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체중 청소년의 주관적 체형인식 관련요인 다수준 분석: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Multilevel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Subjective Weight Perception among Normal Body Weight Adolescents based on the 2017 Korean Youth's Risk Behavior Survey (KYRB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9 no.4, 2018년, pp.476 - 487  

정은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문현중학교) ,  이인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resent study is focused on understanding weight perception related with individual- and school-level multifactorial origins, underestimated and overestimated respectively, in normal body weight adolescents. Methods: Using the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data of 45,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성별에 따라 정상체중 청소년의 주관적 체형인식을 파악하고, 저체중인식이나 과체중인식과 관련된 개인 및 학교 수준 요인을 탐색하고자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제13차(2017년) 원시 자료를 이용한 이차분석 연구로 정상체중 청소년의 주관적 체형인식 관련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체형인식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에 더해 성별로 정상체중 청소년의 주관적 체형인식(저체중인식/과체중인식)과 관련된 개인-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관련 행동, 정신건강- 및 학교 수준 다원적 요인을 밝혔으며, 특히 성별 주관적 체형인식에 있어 학교 간 분산의 존재와 학교 평균 체질량지수(BMI) 등과 같은 학교 수준의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
  •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정상체중 청소년의 주관적 체형인식 연구에서 다수준 분석을 적용하여 개인수준뿐만 아니라 학교수준 요인을 동시에 고려하여 분석한 연구는 찾아 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수준 분석을 사용하여 정상체중 청소년의 주관적 체형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 및 학교수준의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각 수준별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상체중 청소년의 잘못된 체형인식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비만 또는 저체중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방식으로 체중조절을 하는 것은 개인의 건강증진 행위이다[7]. 그러나 정상체중 청소년의 잘못된 체형인식은 부적절한 체중조절 행동을 조장하여 신체 및 정신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8,9]. 우리나라 청소년의 월간 체중감소 시도율은 여학생 42.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제2의 성장기로 성장발달 속도가 빠르고 2차 성징과 관련된 신체적, 성적 성숙이 급격하게 이루어져 체형이 변화하는 시기이다. 청소년에게 신체는 자기(self)의 표상이다.
부적절한 체중감소방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0%로 나타났다[6]. 무리한 체중조절 행동은 식욕부진, 소화 장애, 골밀도 감소, 면역력 저하 등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뿐 아니라 심각한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섭식장애, 우울 등 정신적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9]. 저체중으로 왜곡 인식할 경우 패스트푸드나 인스턴트음식 소비 가능성이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을 형성하거나 신체활동 참여를 덜 할 가능성이 있다[1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dolescent psychiatry. Seoul: Sigmapress; 2012. 720 p. 

  2. Kim YG, Yoo SH, Lee MH, Kim JH. Th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hildren's and young people's rights VI-The youth's and children's rights indicator system of 2016-. Research Report. Sejong: National Youth Polcy Institute; 2016 December. Report No.: 16-R11-2. 

  3. Statistics Korea. 2016 Social survey: Worries of the youths (Main Response, 13-18 years old)[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8 February 14].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electStatsBoxDiv 

  4. Lee JY, Yoo JA. Influence of body shape perception on self-esteem among normal-weight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he mediating effect of body shape satisfaction and gender differences. Studies on Korean Youth. 2015;26(4):267-297. https://doi.org/10.14816/sky.2015.26.4.267 

  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tatistics from the thirtee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cited 2018 February 14].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View.jsp?cid77749&menuIdsHOME001-MNU1130-MNU2393-MNU2749 

  6. Kwon EJ, Chu JE, Nah EH. Secular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weight status misperception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Based on school health examination data in 2009-2015. The Journal of the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017;43(4):73-85. 

  7. Kim HC, Kim MR. Effect of self-esteem, body image and external factors of body type on dieting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10;22(4):65-75. 

  8. Kim MH, Yun YH, Choi MK, Kim EY. A study on body image recognition and dietary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ungnam area.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012;25(2):338-347. 

