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성인의 허혈성 심장질환, 뇌졸중으로 인한 총 진료비 중 과체중 및 비만의 기여분
Medical Expenditure Attributable to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and Stroke in Korea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7 no.4, 2010년, pp.83 - 90  

강재헌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  정백근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건강과학연구원) ,  조영규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  송혜령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김경아 (인제대학교 임상영양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medical expenditure attributable to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and stroke us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d Korea National Health Corporation data. methods : The medical expendit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한 연구(정백근 등, 2002)에서는 남자의 경우 관상동맥질환과 뇌졸중의 총 진료비 중 비만이 기여한 비율은 각각 12%, 15%였고 여성의 경우에는 각각 26%, 40%라고 보고하였으나 이 때 인구집단 기여위험도는 상대위험도 값이 아닌 교차비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자료라고 보기는 힘들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및 건강보험급여자료를 활용하여 과체중 및 비만이 심뇌혈관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위험도를 산출하고 이들 질병으로 인하여 발생한 총 진료비 중 과체중 및 비만의 기여분을 추계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허혈성 심장질환, 뇌졸중으로 지출된 진료비중 과체중 및 비만의 기여분을 추계하기 위한 질병비용연구로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및 건강보험급여 자료를 활용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2005년 현재 허혈성 심장 질환, 뇌줄중 때문에 지출된 총 진료비 중 과체중 및 비만의 기여분은 각각 974억원(741억원-1,220억원), 646억원(331억원-981억원)이었고, 이를 모두 합하면 1,620억원(1,078억원-2,202억원)이었다.

가설 설정

  • 종속변수는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진료비 발생 여부로 정의하였고, 전체 진료비, 입원 진료비, 외래진료비로 나누어 전체 상대위험도, 입원 상대위험도, 외래 상대위험도를 각각 구하였다. 약국 진료비 발생의 상대위험도는 외래 진료비의 경우와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 이 조사의 경우에는 허혈성 심장질환과 관련된 코드 중 I21과 I22는 빠져 있었으며 뇌졸중의 경우에는 I61, I62, I63, I64가 빠져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상병코드와는 불일치하는 것이었지만 전체적인 경향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이라는 가정 하에 본인부담실태조사에서 밝혀진 허혈성 심장질환과 뇌졸중의 입원 비급여 본인부담률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이 조사에서는 허혈성 심장질환과 뇌졸중의 외래 비급여 본인부담률은 조사하지 않았기 때문에 외래 평균 비급여 본인부담률을 적용하였고 약국진료비도 전체 약국진료비 비급여 본인부담률을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은 비만을 포함하여 신체활동 감소, 흡연, 건강에 해로운 식사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변화시키면 심뇌혈관질환들의 발생을 지연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다(Reaven, 1995; Yusuf 등, 2004; Willi 등, 2007). 그러므로 비만을 예방하거나 비만한 사람들을 잘 관리하면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보건학적 부담을 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병비용들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비만은 무엇인가?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로서 여러 가지 질병의 위험요인이기 때문에 비만 인구의 증가는 비만관련질병 유병률 증가로 이어진다(Bonow 등, 2002).
비만을 예방하거나 비만한 사람들을 잘 관리하면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보건학적 부담이 줄어드는 이유는 무엇인가?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은 비만을 포함하여 신체활동 감소, 흡연, 건강에 해로운 식사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변화시키면 심뇌혈관질환들의 발생을 지연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다(Reaven, 1995; Yusuf 등, 2004; Willi 등, 2007). 그러므로 비만을 예방하거나 비만한 사람들을 잘 관리하면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보건학적 부담을 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병비용들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재헌, 정백근, 조영규, 송혜령, 김경아. 성인의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으로 인한 진료비 중 과체중 및 비만의 기여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중심으로. 농촌의학?지역보건 2010;35(1):77-88. 

  2. 김남순 외 7인. 한국인의 비만도에 따른 비만관련질환의 유병률 증가. 예방의학회지 2001;34(4):309-315. 

  3. 보건복지부. 2010년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설치 및 운영 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2010. 

  4. 정백근 외 6인. 한국인 성인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 예방의학회지 2002;31(1)1-12. 

  5. 통계청. 2009년 사망원인 통계결과. 통계청, 2010. 

  6. Allison DB, Zannolli R, Narayan KMV. The direct health care costs of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AJPH 1999;89:1194-1199. 

  7. Anis AH 외 5인. Obesity and overweight in Canada: an updated cost-of-illness study. Obes Rev 2010;11:31-40. 

  8. Birmingham CL, Muller JL, Palepu A, Spinelli JJ, Anis AH. The cost of obesity in Canada. CMAJ 1999;160:483-488. 

  9. Bonow RO, Smaha LA, Smith SC Jr, Mensah GA, Lenfant C. World Heart Day 2002: the international burden of cardiovascular disease: responding to the emerging global epidemic. Circulation 2002;106:1602-1605. 

  10. Colditz GA. Economic costs of obesity and inactivity. Med Sci Sports Exerc 1999;31(Suppl. 11):S663?S667. 

  11. Dixon JB. The effect of obesity on health outcomes. Mol Cell Endocrinol 2010;316:104-108. 

  12. Fu T, Wen T, Yeh P, Chang H. Costs of metabolic syndrome - related diseases induced by obesity in Taiwan. Obes Rev 2008;9 suppl 1:68-73. 

  13. Reaven GM. Pathophysiology of insulin resistance in human disease. Physiol Rev 1995;75:473-486. 

  14. Sturm R, Ringel JS, Andreyeva T. Increasing obesity rates and disability trends. Health Affair 2004;23:168?176. 

  15. Swinburn B 외 6인. Health care costs of obesity in New Zealand.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7;21(10):891-896. 

  16. Thompson D, Brown JB, Nichols GA, Elmer PJ, Oster G. Body mass index and future healthcare cost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bes Res 2001;9:210?218. 

  17. Wang 외 5인. Economic burden of cardiovascular disease associated with excess body weight in U.S. adults. Am J Prev Med 2002;23(1):1-6. 

  18. Willi C, Bodenmann P, Ghali WA, Faris PD, Cornuz J. Active smoking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2007;298:2654-2664. 

  19. Wolf AM, Colditz GA. Current estimates of the economic cost of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Obes Res 1998;6:97-106. 

  20. Yusuf S 외 10인. Effect of potentially modifiabl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yocardial infarction in 52countries (the INTERHEART study): case-control study. Lancet 2004; 364:937-952. 

  21. Zhao W, Zhai Y, Hu J, Wang J, Yang Z, Kong L, Chen C. Economic burden of obesity-related chronic diseases in Mainland China. Obes Rev 2008;9(Suppl. 1):S62-S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