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cillus subtilis 168 균주가 분비하는 5 kDa 크기의 Bacteriocin
A Bacteriocin of 5-kDa in Size Secreted by Bacillus subtilis 168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8 no.2, 2010년, pp.163 - 167  

권건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원) ,  이황아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 program)) ,  김정환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 subtilis 168 균주는 배양중 항균물질을 배지중으로 분비하며 배양상등액은 몇몇 그램 양성균을 저해한다. B. cereus와 L. monocytogenes의 저해 정도가 가장 컸었다. 배양상등액을 proteas와 proteinase K로 처리할 경우 항균력이 상실되어서 항균물질은 단백질성(박테리오신) 임을 알수있었다. Tricine SDS-PAGE에 의해서 박테리오신 분자량은 5 kDa으로 확인되었다. 박테리오신은 민감한 균을 죽임으로써 생육을 저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 결과들에서 B. subtilis 168은 청국장과 같은 B. cereus 오염이 문제되는 발효식품들의 종균으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illus subtilis 168 secreted antimicrobial substance(s) into culture medium and culture supernatant inhibited growth of some Gram positive bacteria. B. ce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were the most sensitive organisms.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destroyed when culture supernatant was tre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배양 상등액의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박테리오신으로 추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B. subtilis 168이 만드는 박테리오신의 몇가지 특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박테리오신이란 무엇인가? 천연 보존제로 개발이 유망한 화합물들중 한 종류로 여러 세균들이 만드는 박테리오신들(bacteriocins)이 있다. 박테리오신은 리보솜에서 합성되는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계통 항균물질로서 특정 생육환경에서 박테리오신 생산균주들이 비슷한 종류의 다른 균 생육을 저해할 목적으로 생산,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7]. 박테리오신은 식품과 함께 인체내로 들어가더라도 소화관내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들(proteolytic enzymes)에 의해 분해되어서 인체에는 안전하다.
박테리오신은 인체에 들어가면 어떻게 되는가? 박테리오신은 리보솜에서 합성되는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계통 항균물질로서 특정 생육환경에서 박테리오신 생산균주들이 비슷한 종류의 다른 균 생육을 저해할 목적으로 생산,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7]. 박테리오신은 식품과 함께 인체내로 들어가더라도 소화관내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들(proteolytic enzymes)에 의해 분해되어서 인체에는 안전하다. 지난 수십년동안 신규 박테리오신들의 탐색 노력과 함께 박테리오신 특성 파악, 작용 기작 이해, 구조 유전자 클로닝, 박테리오신 구조 변경을 통한 항균 효과 개선, 대량 생산 기술 개발과 같은 식품에서의 응용에 필요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16].
B. subtilis 168 박테리오신에 노출된 B. cereus ATCC 14579의 생균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무엇인가? cereus ATCC 14579의 생균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박테리오신에 노출되지 않은 대조구의 경우 초기균수 1×108 cell/mL는 6시간째 1×105 cells/mL 까지 감소하였으나 6시간 이후 차츰 균수가 증가하여 배양 24시간에는 5×107 cells/mL까지 다시 증가하였다. 반면 B. subtilis 168 박테리오신에 노출된 B. cereus 세포들의 경우에는 박테리오신 첨가 시점으로부터 3시간 이후부터(Fig. 4 그래프 상에서 6시간 이후) 생균수가 감소하였으며, 배양 24시간에는 1×102 cells/mL까지 감소 하였다. 이상 결과는 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radford, M. M. 1976. Rapid and sensitive methods for the quantific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gding. Anal. Biochem. 72: 248-254. 

  2. Cho, M., E.-K. Bae, S.-D. Ha, and J. Park. 2005. Application of natural antimicrobials to food industry. Food Sci. Indus. 38: 36-45. 

  3. Galvez, A., H. Abriouel, R. L. Lopez, and N. B. Omar. 2007. Bacteriocin-based strategies for food biopreservation. Int. J. Food Microbiol. 120: 51-70. 

