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entinel 위성영상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국내산불 피해강도 탐지
Wildfire Severity Mapping Using Sentinel Satellite Data Based on Machine Learning Approache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5 pt.3, 2020년, pp.1109 - 1123  

심성문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과) ,  김우혁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과) ,  이재세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과) ,  강유진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과) ,  임정호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과) ,  권춘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김성용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토 대부분이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는 대한민국은 매 년 많은 산불이 발생한다. 산불은 토양의 전단강도를 약화시켜 산사태에 취약한 토양층을 만들기도 하고, 수목의 복구가능여부에 따라 다른 계획 설립이 필요하기 때문에 산불피해면적 뿐만 아니라 피해강도에 대한 파악도 중요하다. 위성 원격탐사를 통한 산불피해강도 추정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 왔으나,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와 NBR(Normalized Burn Ratio) 등과 같은 단일 인자의 시계열 변화만을 이용하여 피해강도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Sentinel-1A SAR-C (Synthetic Aperture Radar-C)와 Sentinel-2A MSI(Multi Spectral Instrument)센서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계학습방법을 통한 산불 피해강도 탐지 모델들을 제시하였다. 2017년 5월 삼척, 2019년 4월 강릉·동해, 2019년 4월 고성·속초 총 세개의 산불사례를 이용하여 RF(Random forest), LR(Logistic regression), SVM(Support Vector Machine)기계학습 모델을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random forest 모델이 82.3%의 총정확도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모델의 범용성 및 학습자료 민감도 확인을 위해 사례교차검증도 추가 시행하였는데, 그 결과 사례들의 시기적 차이에 의한 식생활력 및 재생도의 차이에 민감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추후 다양한 시공간적 사례를 추가할 시 개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outh Korea with forest as a major land cover class (over 60% of the country), many wildfires occur every year. Wildfires weaken the shear strength of the soil, forming a layer of soil that is vulnerable to landslide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severity of a wildfire as well as the burned a...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연구는 산림과학원에서 구축한 2017, 2019년 강원도지역 3개의 산불피해강도 사례를 통해 시공간적으로 일반화된 산불피해강도 분류 모델의 구축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산불피해 이 후 손상된 수목의 이파리 및 잔가지의 변화와 토양수분손실 파악을 위해 Sentinel-1위성 SAR-C 센서의 후방산란강도 산출물과 함께, 식생의 활력도 상태 및 변화를 반영하고자 Sentinel-2에서 산출된 NDVI, NBR, NDWI 값 및 이들의 변화량을 입력한 RF, LR, SVM 기계학습 모델들을 구축하였다.
  • 이런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광학위성과 SAR 위성자료에서 추출한 인자들과 기계학습 모델들을 통해 우리나라 산불에 적합한 산불 피해 강도 탐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세 개의 산불 사례로부터 산불 발생 전/후의 다시기 환경정보를 기계학습 모델의 입력변수로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ddison, P., and T. Oommen, 2018. Utilizing satellite radar remote sensing for burn severity estim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Feoinformation, 73: 292-299. 

  2. Bak, S. H., H. M. Kim, B. K. Kim, D. H. Hwang, E. Unuzaya, and H. J. Yoon, 2018. Study on Detection Technique for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Decision Tree Model,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13(4): 777-7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an, Y., P. Zhang, A. Nascetti, A. R. Bevington, and M. A. Wulder, 2020. Near Real-Time Wildfire Progression Monitoring with Sentinel-1 SAR Time Series and Deep Learning, Scientific Reports, 10(1): 1-15. 

  4. Breiman, L., 2001. Random forests, Machine Learning, 45(1): 5-32. 

  5. Brown, A. R., G. P. Petropoulos, and K. P. Ferentinos, 2018. Appraisal of the Sentinel-1 & 2 use in a large-scale wildfire assessment: A case study from Portugal's fires of 2017, Applied Geography, 100: 78-89. 

  6. Cieslak, D. A., and N. V. Chawla, 2008. Learning decision trees for unbalanced data, In Joint European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and 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s,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 241-256. 

  7. Collins, L., P. Griffioen, G. Newell, and A. Mellor, 2018. The utility of Random Forests for wildfire severity mapping,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216: 374-384. 

