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산사태 지역정보 서비스를 위한 3차원 데이터 모델 분석 및 Application 개발
Analysis of the 3D Data Model and Development of an Application for Landslide Region Information Service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18 no.3, 2010년, pp.11 - 19  

김동문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박재국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양인태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최승필 (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는 지역적인 돌발 및 집중강우패턴으로 인해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사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최신의 3차원 측량장비인 LiDAR 등으로 취득한 고정밀 고밀도의 수치고도자료를 이용하여 산사태지역에서의 변위탐지와 모니터링을 위한 지면변위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대용량의 LiDAR 데이터를 처리하는 상업용 소프트웨어는 고가이며, 산사태 분석과 같은 특화된 업무에 적용하기에 무리가 있다. 또한 산사태와 관련된 다양한 공간정보를 다수의 이용자가 쉽게 접근하여 직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LiDAR 데이터를 처리하여 산사태를 분석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에서의 지형 및 산사태 관련정보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사례연구를 통해 연구지역에 대한 산사태 현황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3차원 기반의 산사태 및 지형정보를 직관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Korea has witnessed an increase to natural disasters such as landslides due to localized sudden and intensive rainfalls. Thus there have been researches on surface displacements to detect and monitor displacements in the areas prone to landslides by using high-precision and dens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D 기반의 산사태 지역정보 서비스를 실세계의 공간 및 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기반으로 한 3차원 기반의 산사태 지역정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모델과 산사태 및 관련 공간정보를 관리하고 서비스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기타 3D 모델에는 Building, Man-made object, 3D Max-3DS 등이 있다. 따라서 산사태의 주요 발생지역인 산악지역에 대한 3차원 데이터 모델이 필요함을 알 수 있으며, 이 연구에서는 산사태 분석과 관리를 위한 3차원 데이터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산사태 관리를 위한 데이터 처리흐름을 분석하여 가장 적합한 3차원 데이터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LiDAR 자료를 활용하여 산사태 발생지역이나 발생가능지역에 대한 산사태 및 관련 공간정보를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산사태 지역정보에 대한 3차원 데이터 모델 표준을 개발하고, 산사태 지역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3차원 시각화 프로그램을 통해 작성한 산사태지역 공간정보는 WMS(Web Map Service)를 통해 서비스가 가능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그림 5에서와 같이 GIS 어플리케이션으로 작성된 산사태지역의 GIS 리소스를 웹으로 발행하기 위하여 GIS서비스를 생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차원 시각화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기능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3차원 시각화 프로그램의 주요 기능은 아래 표 3에서와 같으며, 기본적으로 기본관리, 데이터 관리, 3D 특화 기능, 변환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Document 관리, 사용자 영역관리, 사용자 기능, 3D Analyst, 3D Navigation, Conversion에 대한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3차원 데이터의 표준 데이터 셋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3차원 GIS 데이터 모델에 대한 3차원 GIS 동향과 관련하여 법제도 분야에 대한 분석을 위해, 수치지도 작성작업 규칙 내규, 지리정보 DB 설계 지침, 3차원 국토공간정보구축 작업지침, 3차원 국토공간정보제작에 관한 작업규정 등을 검토한 결과, 3차원 데이터 모델과 관련하여 정사영상지도, 3차원 교통/시설물/수자원데이터, 가시화 데이터(모델링, 텍스쳐) 등으로 3차원 데이터를 구분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3차원 데이터에 대한 법제도를 종합하여 본 결과 표준 데이터 셋은 교통, 시설물, 수자원 등이며, 2차원 공간정보에 높이정보를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지형에 대한 가시화 정보는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정상영상으로 제작하도록 규정되어 있다(한국전산원, 2003).
2D 기반의 벡터자료로 표현하는 기술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기존에는 산사태를 확인하며 예측하기 위하여 현장조사, 통계 및 IT 기술을 활용한 주기적인 산사태의 거동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이를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2D 기반의 벡터자료로 표현하는 기술이 연구되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2차원 기반의 기술로서 실세계의 공간 및 영상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취득하여 활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적인 공간분석 및 표현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고 3차원 기반 정보를 통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여 산사태 분석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3차원 시각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3차원 기반의 산사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김동문,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김동문(2009), 산림지역 항공 LiDAR 데이터 처리를 위한 필터링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2009년 4월. 

  2. 김동문(2008), 유역경계 추출을 위한 DEM별 전처리 방법과 격자크기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제26권 제1호, pp.41-50. 

  3. 김동문, 김의명(2009), 지오브라우저를 이용한 지적정보의 서비스 방안, 한국지적학회지, 제25권 제2호, pp.157-172. 

  4. 김성학, 최승필, 양인태(2008), 지상 LiDAR 자료를 이용한 모형사면의 모니터링,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6권 제4호, pp.17-23. 

  5. 박재국, 이상윤, 양인태, 김동문(2010), 지상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자연사면의 변위 모니터링,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30권 제2D호, pp.191-198. 

  6. 시종익, 권형진, 하수욱(2003), 3차원 GIS 동향 분석, 한국전산원, 연구보고서. 

  7. Aleotti, P and Chowdhury, R. (1999) Landslide hazard assessment: summary review and new perspectives. Bull. Eng. Geol. Env. 58, pp.21-44. 

  8. Brand, E.W. (1988) Landslide Risk Assessment in Hong Kong. Proc. Fifth Int. Symp.on landslides, Vol. 2, pp.1059-1074. 

  9. DongMoon Kim, JaeKook Park, InTae Yang(2010), Application Development for Processing and Service of LiDAR Data, The 12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and Urban Planning(GISUP2010, International), pp.18-22. 

  10. JaeKook Park, DongMoon Kim, InTae Yang(2010), A Study on the Use of Open API Map Service and Flex Technology for Hazard Map Service, The 12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and Urban Planning(GISUP2010, International), pp.29-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