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2주 OROS-Methylphenidate 약물 치료 후 ADHD 아동의 삶의 질 변화
Change of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ADHD after 12 Weeks OROS-Methylphenidate Treatment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3 no.3, 2012년, pp.103 - 108  

김형인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붕년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조수철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신민섭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유희정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재원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지훈 (부산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손정우 (충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신윤미 (아주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정운선 (경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한덕현 (중앙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with osmotic-release oral system methylphenidate (OROS-MPH) on quality of life (QOL)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other aim i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QO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6개 기관에서 전향적 개방연구로 진행되었다.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 진단기준에18) 따라 ADHD를 진단받은 6-12세 사이의 환자들이 포함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OROS-MPH 치료를 받은 한국 ADHD 환자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며, 이러한 삶의 질 변화가 환자의 증상 개선 및 학업 수행 능력의 향상, 부모의 우울감이나 양육 스트레스의 감소 등 다양한 요인들과 관련성이 있는지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틸페니데이트란? 메틸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 MPH)는 ADHD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일차선택약물로 알려져 있으며, 10) 여러 제형 중 삼투 용출 경구용 MPH(osmotic release oral system-me-thylphenidate, OROS-MPH)는 그 효과 및 안전성이 확인되어 있다.11) 외국의 연구에서는, 증상 개선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이 밝혀져 있으나, 12,13) 다른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국내에서도 이러한 결과가 반복될 수 있는지에 대한 고찰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가 주는 부정적 영향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5-6%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비교적 흔한 소아청소년 정신과 질환으로1) 자존감, 학업적 기능, 사회적 기능, 부모 자녀관계 등을 포함한 삶의 여러 측면에서 환자에게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이 밝혀져 왔다.2) ADHD 환자는 학업 수행 및 또래 관계의 문제로 인해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되며, 가족 내 갈등에도 쉽게 노출되므로, 삶의 질 저하를 흔하게 경험한다.
Korean version of ADHD Rating Scale의 장점은? 증상 정도의 평가에는 18문항으로 구성된 Korean version of ADHD Rating Scale(K-ARS)을 사용하였다.21) 성별과 연령에 따른 규준이 산출되어 있어 임상적으로 ADHD 진단이나 치료효과 평가에 유용하며, 본 연구에서는 기준시점, 투약 후 2, 4, 8, 12 주에 각각 부모용 K-ARS를 측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olanczyk G, de Lima MS, Horta BL, Biederman J, Rohde LA. The worldwide prevalence of ADH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analysis. Am J Psychiatry 2007;164:942-948. 

  2. Johnston C, Mash EJ. Families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Clin Child Fam Psychol Rev 2001;4:183-207. 

  3. Polanczyk G, de Lima MS, Horta BL, Biederman J, Rohde LA. The worldwide prevalence of ADH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analysis. Am J Psychiatry 2007;164:942-948. 

  4. Riley AW, Coghill D, Forrest CB, Lorenzo MJ, Ralston SJ, Spiel G; ADORE Study Group. Validity of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 the ADORE study: Parent Report Form of the CHIP-Child Edition. Eur Child Adolesc Psychiatry 2006;15 Suppl 1: I63-I71. 

  5. Escobar R, Soutullo CA, Hervas A, Gastaminza X, Polavieja P, Gilaberte I. Worse quality of life for children with newly diagnose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ompared with asthmatic and healthy children. Pediatrics 2005;116:e364-e369. 

  6. Sawyer MG, Whaites L, Rey JM, Hazell PL, Graetz BW, Baghurst P.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mental disorder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2;41:530-537. 

  7. Dopfner M, Steinhausen HC, Coghill D, Dalsgaard S, Poole L, Ralston SJ, et al. Cross-cultur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DHD assessed by the ADHD Rating Scale in a pan-European study. Eur Child Adolesc Psychiatry 2006;15 Suppl 1:I46-I55. 

  8. Coghill D, Danckaerts M, Sonuga-Barke E, Sergeant J; ADHD European Guidelines Group. Practitioner review: Quality of life in child mental health--conceptual challenges and practical choices.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9;50:544-561. 