  8. Escuin, S., R. Navarro, and P. Fernandez, 2008. Fire severity assessment by using NBR (Normalized Burn Ratio) and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derived from LANDSAT TM/ETM imag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9(4): 1053-1073. 

  9. Hall, R. J., J. T. Freeburn, W. J. De Groot, J. M. Pritchard, T. J. Lynham, and R. Landry, 2008. Remote sensing of burn severity: experience from western Canada boreal fires,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7(4): 476-489. 

  10. Han, D., Y. J. Kim, J. Im, S. Lee, Y. Lee, and H. C. Kim, 2018. The estimation of arctic air temperature in summer based on machine learning approaches using IABP buoy and AMSR2 satellite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4(6-2): 1261-12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Hosmer Jr, D. W., S. Lemeshow, and R. X. Sturdivant, 2013. Applied logistic regression (Vol. 398). John Wiley & Sons. 

  12. Korea Forest Service, 2016. Forest basic statistics 2016, Korea Forest Service, 189, Cheongsas-ro, Seogu, Daejeon. (in Korean). 

  13. Korea Forest Service, 2020. Forestfire statistical yearbook 2019, Korea Forest Service, 189, Cheongsas-ro, Seo-gu, Daejeon (in Korean). 

  14. Lasaponara, R., and B. Tucci, 2019. Identification of burned areas and severity using SAR Sentinel-1, 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Letters, 16(6): 917-921. 

  15. Lentile, L. B., Z. A. Holden, A. M. Smith, M. J. Falkowski, A. T. Hudak, P. Morgan, and N. C. Benson, 2006. Remote sensing techniques to assess active fire characteristics and post-fire eff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5(3): 319-345. 

  16. Liu, T., A. Abd-Elrahman, J. Morton, and V. L. Wilhelm, 2018. Comparing fully convolutional networks, random forest, support vector machine, and patch-based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object-based wetland mapping using images from small unmanned aircraft system, GIScience & Remote Sensing, 55(2): 243-264. 

  17. Mountrakis, G., J. Im, and C. Ogole, 2011. Support vector machines in remote sensing: A review,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66(3): 247-259. 

  18.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3. A study on damag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burn severity evaluation method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Research report, Seoul, Korea, pp. 13-37 (in Korean). 

  19. Park, S., M. Shin, J. Im, C. K. Song, M. Choi, J. Kim, and S. K. Kim, 2019. Estimation of groundlevel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through the synergistic use of satellite observations and process-based models over South Korea,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9(2): 1097-1097. 

  20. Roteta, E., A. Bastarrika, M. Padilla, T. Storm, and E. Chuvieco, 2019. Development of a Sentinel-2 burned area algorithm: Generation of a small fire database for sub-Saharan Afric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222: 1-17. 

  21. Roy, D. P., L. Boschetti, and S. N. Trigg, 2006. Remote sensing of fire severity: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the normalized burn ratio, 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Letters, 3(1): 112-116. 

  22. Roy, D. P., H. Huang, L. Boschetti, L. Giglio, L. Yan, H.H. Zhang, and Z. Li, 2019. Landsat-8 and Sentinel-2 burned area mapping-A combined sensor multi-temporal change detection approach,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231: 111254. 

  23. Stankova, N., and R. Nedkov, 2015. Monitoring forest regrowth with different burn severity using aerial and Landsat data, In 2015 IEEE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IGARSS), Milan, IT, Jul. 26-31, pp. 2166-2169. 

  24. Wilson, K. B., and D. D. Baldocchi, 2000.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energy fluxes over a broadleaved temperate deciduous forest in North America,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0(1): 1-18. 

  25. Won, M., K. Kim, and S. Lee, 2014. Analysis of Burn Severity in Large-fire Area Using SPOT5 Imagesand Field Survey Dat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2): 114-1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Won, M., K. Jang, S. Yoon, and H.T. Lee, 2019. Change Detection of Damaged Area and Burn Severity due to Heat Damage from Gangwon Large Fire Area in 2019,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5(6): 1083-10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Yoo, C., D. Han, J. Im, and B. Bechtel, 2019. Comparison betwee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nd random forest for local climate zone classification in mega urban areas using Landsat image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157: 155-170. 

  28. Youn, H., J. Jeong, 2019. Detection of Forest Fire and NBR Mis-classified Pixel Using Multi-temporal Sentinel-2A Imag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5(6-2): 1107-1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