  4. Jack, R. W., J. R. Tagg, and B. Ray. 1995. Bacteriocin of gram-positive bacteria. Microbiol. Rev. 59: 171-200. 

  5. Jeong, W. J., A. R. Lee, J. Chun, J. Cha, Y.-S. Song, and J. H. Kim. 2009. Properties of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Bacillus strains with high fibrinolytic activities. J. Food Sci. Nutr. 14: 252-259. 

  6. Kim, S. I., I. C. Kim, and H. C. Chang. 199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gent producing microorganisms and sensitive strain from soil. J. Kor. Soc. Food Sci. Nutr. 28: 526-533. 

  7. Klaenhammer, T. R. 1993. Genetics of bacteriocin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FEMS Microbiol. 12: 39-86. 

  8. Kwon, G.-H., H.-A. Lee, J.-Y. Park, J. S. Kim, J. Yim, C.-S. Park., D. Y. Kwon, Y.-S. Kim, and J. H. Kim. 2009. Development of a RAPD-PCR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Bacillus species isolated from Cheonggukjang. Int. J. Food Microbiol. 129: 282-297. 

  9. Lee, K.-H., J.-Y. Park, S.-J. Jeong, G.-H. Kwon, H.-J. Lee, H. C. Chang, D. K. Chung, J.-H. Lee, and J. H. Kim. 2007. Characterization of Paralantaricin C7, a novel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paraplantarum C7 isolated from Kimchi. J. Microbiol. Biotechnol. 17: 287-296. 

  10. Lim, S. M. and D. S. Im. 2007. Bactericidal effect of bacteriocin of Lactobacillus plantarum K11 isolated from Dongchimi on Escherichia coli O157. J. Food Hyg. Safety 22: 151-158. 

  11. Lind, H., H. Jonsson, and J. Schnqrer. 2005. Antifungal effect of dairy propionibacteria?contribution of organic acids. Int. J. Food Microbiol. 98: 157?165. 

  12. Maeng, K.-H., J.-S. Kim, G.-E. Ji, and J. H. Kim.. 1997. Isolation of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human intestin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bacteriocins. J. Kor. Soc. Food Sci. Nutr. 26: 1228-1236. 

  13. Mah, J.-H., K.-S. Kim, J.-H. Park, M.-W. Byun, Y.-B. Kim, and H.-J. Hwang. 2001. Bacteriocin with a broad antimicrobial spectrum, produced by Bacillus sp. isolated from Kimchi. J. Microbiol. Biotechnol. 11: 577-584. 

  14. Michael, D. P. and M. A. Harrison. 2002. Resistance and adaptation to food antimicrobials, sanitizers, and other process controls. Food Technol. 56: 69-78. 

  15. Moon, G.-S., J.-J. Jeong, G.-E. Ji, J.-S. Kim, and J. H. Kim. 2000. Characterization of a bacteriocin produced by Enterococcus sp. T7 isolated from humans. J. Microbiol. Biotechnol. 10: 507-513. 

  16. Settanni, L. and A. Corsetti. 2008. Application of bacteriocins in vegetable food biopreservation. Int. J. Food Microbiol. 121: 123-138. 

  17. Scjagger, H. 2006. Tricine-SDS-PAGE. Proc. Natl. 1: 16-22. 

  18. Stenfors Arnesen, L. P., A. Fagerlund, and P. E. Granum. 2008. From soil to gut: Bacillus cereus and its food poisoning toxins. FEMS Microbial Rev. 32: 579-606. 

  19. Tagg, G. R., A. S. Dajani, and L. W. Wannamarker. 1976. Bacteriocin of gram-positive bacteria. Bacteriol. Rev. 40: 722-756. 

  20. Yang, E. J. and H. C. Chang. 2007. Charaterization of bacteriocin-like-substances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MJP1. Kor. J. Microbiol. Biotechnol. 35: 339-3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