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불재해 분석
Forest Fire Damage Analysis Using Satellite Image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8 no.1, 2010년, pp.21 - 28  

강준묵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부) ,  장천 (충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박준규 (충남대학교 건설방재연구소) ,  김민규 (충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불은 산림의 주요 교란요소중의 하나로써 산림 구조와 기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산불피해강도에 따라 피해 후 식생회복 과정이 달라질 수 있다. 산불피해지의 피해강도와 식생회복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예산이 필요하다.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산불피해지의 피해량 분석은 신속한 정보는 물론 대규모 피해지의 객관적인 결과를 원격으로 신속하게 취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청양 예산 지역의 산불발생 전 후 위성영상을 이용한 분류 기법을 통해 연구대상 지역의 산불피해 정보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불발생 전 후의 다 시기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영상 분류를 통해 산불피해 지역의 면적을 산출하였으며 수치임상도와의 중첩분석을 통해 피해지역 삼림의 수종, 영급, 경급 및 수관밀도별 피해량을 효과적으로 산정할 수 있었으며 분류결과와 NDVI를 이용하여 식생회복을 모니터링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fire is one of the main factor disturbing the environment of forest, and it influences greatly the structure and function on forest. The process of vegetation recovery could be decided according to the extent of the damage. It is required a lot of man powers and budgets to understand born s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 시기의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산불 발생지역의 산불 피해량 및 식생회복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김철민, 이승호, 노대균 (2001),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불 발생지역의 탐지, 대한원격탐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대한원격탐사학회, pp. 77-81. 

  2. 배준희 (2003),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난온대지역의 식생분류기법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이강원 (2006), GSIS 다중자료를 이용한 재해탐지체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최철순, 최승필 (1997), 인공위성 TM 영상을 이용한 고성 산불 피해지역의 추적조사, 한국측지학회지, 한국측지학회, 제15권, 제2호, pp. 215-219 

  5. Cocke, A. E. Fule, P. Z. Crouse, J. E. (2005), Comparison of burn severity assessments using Differenced Normalized Bum Ratio and ground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FIRE, Vol.14, No.2 pp. 189-198. 

  6. Lentile, L. B. Smith, F. W. Shepperd, W. D. (2006), Influence of topography and forest structure on patterns of mixed severity fire in ponderosa pine forests of the South Dakota Black Hills.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FIRE, Vol.15 No.4, pp. 23-27. 

  7. Van Wagtendonk, J. W. (2004), Dr. Biswell'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Prescribed Burning in California, General Technical Report PNW(U.S. 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 PNW), pp. 11-16. 

  8. http://glovis.usgs.gov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