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linical and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body weight, dosage, family history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psychiatric co-morbidity on the side-effects of OROS-Methylphenidate (OROS-MPH), and to eva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최근에 많이 사용되기 시작한 서방형 제제에 대한 부작용과 그 요인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아 앞으로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소아청소년에서 중추신경자극제 서방형 제제의 대표약물인 OROS-MPH의 부작용의 양상을 확인하고, 약물부작용과 관련된 제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관련 요인들을 확인하며, 약물치료의 반응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ethyl-phenidate-immediate releasing form이 가지는 단점은 무엇인가? Methylphenidate(MPH)는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소아 환자들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가장 흔히 사용되고 매우 효과적인 약물이다.1,2) 이중 Methyl-phenidate-immediate releasing form(MPH-IR)이 현재 까지 주로 처방되고 있는 제형으로 환자의 약 75%에서 효과 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작용시간이 4시간 정도로 하루에 여러번 복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왔다. OROS-Methyl-phenidate(OROS-MPH)는 투여 후 12시간 동안 효과를 나타내도록 만들어진 약물로서, 오전에 1번만 복용하면 되므로 MPH-IR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MPH의 부작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MPH의 부작용은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었는데 특히 맥박의 증가, 혈압의 증가와 같은 심혈관계 부작용과4-6) 불면, 식욕감소, 두통, 위통, 낮시간 졸림, 짜증, 불안 등의 신체적인 호소 증가가 잘 알려져 있다.7,8) 신체적인 부작용은 현재까지 중추신경자극제 부작용평가척도(the stimulant drug side ef-fect rating scale, SERS)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있다.
MPH의 부작용 중 신체적인 부작용은 무엇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가? MPH의 부작용은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었는데 특히 맥박의 증가, 혈압의 증가와 같은 심혈관계 부작용과4-6) 불면, 식욕감소, 두통, 위통, 낮시간 졸림, 짜증, 불안 등의 신체적인 호소 증가가 잘 알려져 있다.7,8) 신체적인 부작용은 현재까지 중추신경자극제 부작용평가척도(the stimulant drug side ef-fect rating scale, SERS)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있다. SERS 는 1990년 Barkley 등에 의하여 개발된 척도로서 ADHD 환자에게 MPH 제제를 투여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중 대표적인 17가지 부작용 리스트를 척도화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Elia J. Drug treatment for hyperactive children. Therapeutic guidelines. Drugs 1993;46:863-871. 

  2. Anon. Practice parameter for the use of stimulant medications in the treatment of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2;41:26-49. 

  3. Wilens T, Pelham W, Stein M, Conners CK, Abikoff H, Atkins M, et al. ADHD treatment with once-daily OROS methylphenidate: interim 12-month results from a long-term open-label stud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3;42:424-433. 

  4. Kelly KL, Rapport MD, Dupaul GJ. Attention deficit disorder and methylphenidate-a multi-step analysis of dose-response effects on childrens cardiovascular functioning. Int Clin Psychopharmacol 1988;3:167-181. 

  5. Solanto MV, Conners CK. A dose-response and time-action analysis of autonomic and behavioral-effects of methylphenidate in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hyperactivity. Psychophysiology 1982;19:658-667. 

  6. Tannock R, Schachar RJ, Carr RP, Logan GD. Dose-response effects of methylphenidate on academic-performance and overt behavior in hyperactive-children. Pediatrics 1989;84: 648-657. 

  7. Ahmann PA, Waltonen SJ, Olson KA, Theye FW, Vanerem AJ, Laplant RJ. Placebo-controlled evaluation of ritalin side-effects. Pediatrics 1993;91:1101-1106. 

  8. Barkley RA, Mcmurray MB, Edelbrock CS, Robbins K. Sideeffects of methylphenidat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 systemic, placebo-controlled evaluation. Pediatrics 1990;86:184-192. 

