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적지지가 암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Perceived Social Support as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7 no.4, 2010년, pp.51 - 59  

조희숙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료관리학교실) ,  김봉기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료관리학교실) ,  이혜진 (강원대학교병원 예방의학과) ,  이보영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료관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patients. Method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0 to August 14 in 2008 among inpatients and outpatients visited Gangwon Cancer Center. Survey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암 환자의 치료율이 높아지면서 암은 일종의 만성질환으로 계속적인 관리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투병생활과정 중 경험하는 주관적인 삶의 질을 증진시켜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는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 수준을 측정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사회적지지가 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최종적으로 삶의 질을 종속변수로 하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일개 지역 암센터를 방문한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EQ-5D를 이용한 삶의 질을 측정하고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암의 병기,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일 지역에 거주하는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EQ-5D를 이용한 삶의 질을 측정하고 이들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여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서 암 환자 및 가족, 친구, 주변 사람들의 교육 방안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는 어떤 질병인가? 은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로, 매년 약 10만 명의 암 환자가 발생하고 있고 앞으로 10년 후에는 암 발생자수가 지금보다 46% 증가하여, 암 사망자 수는 3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국립암센터, 2008). 1997-2002년까지 암 발생자의 5년 생존률은 남자가 37.
지각된 사회적 지지란 무엇인가?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개인이 주변의 타인으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다고 느끼는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심리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Zimet과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를 사용하였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 중 EQ-5D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는 QWB(Quality of Well-Being: Kaplan 등, 1988), HUI(Health Utility Index: Feeny 등, 1995), SF-36(The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Ware 등, 1992), EQ-5D(EuroQol-5 Dimention: Dolan, 1995)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중 EQ-5D는 단순하면서도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EuroQol Group이 개발한 건강 관련 삶의 질 측정 지표로서 광범위한 건강상태 및 치료의 평가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조사나 보건의료의 임상 및 경제성 평가에도 이용할 수 있다. EQ-5D는 여러 나라에서 각국의 문화와 상황에 맞게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각 나라마다 고유한 가중치를 산출하여 사용되고 있다(Brooks 등, 2003). 우리나라에서는 류마티스 환자를 대상으로 유용성을 입증한 연구가 있었고(Kim 등, 2005), 일반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질 가중치 개발에 대한 연구도 있었다(남해성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국립암센터. 2008년 대국민 암 검진 수검률 조사, 2008. 

  2.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2007. 

  3. 보건복지부. 암 관리 정책 안내, 2009. 

  4. 박이진, 전양환, 한상익, 오세정. 유방암 수술 환자의 삶의 질에관한 예비적 연구. 한국유방암학회지 2004;7(4):299-305. 

  5. 남해성, 김건엽, 권순석, 고광욱, Poul Kind. 삶의 질 조사도구(EQ-5D)의 질 가중치 추정 연구 보고서. 질병관리본부 2007. 

  6. 이영훈 외 5명. EuroQoL-5 Dimension 한국 가중치 모형의 적용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9;26(1):1-13. 

  7. 이현송. 소득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2000;27(1):91-118. 

  8. 한미아 외 5명. 일부 농촌지역 성인에서 EQ-5D를 이용한 건강관련 삶의 질. 예방의학회지 2008;41(3):173-180. 

  9. Bodur H, et al. Quality of life and related variables in patients with ankylosing spondylitis. Qual Life Res 2010;27. 

  10. Bottomley A, Jones L. Social support and the cancer patient-A need for clarity. Eur J Cancer Care 1997;6(1):72-7. 

  11. Brooks R, Rabin R, Charro F. The Measurement and Valuation of Health Status Using EQ-5D: A European Perspective.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 2003. 

  12. Dahlem NW, Zimet GD, Walker RR.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 confirmation study. J Clin Psychol 1991;47(6):756-61. 

  13. Dolan P, Gudex C, Kind P, Williams A. A social tariff for EuroQol: results from a UK general population survey. Centre for Health Economics. University of York 1995. 

  14. Esper P, et al. Measuring quality of life in men with prostate cancer using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prostate instrument. Urology 1997;50(6):920-8. 

  15. Feeny D, et al. Multi-attribute health status classification systems. Health Utilities Index. Pharmacoeconomics 1995;7(6):490- 502. 

  16. Guallar-Castillon P, Sendino AR, Banegas JR, Lopez-Garcia E, Rodriguez-Artalejo F.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between women and men in the older population of Spain. Soc Sci Med 2005;60(6):1229-40. 

  17. Henoch I, Bergman B, Gustafsson M, Gaston-Johansson F, Danielson E. The impact of symptoms, coping capacity,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experience over time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J Pain Symptom Manage 2007; 34(4):370-9. 

  18. Kaplan RM, Anderson JP. A general health policy model: update and applications. Health Serv Res 1988;23(2):203-35. 

  19. Kim MH, Cho YS, Uhm WS, Kim SH, Bae SC.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Q-5D in patients with rheumatic diseases. Qual Life Res 2005;14(5):1401-1406. 

  20. Kim YJ, Yoo HK, Kim JC, Han OS. Preoperative quality of life in rectal cancer patients. Kor J Clin Psychol 2003;22:743-762. 

  21. Ogce F, Ozkan S, Baltalarli B. Psychosocial stressors, social support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as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of Turkish breast cancer patients. Asian Pac J Cancer Prev 2007;8(1):77-82. 

  22. Queenan JA, Feldman-Stewart D, Brundage M, Groome PA.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f prostate cancer patients after radiotherapy treatment. Eur J Cancer Care 2010;19(2):251-9. 

  23. Ware JE Jr, Sherbourne CD.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 Care 1992;30(6):473-83. 

  24. Yamazaki S, Fukuhara S, Suzukamo Y. Household income is strongly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Japanese men but not women. Public Health 2005;119(7): 561-7. 

  25. Zack MM, Moriarty DG, Stroup DF, Ford ES, Mokdad AH. Worsening trends in adul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elf-rated health-United States, 1993-2001. Public Health Rep 2004;119(5):493-505. 

  26.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 Pers Assess 1988;52: 30-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