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황청심원 관련 최근 연구 동향 : 국내 논문에 대한 고찰
The Latest Research Trends on Woohwangchungsim-won : A Review in Korean Articles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1 no.4, 2010년, pp.775 - 791  

이제원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심계내과학 교실) ,  백경민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심계내과학 교실) ,  백영두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임상병리과) ,  임은영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심계내과학 교실) ,  장우석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심계내과학 교실) ,  전우현 (제한병원) ,  정인권 (제한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Woohwangchungsim-won has been used for acute diseases such as cerebrovascular disease (stroke), heart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significance & necessity of Woohwangchungsim-won in acute stages of these disease by reviewing Korean articles about Woohw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한의과대학 및 그 부속병원을 주축으로 하는 연구는 1999년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동물실험 및 임상연구의 형태로 설정되어 牛黃淸心元의 효능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루어진 임상 연구는 그 대상자의 수가 적고, 주로 질환이 없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의 분포가 고르지 못하여 충분한 검증력을 가지기에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며, 牛黃淸心元의 치료 효과, 작용 기전에 대한 연구, 서의학적 약물과 병용투여 시 나타나는 길항작용 및 상승작용에 대한 연구도 미흡하다.
  • 본 연구가 우황청심원에 관한 기존 국내논문들의 단순한 분석에 불과하고 구체적이고 표준화된 평가기준 등을 활용한 논문의 질적 평가는 이루어 지지 못하였으며, 논문의 검색과정에서 원문이 검색되지 않는 논문들 몇 편이 누락되는 등의 미흡한 점이 있으나, 향후에 진행될 중풍 치료에서 우황청심원의 유효 용량에 관한 연구 및 그 밖의 우황청심원 관련 연구들이 이루어 질 수 있는데 조 금이나마 기여할 만한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를 통해 저자는 牛黃淸心元에 관한 기존 국내 논문들을 분석, 고찰함으로써 국내에서 中風 의 발생 초기의 대표적인 응급약인 牛黃淸心元이 가지는 의의 및 효과, 응급약으로서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1980년 1월부터 2010년 8월까지 牛黃淸心 元을 연구 대상으로 한 기존 국내 논문들을 검색하여 일반적인 서지 사항과 발표시기, 연구기관, 연구내용, 연구대상 및 방법, 연구에 사용된 牛黃 淸心元의 종류 등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향후 중풍 급성기에서 우황청심원의 유효 용량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근거마련을 위해 牛黃淸心元을 연구 대상으로한 기존 국내 논문들을 분석하여 牛黃淸心元이 가지는 의의 및 효과, 응급약으로서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牛黃淸心元은 다른 한약에 비해 우리나라의 많은 가정에서 상비되어 있는 응급약으로 심장질환이나 뇌질환 등 급성질환에 널리 애용되고 中風급성기에 상용되는 처방임은 분명하나 그에 대한 시장 규모나 실제 한방병원 또는 가정에서의 투약 현황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가 없었으며, 그 효능을 검증하는 연구가 몇차례 진행되기는 하였으나 뇌혈관 질환 및 허혈성 심질환의 급성기에 대한 치료 효과 입증에 구체적 이고 객관적인 근거를 제공할 만한 연구는 미흡하 였음을 알 수 있었다.
  • 저자는 牛黃淸心元을 연구 대상으로 한 국내에서 출판된 기존 논문들을 분석하여 국내에서 中風의 발생 초기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응급약 중의 하나인 牛黃淸心元이 가지는 의의 및 효과, 응급약으로서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향후 중풍 치료에서 牛黃淸心元의 유효 용량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근거마련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계적 문헌 검색을 위해 이용한 검색 사이트는? 체계적 문헌 검색을 위해서 인지도가 높은 한국 교육학술정보원(KERIS, http://www.riss4u.net), 한국학술정보(KISS, http://kiss.kstudy.com), 전통의학 정보포털 오아시스(OASIS, http://oasis.kiom.re.kr), 누리미디어(DBPIA, http://www.dbpia.co.kr)의 국내 논문 통합 검색 사이트 뿐만아니라 학술교육원 (e-article, http://www.earticle.net), 학지사(뉴논문, http://webdb.newnonmun.com), 교보문고(스칼라스, http://scholar.dkyobobook.co.kr), 과학기술 학회마을(http://society.kisti.re.kr) 등의 검색 사이트도 함께 이용하여 검색 하였다. 국내 의학 DB 검색 엔진을 통해 논문을 검색할 수 있었으나 간혹 검색이 부정확하거나 원문이 열람되지 않는 것이 있어, 이들 검색엔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한의학회, 한방내과학회, 침구학회 등의 학회지 사이트를 통해 별도로 검색하여 원문을 확인하였다.
牛黃淸心元이란? 牛黃淸心元은 동양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해 왔던 한약 제제(이후 ‘한약’으로 표시)로서 太平惠民和 劑局方1 , 東醫寶鑑 2 등에 처방이 기재되어있으며 牛 黃, 山藥, 甘草, 人蔘, 蒲黃, 神麯, 麝香 등 총 28종 의 한약재로 구성되어 있다. 牛黃淸心元은 五臟六 腑에 문제가 생겨 발병한 中風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처방으로3 心胸熱毒을 치료하는 九味淸心元과 虛勞羸瘦, 脾胃虛弱을 치료하는 大山芋丸의 처방을 合하고 熟地黃을 제거한 것이다.
문헌을 빠짐없이 포함하기 위해서 포함한 것과 제외한 것은? 국내에서 연구된 牛黃淸心元, 變方牛黃淸心元의 丸劑뿐만 아니라 懸濁液과 관련된 논문을 모두 연구 대상에 포함시켰으며, 牛黃이나 麝香 등과 같은 개별적인 단일 한약재에 대한 연구는 제외시켰다. 또한 牛黃淸心元과 관련된 논문이라도 논문 발간 시기가 1980년 전이거나 검색 사이트에서 원문 검색이 되지 않는 논문은 이번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陳師文. 太平惠民和劑局方. 대북: 선풍출판사; 1987, p. 81. 