  9. Klein R, Bessler A. Stimulant side effects in children. In: Lieberman J, ed. Adverse Effects of Psychotropic Drugs. New York: Guilford Press;1992. p.470-496. 

  10. Firestone P, Musten LM, Pisterman S, Mercer J, Bennett S. Short-term side effects of stimulant medication are increased in preschool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1998;8:13-25. 

  11. Stein MA, Sarampote CS, Waldman ID, Robb AS, Conlon C, Pearl PL, et al. A dose-response study of OROS methylphenidat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ediatrics 2003;112:404-413. 

  12. Diamond IR, Tannock R, Schachar RJ. Response to methylphenidate in children with ADHD and comorbid anxiet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9;38:402-409. 

  13. Karabekiroglu K, Yazgan YM, Dedeoglu C. Can we predict short-term side effects of methylphenidate immediate-release? Int J Psychiaty Clin 2008;12:48-54. 

  14. Cho SC, Shin MS. Diagnosis and assessment of child psychopathology. Seoul: Hakjisa;2006. 

  15. Steele M, Jensen PS, Quinn DMP. Remission versus response as the goal of therapy in ADHD: A new standard for the field? Clin Ther 2006;28:1892-1908. 

  16. Kovacs M, Beck AT. An empirical- clinical approach toward a definition of childhood depression. depression in childhood: diagnosis', treatment and conceptual models. New York: Raven Press; 1977. 

  17. Spielberger C. Preliminary manual for the Stait-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Palo Alto: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973. 

  18. Cho SC, Choi JS.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eoul J Psychiatry 1989;14: 150-157. 

  19. Cho SC. A multi-center, open label study to evaluate safe and effective doses of OROS-MPH. Spring Meeting of the Korea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try; 2004 May 14-15; Gyeongju, Korea. Seoul: Korea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etry;2004. 

  20. Stein MA, Blondis TA, Schnitzler ER, OBrien T, Fishkin J, Blackwell B, et al. Methylphenidate dosing: twice daily versus three times daily. Pediatrics 1996;98:748-756. 

  21. Rapport MD, Moffitt C.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methylphenidate - a review of height/weight, cardiovascular, and somatic complaint side effects. Clin Psychol Rev 2002;22: 1107-1131. 

  22. Fine S, Johnston C. Drug and placebo side-effects in methylphenidate- placebo trial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 Psychiatry Hum Dev 1993;24:25-30. 

  2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II.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80. 

  24. Efron D, Jarman F, Barker M. Side effects of methylphenidate and dexamphetamine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double-blind, crossover trial. Pediatrics 1997;100: 662-666. 

  25. Ring A, Stein D, Barak Y, Teicher A, Hadjez J, Elizur A, et al. Sleep disturbances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comparative study with healthy siblings. J Learn Disabil 1998;31:572-578. 

  26. Solanto MV. Neuropsychopharmacological mechanisms of stimulant drug action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review and integration. Behav Brain Res 1998;94:127-152. 

  27. Findling RL, Short EJ, Manos MJ. Short-term cardiovascular effects of methylphenidate and Adderall.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1;40:525-529. 

  28. Brown RT, Sexson SB. Effects of methylphenidate on cardiovascular- response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ed adolescents. J Adolesc Health 1989;10:179-183. 

  29. Brown RT, Wynne ME, Slimmer LW. Attention deficit disorder and the effect of methylphenidate on attention, behavioral, and cardiovascular functioning. J Clin Psychiatry 1984;45:473-476. 

  30. Wilens T, McBurnett K, Stein M, Lerner M, Spencer T, Wolraich M. ADHD treatment with once-daily OROS methylphenidate: final results from a long-term open-label stud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5;44:1015-1023. 

  31. Steele M, Weiss M, Swanson J, Wang J, Prinzo RS, Binder CE. A randomized, controlled effectiveness trial of OROS-methylphenidate compared to usual care with immediate-release methylphenidate in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an J Clin Pharmacol 2006;13:50-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