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개공지 주요 설계요소 제어에 의한 보행자의 심리적 평가 (부산광역시 센텀지역 및 서면지역 공개공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Pedestrian's Psychological Estimation by Control of Main Design Factors in the Public Open Space (Focused on the Public Open Space of Centum and Seomyeon in Pusan)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8 no.6, 2010년, pp.55 - 62  

김종구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왕상민 (코스랜)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의 쾌적한 공간조성을 통하여 도시공간의 질과 공공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 공개공지는 건축법, 지구단위계획에 의해 법제화되었다. 그러나 현행 제도는 공개공지 조성에 있어 필요한 최소한의 규정에 지나치지 않아 공개공지 본연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공공성의결여, 설치 및 유지 관리상의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었고 이용자 만족도와 활용도를 높여 도시공간의 공공성을 높이는 공개공지 조성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자분석을 통하여 공개공지 주요 설계요소 어떤 인자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현 공개공지의 개선방안 제시 및 향후 공개공지 설치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 공개공지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개선된 공개공지 조성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선별된 주요 설계요소를 제어 시뮬레이션하고. 심리적 평가와 인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편의성, 친근성, 쾌적성, 접근성, 개방성의 5개 인자가 추출되었다. 이 중 제1인자인 편의성의 설명력이 기여율 25.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편의성 측면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공개공지의 대지 내 위치, 편의시설의 설치 및 적절한 배치, 공개공지 접도유형이 주요 설계요소임을 인식하고 계획 및 설계시 반영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앞으로 이런 요인을 들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건축법의 상세한 법적 기준 설정과 지구단위계획에서 세부지침 등이 상세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최근 공개공지와 관련된 연구와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공개공지를 설계하고, 유지 관리한다면 공개공지 활용도를 높이고 도시공간의 공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n a basic data for setting design standards and proposing improvement for public open space by analysis one which is the factor that quite influences public open space by factor analysis. First, Extract main design factors by survey and field investig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센텀지역 및 서면지역의 공개공지를 중심으로 실태조사·분석하고 설문조사하여 공개공지의 주요 설계요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요 설계요소의 제어·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공개공지의 개선안을 제시할 것이다. 그 후 개선안에 대해 일반인 및 전문가들을 상대로 의미분별법을 사용하여 심리적 평가와 인자분석(Factor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공개공지 계획에 우선시되어야 할 주요 인자를 추출하여 현 공개공지의 개선 및 향후 공개공지 설계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센텀지역 및 서면지역을 중심으로 공개공지 이용자 만족도를 평가함에 있어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의미분별법을 통한 심리적 평가와 요인분석을 통하여 공개공지 주요 설계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주요 설계요인 (독립변수)과 이용자 만족도(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현 공개공지의 개선 및 향후 공개공지 설계기준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실태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개공지 주요 설계요소(공개공지의 대지 내 위치, 편의시설, 면적, 공개공지내 녹화, 공개공지 접도유형, 대지의 형상, 연접보도와의 거리)를 추출하여 이들 설계요소의 제어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심리적 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편의성(Convenience)』,『친근성 ( I n t i ma c y )』,『쾌적성( Ame ni t y )』,『접근성 (Accessibility)』,『개방성(Openness)』의 5가지 설계요인을 도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센텀지역 및 서면지역의 공개공지를 중심으로 실태조사·분석하고 설문조사하여 공개공지의 주요 설계요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요 설계요소의 제어·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공개공지의 개선안을 제시할 것이다.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센텀지역 및 서면지역을 중심으로 공개공지 이용자 만족도를 평가함에 있어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의미분별법을 통한 심리적 평가와 요인분석을 통하여 공개공지 주요 설계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주요 설계요인 (독립변수)과 이용자 만족도(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현 공개공지의 개선 및 향후 공개공지 설계기준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개공지란? 공개공지가 부각된 것은 1991년『건축법』개정시 공개공지 관련 규정이 처음으로 도입 되면서이다. 공개공지란 말 그대로 도시 공간 내에서 공공의 이익을 목적으로 일반인에게 공개됨으로써 항상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공원, 광장, 녹지, 도로 등과 더불어 소위 오픈스페이스(Open Space)로서 도시공간을 이루는 소중한 자원이다. 건축법상 공개공지 설치대상은 문화 및 집회, 종교, 판매, 운수, 업무 및 숙박, 기타 다중이용시설로서 조례가 정하는 건축물로서 연면적 합계가 5,000㎡ 이상인 건축물로 규정하고 있다.
의미분별법을 통한 심리적 평가와 요인분석을 통하여 공개공지 주요 설계요인을 도출한 결과는?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주요 설계요인 (독립변수)과 이용자 만족도(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현 공개공지의 개선 및 향후 공개공지 설계기준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실태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개공지 주요 설계요소(공개공지의 대지 내 위치, 편의시설, 면적, 공개공지내 녹화, 공개공지 접도유형, 대지의 형상, 연접보도와의 거리)를 추출하여 이들 설계요소의 제어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심리적 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편의성(Convenience)』,『친근성 ( I n t i ma c y )』,『쾌적성( Ame ni t y )』,『접근성 (Accessibility)』,『개방성(Openness)』의 5가지 설계요인을 도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하여 공개공지 이용자 만족도(종속변수)와 5가지 주요 설계요인(독립 변수) 양자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가지 주요 설계요인 모두 신뢰수준 99% 이상의 유의성을 보이고 있으며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설명력이 55.
심리적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공개공지 주요 설계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무엇을 실시하였나? 그리고 공개공지 주요 설계요소의 선정과 심리적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를 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공개공지 주요 설계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인자분석과 도출된 공개공지 주요 설계요인과 이용자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오군석.김판구(2002), "감성 데이터 해석", 홍릉과학출판사. 

  2. 한국도시설계학회(2006), "지구단위계획의 이해", 기문당. 

  3. 차석빈 외4인(2001), "다변량 분석의 이론과 실제", 學現社. 

  4. 김충련(2000), "SAS라는 통계상자", 데이터플러스. 

  5. 안재욱(2007), "주상복합건물 공개공지 시설현황과 휴식공간에 대한 만족도 분석",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문성식(2002), "공개공지 조성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광주광역시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이영주(2005), "서울도심의 복합 상업건축의 공개공지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송희열(2010), "공개공지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중요 설계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최석중(2005), "건축물 용도에 따른 공개공지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홍민정(2007), "서울시 고층 주거복합 단지 내 공개공지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전향백(2007),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의 공개공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정현(2006), "부산지역 주상복합 아파트의 공개공지 활성화 방안",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오봉탁(2006), "상업지구블록 내 업무시설의 공개공지 설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고양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영천.조창제.최봉문(2002), "대전시 공개공지 조성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 2002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 

  15. 민수영.이겸환(2005), "도심의 공개공지 이용률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창립60주년 기념) 논문집 제25권 제1호(통권 제49집) v.25 n.1. 

  16. 장하리.이인성(2006), "공개공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제7권 제4호(통권 제25호). 

  17. 이효창.박정아.하미경(2008), "도시 복합용도시설에 나타난 건축적 '공공성' 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일본 복합용도시설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4권 제6호(통권 236호). 

  18. Stanly B. Tankel(1997), "The Importance of Space in Urban Pattern in Cities an Space", John Hopkins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