583. 

  8. 소희영, 이영란, 손식영. 고등학생의 건강행위 결정요소. 성인간호학회지 1997; 9(1): 44-54. 

  9. 신성례, 김애리. 청소년들의 흡연행위에 따른 부모의 흡연 여부 및 지각된 부모의 태도. 성인간호학회지 1998;10(2):302-310. 

  10. 양경희, 김영희, 이정란. 중학생의 흡연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5;16(1):40-48. 

  11. 유순화, 정규석. 청소년 음주, 흡연에 관한 사회학습이론적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003;10(2):195-214 

  12. 유지수, 김조자, 박지원. 청소년들의 건강지각, 건강행위, 건강상태와의 상관관계 연구. 연세논총 1985;21(5):169-187. 

  13. 이무송. 다수준 분석. 예방의학회지 2004;37(3):212-216. 

  14. 이보은 외 4명. 서울시내 일부 초?중?고등학생의 흡연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4;21(2):167-185. 

  15. 이상균. 청소년 흡연행위의 결정요인. 사회복지리뷰 2001;6(1):77-94. 

  16. 이성식. 청소년 비행의 원인에 관한 한미 비교연구: 사회통제이론과 차별접촉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1993:123-128. 

  17. 이영란. 비행청소년의 음주, 흡연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형사정책 2002;14(1):105-148. 

  18. 이윤수, 이혜리, 강윤주. 청소년의 흡연, 음주 및 기타약물사용 실태. 가정의학회지 1998;19(1):43-58. 

  19. 이윤지, 이정애. 광주지역 남자 중?고등학생의 흡연실태와 흡연관련 요인. 예방의학회지 1993;26(3):359-370. 

  20. 전경자, 박선희. 중학생의 흡연시작 및 흡연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청소년연구 2007;18(1):5-27. 

  21. 조수현. 일부청소년의 건강지각과 건강행위와의 관계연구. 순천청암대학 논문집 1996;20(2):113-136. 

  22.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차년도(2007) 결과 발표회 자료집. 서울: 질병관리본부, 2009. 

  23. 질병관리본부. 제4차(2008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서울: 질병관리본부, 2010. 

  24. 최은진. 흡연예방을 위한 청소년 교육방.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0;17(2):75-86. 

  25. 한국금연운동협의회. 우리나라 청소년 흡연실태 일람표 

  26. http://www.kash.or.kr/user_new/pds_view.asp 

  27. 한국청소년개발원.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II. 서울: 청소년개발원, 2004. 

  28. 황성현. 청소년 음주?흡연행위에 관한 사회유대, 자아통제, 사회학습이론적 고찰. 한국청소년연구 2009;20(1):113-139. 

  29. Alexander C, Piazza M, Mekos D, Valente T. Peers, schools, and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01;29(1):22-30. 

  30. Anderson C. The search for school climate: A review of the research. American Education Research Journal 1982;52:368-420. 

  31. Annie Qu. Comparison of PROC MIXED in SAS and HLM for Hierachical Linear Models http://www.pop.psu.edu/pss-core/papers/Qu97.pdf. 

  32. Aveyard P 외 5명. Is inter-school variation in smoking uptake and cession due to differences in pupil composition? A cohort study. Health & Place 2005;11:55-65. 

  33. Bandura A.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77. 

  34. Cox CL. An interactional model of client health behavior: theoretical prescription for nursing. Advance in Nursing Science 1982; 5(1):41-56. 

  35. Ellickson, PL, Bird CE. Social Context and Adolescent Health Behavior: Does School-level Smoking Prevalence Affect Students' Subsequent Smoking Behavior?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ur. 2003;44(4):525-535. 

  36. Elizabeth E, Papandonatos G, Kazura A, Stanton C, Niaura R. Differentiating stages of smoking intensity among adolescents: Stage-specific psychological and social influenc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002;70(4):998-1009. 

  37. Evans-Whipp T, Bond L, Ukoumunne O, Toumbourou J, Catalano R. The Impact of School Tobacco Policies on Student Smoking in Washington State, United States and Victoria, Australi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10;7:698. 

  38. Farrand LL, Cox CL. Determinants of positive health behavior in middle childhood. Nursing Research 1993;42(3):208-213. 

  39. Fishbein M, Ajzen I.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1975. 

  40. Fray BR 외 7명. Differential Influence of Parental Smoking and Friends' smoking on Adolescent Initiation and Escalation of Smok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94;35: 248-265. 

  41. Glanz K, Lewis FM, Rimer BK. editor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1990. 

  42. Henderson M, Ecob R, Wight D, Abraham C. What explains between-school differences in rates of smoking? BMC Public Health 2008;8:218. 

  43. Lau RR, Quadrel MJ, Hartman KA. Development and change of young adults' preventive health beliefs and behavior: Influence from parents and peer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ur 1990;31(3):240-259. 

  44. Page RM 외 5명. Perceptions of the prevalence of cigarette smoking by peers: A study of Taiwanese, Filipino, and Thai High School Students. Southeast Asi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05;36(5):1346-1352. 

  45. Pentz MA외 5명. The Power of Policy: The relationship of smoking policy to adolescent smoking.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89;79:857-862. 

  46. Pinilla J, Gonzalez B, Barber P, Santana Y. Smoking in young adolescents: an approach with multilevel discrete choice model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2002;56:227-232. 

  47. Raudenbush SW, Bryk AS. Hierachical Linear Model: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 2002. 

  48. Sellstrom E, Bremberg S. Is there a "school effect" on pupil outcomes? A review of multilevel studie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2006;60(2):149-155. 

  49. Turner K, West P, Gordon J, Young, R, Sweeting H. Could the peer group explain school differences in pupil smoking rates? An exploratory study. Social Science & Medicine 2006;62:2513- 2525. 

  50. Urberg KA, Degirmencioglu SM, Pilgrim C. Close friend and group influence on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and alcohol use. Developmental Psychology 1997;33:834-844. 

  51. Virtanen M 외 6명. Contribution of parental and school personnel smoking to health risk behaviours among Finnish adolescents. BMC Public Health 2009;9:382. 

  52. Wang MQ 외 5명. Prospective social-psychological factors of adolescent smoking progression.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1999;24(1):2-9. 

  53. Whitrow M, Harding S, Maynard M. The influence of parental smoking and family type on saliva cotinine in UK ethnic minority children: a cross 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2010;10:262. 

  54. Zhang L, Wang W, Zhao Q, Varitiainen E. Psychosocial predictors of smoking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Henan, China. Health Education Research 2000;15(4):415-4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