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후 우울증에 대한 황련해독탕 약침의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를 위한 임상 시험
The Clinical pilot study of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e therapy on Post-stroke depression 원문보기

Journal of pharmacopuncture, v.13 no.2, 2010년, pp.67 - 73  

제준태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 교실) ,  이상관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 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icacy and safely of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re (HHT-PA) therapy on post-stroke depression (PSD) in stroke patients. Methods : Fifteen PSD patients has been recruited and evaluated with liver function test (LFT) and renal func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황련해독탕 약침이 경구투여보다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22)를 고려해보면, 황련 해독탕 약침이 뇌졸중 후 우울증에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뇌졸중 후 우울증에 황련해독탕 약침 치료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 이에 PSD에 대한 황련해독약침의 유효성와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009년 3월 1일부터 2009년 9월 30일까지 원광대 광주 한방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 중 PSD 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황련해독약침 시술 전과 시술후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최근 연구에서는 우울증의 심각도 및 치료 반응을 측정하는데 관찰자 평가 척도가 우선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29), 본 연구결과를 신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 수의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피험자가 충분히 많다면 BDI를 통한 측정에서도 역시 유의한 차이를 보여줄 수도 있을 것이다.
  • 본 임상연구가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지만,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피험자 수자 작다는 것이다. 이는 실제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여주는데 제한점을 가지고 있고, 반대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만 실제 차이가 있다고 강하게 주장될 수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후유증으로는 무엇이 있나? 뇌졸중은 혈관의 폐색 또는 협착에 의해 뇌혈액의 공급이 장애를 받거나, 파열되어 혈관 영역과 관련된 신경학적 결손증상을 나타내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두 번째로 높은 사망원인 질환이면서 발병률 역시 매우 높은 질환이다1). 뇌졸중 후유증은 상하지의 마비로 인한 운동 장애, 일상생활활동장애, 지각장애, 언어장애와 함께 불안, 우울, 흥분, 좌절 같은 정서적 장애 등이 있다2). 이러한 후유증은 사회적, 직업적 역할이나 가족관계에 있어 여러 가지 심리적인 문제를 일으키게 되고 재활 치료에 있어서도 부정적 영향을 준다2).
뇌졸중 후유증이 초래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뇌졸중 후유증은 상하지의 마비로 인한 운동 장애, 일상생활활동장애, 지각장애, 언어장애와 함께 불안, 우울, 흥분, 좌절 같은 정서적 장애 등이 있다2). 이러한 후유증은 사회적, 직업적 역할이나 가족관계에 있어 여러 가지 심리적인 문제를 일으키게 되고 재활 치료에 있어서도 부정적 영향을 준다2).
뇌졸중의 특징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혈관의 폐색 또는 협착에 의해 뇌혈액의 공급이 장애를 받거나, 파열되어 혈관 영역과 관련된 신경학적 결손증상을 나타내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두 번째로 높은 사망원인 질환이면서 발병률 역시 매우 높은 질환이다1). 뇌졸중 후유증은 상하지의 마비로 인한 운동 장애, 일상생활활동장애, 지각장애, 언어장애와 함께 불안, 우울, 흥분, 좌절 같은 정서적 장애 등이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전국한의과대학심계내과학교실. 심계내과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6:265-393. 

  2. 안용팔, 이숙자, 양승한, 배광웅.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의식구조. J.of Korean acad.of Rehab.Med.. 1984;8(2):92-8. 

  3. Demecour CL, Caplan D.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to symptomatology and lesion site in aphasic patients. Cortex. 1991;27:385-401. 

  4. Kauhanen ML, Korpelainen JT, Hitunen P. Aphasia, depression, and non-verbal cognitive impairment in ischaemic stroke. Cerebrovasc Dis. 2000;10:455-61. 

  5. Kim P, Warren S, Madill H. Quality of life of stroke survivors. Qual Life Res. 1999;8:293-301. 

  6. King RB.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Stroke. 1996;28:1467-72. 

  7. Schwartz JA, Speed NM, Brunberg JA. Depression in stroke rehabilitation. Biol Psychiatry. 1993;33:694-9. 

  8. Herrmann N, Black SE, Lawrence J. The Sunnybrook Stroke Study: a prospective study of depressive symptoms and functional outcome. Stroke. 1998;29:618-24. 