  9. Chung MY, Kim SH. Prevalence and factors affecting body shape misperception among Korean adult women.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2016;22(3):162-169. https://doi.org/10.4069/kjwhn.2016.22.3.162 

  10. Lim HJ, Wang Y. Body weight misperception patterns and their association with health-related factors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Obesity. 2013;21(12):2596-2603. https://doi.org/10.1002/oby.20361 

  11. Fan M, Jin Y, Khubchandani J. Overweight misperception among adolescents in the United State.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4;29(6):536-546. https://doi.org/10.1016/j.pedn.2014.07.009 

  12. Maximova K, McGrath JJ, Barnett T, O'Loughlin J, Paradis G, Lambert G. Do you see what I see? Weight status misperception and exposure to obes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08;32(6):1008-1015. https://doi.org/10.1038/ijo.2008.15 

  13. Kim YR, Jang HS, An MR. Emotional stress, dietary attitude,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BMI and sex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Kyungpook.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2011;15(3):633-655. 

  14. Shin A, Nam CM. Weight percep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socio-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factors among Korean adolescents. BMC Public Health. 2015;15(1):1292-1300. https://doi.org/10.1186/s12889-015-2624-2 

  15. Xie B, Chou CP, Spruijt-Metz D, Reynolds K, Clark F, Palmer PH, et al. Weight perception and weight-related sociocultural and behavioral factors in Chinese adolescents. Preventive Medicine. 2006;42(3):229-234. https://doi.org/10.1016/j.ypmed.2005.12.013 

  16. Jeon BH. Relationship among phys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body percep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2015;10(1):149-157. 

  17. Kim SH, So WY. Prevalence and sociodemographic trends of weight misperception in Korean adolescents. BioMed Central Public Health, 2014;14(1):452-460. https://doi.org/10.1186/1471-2458-14-452 

  18. Kim YG, Kim BS, Won CW, Choi HR, Kim SY, Kim H. The association between recognition of weight and health behavior of Korean adolescents: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4.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2017;7(3):322-329. https://doi.org/10.21215/kjfp.2017.7.3.322 

  19. Sarafrazi N, Hughes JP, Borrud L, Burt V, Paulose-Ram R. Perception of weight status in U.S.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8-15years, 2005-2012. NCHS Data Brief. Hyattsville, MD: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2014 July. Report No.: 158. 

  20. Lee EM. Association between body shape perception and str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7;19(6):3331-3343. 

  21. Jung MR, Jeong E.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body image in adolesc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7;15(8):265-275. https://doi.org/10.14400/JDC.2017.15.8.267 

  22. Ene M, Leighton EA, Blue GL Bell BA. Multilevel models for categorical data using SAS(R) PROC GLIMMIX: The basics [Internet]. North Carolina: SAS Institute Inc. 2015 [2018 February 14]. Available from: https://support.sas.com/resources/papers/proceedings15/3430-2015.pdf 

  23. Ali MM, Amialchuk A, Renna F. Social network and weight misperception among adolescents. Southern Economic Association, 2011;77(4):827-842. https://doi.org/10.4284/0038-4038-77.4.827 

  24. Patte KA, Laxer RE, Qian W, Leatherdale ST. An analysis of weight perception and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behaviours among youth in the COMPASS study. SSM - Population Health. 2016;2:841-849. https://doi.org/10.1016/j.ssmph.2016.10.016 

  25. Song KH, Kang HS. Analysis of the direction and features of Health Education curriculum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6;6(4):329-339. https://doi.org/10.14257/ajmahs.2016.04.42 

  26. Lee JH, Heo TY. A Study of effect on the smoking status using multilevel logistic model.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014;27(1):89-102. https://doi.org/10.5351/kjas.2014.27.1.089 

  27. Kang HJ. Korean adolescents body weight perception and weight change effort by the socioeconomic position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101 p. 

  28. Bordo S. Unbearable Weight. Park OB, translator. California: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29. Murnen SK. Gender and body images. In: Cash TF, Smolak L. editors. Body image: A handbook of science, practice, and prevention. 2n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011. p. 173-1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