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ocial path를 반영한 보행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destrian Accessibility Considering Social Path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3 no.1, 2015년, pp.50 - 60  

최성택 (홍익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  이향숙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추상호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  김수재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행자는 일반적인 보행로를 따라 이동할 뿐만이 아니라 건물을 통과하거나 넓은 공간을 가로지르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반적이지 않은 보행 경로를 social path로 정의하여 보행 네트워크 중 하나로 정의하였다. Social path는 일반적인 보행 네트워크상에서는 구현되지 않지만 현실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해 통행하는 경로를 의미한다. 기존의 보행 접근성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실적인 통행 패턴을 구현하지 못함으로 인해 보행로 및 시설의 보행 접근성을 올바르게 평가하지 못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의 코엑스와 고속터미널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social path의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서비스 권역 분석과 UNA기법을 활용하였다. 특히, 네트워크의 구현 정도를 3step으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social path가 추가된 step3에서 보행 접근성 개선 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향후 관련 연구에서 보행 접근성을 평가하는데 있어 social path를 고려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social path로 인해 현재 보행 접근성 평가 측면에서 저평가를 받는 다양한 시설물들이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destrians not only walk along roads, but also pass through buildings or across open spaces. This study defines these unusual walk routes as social path. Social path is an informal pedestrian route that is not considered in a pedestrian network, even though it should be regarded as pedestrian rout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ocial path는 대상지 특성에 따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위에서 정의한 다양한 social path는 대상지 특성에 따라 개방형과 시설 통과형, 복합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social path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social path를 도시 시설로써 건설된 인공적인 길이 아닌 사람들의 통행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경로로 정의하고자 한다. 넓은 오픈 스페이스를 가로지르는 경로, 건물 사이의 샛길, 슈퍼블록 형태의 건물 내부를 통과하여 가로지르는 경로, 단차가 심한 경우에 건물 내부의 계단과 엘리베이터 등을 활용한 입체적 보행 경로 등이 모두 해당된다.
social path에 포함되는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social path를 도시 시설로써 건설된 인공적인 길이 아닌 사람들의 통행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경로로 정의하고자 한다. 넓은 오픈 스페이스를 가로지르는 경로, 건물 사이의 샛길, 슈퍼블록 형태의 건물 내부를 통과하여 가로지르는 경로, 단차가 심한 경우에 건물 내부의 계단과 엘리베이터 등을 활용한 입체적 보행 경로 등이 모두 해당된다. 이는 풀밭에 난 보행 흔적을 토대로 social path를 정의하는 수준(Gallagher, 2013)에서 한 단계 진보한 개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Ga C. O., Lee W. H., Yu K. Y. (2011), Study on the Method to Create a Pedestrian Network and Path Using Navigation Data for Vehicl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graphic Spatial Information System, 19(3), The Korea Society for Geographic Spatial Information System, 67-74. 

  2. Gallagher P., Marchall W. E., Atkinson-Palombo C. (2013), Missing Links: How Social Paths can Improve Light Rail Pedestrian Accessibility, TRB 2013 Annual Meeting. 

  3. Handy S. L. (2007), Urban Form and Pedestrian Choices: Study of Austin Neighborhood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52, 135-144. 

  4. Hillier B., Hanson J. (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Jung C. H., Choi M. H. (2010), Analysis of Traffic Volume Using Space Syntax Model Supplemented by Accessibility Factor in Downtown Daegu,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5(5), Korea Planners Association, 129-140. 

  6. Kim H. Y., Ryu G. W., Park I. H., Jeon C. M. (2006), An Accessibility Incorporated Pedestrian Routing Algorithm, Conference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06. 

  7. Kim J. H., Oh Y. T., Son Y. T., Park W. S. (2002), A Study on Estimating Level-of-Service for Pedestrian Facilities, J. Korean Soc. Transp, 20(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49-156. 

  8. Kim T. H. (2008), A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the Network-Wide Pedestrian Quality of Service Toward Sustainable Pedestrian Environment, Ph. 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9. Kim T. H., Park J. W., Ko Y. S., Park J. J. (2009), A Study on the Changing Connectivity of Pedestrian Network Using Space Syntax,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11(2),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55-66. 

  10. Kim Y. W., Shin H. W. (2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Network According to Land Use Pattern-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Network and Pedestrian Volume Using Space Syntax,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8(3),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83-94. 

  11. Lee J. W., Son B. S., Kim H. J. (2008),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lgorithm for Pedestrian in Shopping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8(2),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47-154. 

  12.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3), Highway Capacity Manuel, Korea. 

  13. Sabidussi G., (1966), The Centrality Index of a Graph, Psychometrika, 31(4), 581-603. 

  14. Sung H. G., Rho J. H., Kim T. H., Park J. H. (2006), A Study on the Effects of Land Use on Travel Pattern in the Rail Station Areas of a Dense City:A Case of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1(4), Korea Planners Association, 59-75. 

  15. Tumlin J. (2011), Sustainable Transportation Planning: Tools for Creating Vibrant, Healthy, and Resilient Communities, Wiley. 

  16. Vragovic I., Louis E., Diaz-Guilera A. (2005), Efficiency of Informational transfer in regular and complex networks, Journal of Physical Review E, 71(036122), 1-9. 

  17. Yu Y. S. (2013), A Study of Pedestrian Accessibility Index for Improving the Public Transport Transfer System, Master's Degree, University of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