  9. Danckaerts M, Sonuga-Barke EJ, Banaschewski T, Buitelaar J, Dopfner M, Hollis C, et al.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Eur Child Adolesc Psychiatry 2010;19:83-105. 

  10. Dopheide JA, Pliszka S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 update. Pharmacotherapy 2009;29:656-679. 

  11. Wilens T, Pelham W, Stein M, Conners CK, Abikoff H, Atkins M, et al. ADHD treatment with once-daily OROS methylphenidate: interim 12-month results from a long-term open-label stud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3;42:424-433. 

  12. Buitelaar J, Medori R. Treating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beyond symptom control alon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view of the potential benefits of long-acting stimulants. Eur Child Adolesc Psychiatry 2010;19:325-340. 

  13. Mattos P, Louza MR, Palmini AL, Oliveira IR, Rocha FL. A Multicenter, Open-Label Trial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fe in Adults With ADHD Treated With Long-Acting Methylphenidate (OROS MPH): Concerta Quality of Life (CONQoL) Study. J Atten Disord In Press 2012. 

  14. Riley AW, Spiel G, Coghill D, DOpfner M, Falissard B, Lorenzo MJ, et al. Factors related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mong children with ADHD in Europe at entry into treatment. Eur Child Adolesc Psychiatry 2006;15 Suppl 1:I38-I45. 

  15. Klassen AF, Miller A, Fine 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have a diagnosi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ediatrics 2004;114:e541-e547. 

  16. Newcorn JH, Spencer TJ, Biederman J, Milton DR, Michelson D. Atomoxetine treat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comorbid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5;44:240-248. 

  17. Gurkan K, Bilgic A, Turkoglu S, Kilic BG, Aysev A, Uslu R. Depression, anxiety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during three-month methylphenidate treatment. J Psychopharmacol 2010;24:1810-1818. 

  1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Text Revis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19. Kim YS, Cheon KA, Kim BN, Chang SA, Yoo HJ, Kim JW, et al.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 Korean version (K-SADS-PL-K). Yonsei Med J 2004;45:81-89. 

  20. Riley AW, Forrest CB, Starfield B, Rebok GW, Robertson JA, Green BF. The Parent Report Form of the CHIP-Child Edition: reliability and validity. Med Care 2004;42:210-220. 

  21. So YK, Noh JS, Kim YS, Ko SG, Koh YJ.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parent and teacher ADHD Rating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2;41:283-289. 

  22. Cho YK, Ha EH.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Academic Performance Rating Scale (K-APRS) Parent Form. Korean J Clin Psychol 2009;28:1173-1189. 

  23. Han HM, Yeom TH, Shin YW, Kim GH, Yoon DJ, Chung KJ.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Korea: For normal group (1).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6;25:487-500. 

  24. Chung MJ, Shin SJ. Effects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efficacy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Child Stud Diverse Contexts 1998;19: 27-42. 

  25. Wallander JL, Schmitt M, Koot HM. Quality of life measure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ssues, instruments, and applications. J Clin Psychol 2001;57:571-585. 

  26. Revicki DA, Osoba D, Fairclough D, Barofsky I, Berzon R, Leidy NK, et al. Recommendation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earch to support labeling and promotional claims in the United States. Qual Life Res 2000;9:887-900. 

  27. Yoo HK, Park S, Wang HR, Lee JS, Kim K, Paik KW, et al. Effect of methylphenidate on the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epilepsy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open-label study using an osmotic-controlled release oral delivery system. Epileptic Disord 2009;11:301-308. 

  28. Escobar R, Montoya A, Polavieja P, Cardo E, Artigas J, Hervas A, et al. Evaluation of patients' and parents' quality of life in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atomoxetine study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09;19: 253-263. 

  29. Svanborg P, Thernlund G, Gustafsson PA, Hagglof B, Schacht A, Kadesjo B. Atomoxetine improves patient and family coping in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in Swedish children and adolescents. Eur Child Adolesc Psychiatry 2009;18:725-735. 

  30. Green CT, Long DL, Green D, Iosif AM, Dixon JF, Miller MR, et al. Will Working Memory Training Generalize to Improve Off-Task Behavior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Neurotherapeutics In Press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