  9. Ramasubbu R, Robinson RG, Flint AJ. Functional impairment associated with acute poststroke depression: the Stroke Data Band Study.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1998;10:26-33. 

  10. Kotila M, Numminen H, Waltimo O. Poststroke depression and functional recovery in a population-based stroke register. The Finnstroke study. Eur J Neruol. 1999;6:309-12. 

  11. Pohjasvaara T, Vataja R, Leppavuori A. Depression in an independent predictor of poor long-term functional outcome post-stroke. Eur J Neurol. 2001;8:315-9. 

  12. Kauhanen M, Korpelainen JT, Hiltunen P. Poststoke depression correlates with cognitive impairment and neurological deficits. Stroke. 1999;30:1875-80. 

  13. Sinyor D, Amato P, Kaloupek DG. Post-stroke depression:relationships to functional impairment, coping strategies, and rehabilitaion outcome. Stroke. 1986;17:1102-7. 

  14. Paolucci S, Antonucci G, Pratesi L. Poststroke depression and its role in rehabilitation of in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1999;80:985-90. 

  15. Pohjasvaara T, Vataja R, Leppavuori A. Depression in an independent predictor of poor long-term functional outcome post-stroke. Eur J Neurol. 2001;8:315-9. 

  16. Gillen R, Tennen H, Mckee TE. Depressive symptoms and history of depression predict rehabilitation effeciency in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645-9. 

  17. Neau JP, Ingrand P, Mouille-Brachet C. Functional recovery and social outcome after cerebral infarction in young adults. Cerebrosc Dis. 1998;8:296-302. 

  18. Chemerinski E, Robinson RG, Kosier JT. Improved recover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sociated with remission of poststroke depression. Stroke, 2001;32:113-7. 

  19. Kondo Y, Kondo F, Asanuma M, Tanaka K, Ogawa N. Protective effect of oren-gedoku-to against induction of neuronal death by transient cerebral ischemia in the C57BL/6 mouse. Neurochem Res. 2000;25(2):205-9. 

  20. Kabuto H, Asanuma M, Nishibayashi S, Iida M, Ogawa N. Chronic administration of Orengendoku-to(TJ15) inhibitis ischemia-induced changes in brain indoleamine metabolism and muscarnic receptor binding in the Mongolian gerbil. Neurochem Res. 1997;22(1):33-6. 

  21. Kim YO, Leem K, Park J, Lee P, Ahn DK, Lee BC, Park HK, Suk K, Kim SY, Kim H. Cytoprotective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in CA1 hippocampal neurons of rats after global cerebral ischemia. J. Ethnopharmacology. 2001;77(2-3):183-8. 

  22. 신길조, 조기호, 금영석, 배형섭, 이경섭. 황련해독탕의 약침제제의 안정성 및 효능에 관한 연구. 경희한의대논문집. 1994;17(1):85-115. 

  23. 설현, 육태한. 견정혈 황련해독탕약침이 심박변이율(HRV)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21(6):37-50. 

  24. Cho GL, Kim JU, Lee YJ, Rhim EK, Shin SH, Kim DW, Hong SH, Joo JC. Two cases of Chest Heating Sensation treated by Hwangryunhaedok-tang Herbal-Acapuncture. 2003;6(2):127-135. 

  25. Jang HH, Lee DY, Lee SH, Kang HW, Lyn YS, Clinical Studies on HWANGRYUNHAEDOKTANG Herbal Acapuncture Therapy on Headache. 2003;6(1):52-60. 

  26. 王懷德. 太平聖惠方 1. 서울:한성사. 1980:3211-3. 

  27. Han HM, Yum TH, Shin YW, Kim KH, Yoon DJ, Chung KJ. A standardization study of back depression inventory in Korea. Neuropsychiatry 1986;25:487-98. 

  28. Hedlund JL, Viewig BW. The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Journal of Operational Psychiatry. 1979;10(2):149-165. 

  29. 이중서, 배승오, 안용민, 박두병, 노경선, 신현균, 우행원, 이홍식, 한상익, 김용식. 한국판 Hamilton 우울증 평가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J.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4(4):456-65. 

  30. Robinson RG. Poststroke Depression : Prevalence, Diagnosis, Treatment, and Disease Progression. Biol psychiatry 2003;54:376-87. 

  31. Huff W, Steckel R, Sistzer M. Poststroke depression : Risk factors and effects on the course of the stroke. Nervenarzt 2003;74:104-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