  2. 許浚. 原本東醫寶鑑. 서울: 남산당; 1987, p. 362, 692. 

  3. 김영석. 중풍(뇌졸중):중풍학술대회논문집. 1995;1-56. 

  4. 남상경, 이경섭. 牛黃淸心元과 蘇合香元의 效能에 關한 硏究. 경희의학. 1990;6(2):220-37. 

  5. 황도연. 방약합편. 서울: 행림출판사; 1977, p. 102. 

  6. 염태환. 동의처방대전. 서울: 행림서원; 1975, p. 332. 

  7. 안일회, 문병순, 김세길, 신민교. 原方牛黃淸心元 현탁액(SU-3)에 대한 임상시험 보고. 최신의학. 1990;33(2):109-16. 

  8. Shrestha M. Applied Animal Behavior Science. 1998;59:1-3. 

  9. 고창남. 우황청심원이 흰쥐의 적출심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10. 박치상, 이은주, 박원미, 김미려, 조정숙, 김영호 등. 牛黃淸心元이 腦虛血을 誘發시킨 흰쥐의 神經傳達物質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의학회지. 2000;21(1):11-9. 

  11. 김영석. 우황청심원이 정상인의 뇌혈류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99;20(1):222-31. 

  12. 최창민, 선종주, 김석민, 정재한, 이승엽, 최원우 등. 우황청심원이 정상인의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28(4):717-26. 

  13. 조태순, 이선미, 김낙두, 허인회, 안형수, 권광일 등. 신우황청심원의 심혈관계에 대한 약효. 약학회지. 1997;41(6):802-16. 

  14. 조태순, 이선미, 이은방, 조성익, 김용기, 신대회 등. 신우황청심원의 뇌허혈 및 중추신경계에 대한 약효. 약학회지. 1997;41(6):817-28. 

  15. 조태순, 이선미, 김낙두, 허인희, 안형수, 권광일 등. 신우황청심원액의 심혈관계에 관한 약효연구. 응용약물학회지. 1997;5:390-401. 

  16. 조태순, 이선미, 이은방, 조성익, 김용기, 신대회 등. 신우황청심원액의 뇌허혈 및 중추신경계에 관한 약효연구. 응용약물학회지. 1997;5:402-11. 

  17. 오승민, 연제덕, 김준수, 연제덕, 신대희, 이진영 등. 렛드에서 신우황청심원의 급성 및 아급성독 성시험. J. Toxical. Pub. Health. 1998;14(2):237-48. 

  18. 오승민, 연제덕, 남혜윤, 김준수, 신대희, 이진영 등. 랫드에서 신원방우황청심원의 급성 및 아급성독성시험. J. Toxical. Pub. Health. 1998;14(2):261-71. 

  19. 권오경, 성하정, 곽형일, 방병주, 신대희, 이진영 등. 비글개에서 신우황청심원의 급성 및 아급성 독성시험. J. Toxical. Pub. Health. 1998;14(2):249-60. 

  20. 성하정, 권오경, 방명주, 곽형일, 신대희, 이진영 등. 비글개에서 신원방우황청심원의 급성 및 아급성독성시험. J. Toxical. Pub. Health. 1998;14(2):273-83. 

  21. 박인식. MCAO로 유발된 뇌허혈에서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의 신경세포보호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해부학회지. 2006;39(3):227-33. 

  22. 홍남두, 김남재, 김규섭. 生藥複合製劑의 藥效 硏究(第35報). 생약학회지. 1987;18(4):241-8. 

  23. 안일회, 김세길. 變方牛黃淸心元 丸劑 및 懸濁液에 對한 臨床的 考察.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91;12(1):1-18. 

  24. 이영빈. 高血壓에 牛黃淸心元과 Hydralazine, Atenolol, Captopril 및 Furosemide의 倂用投與에 關한 實驗的 硏究.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25. 곽승준, 김형식, 천선아, 임소영, 박현선, 홍채영 등. 우황청심원 환제 및 액제의 급성경구비교독성시험. Korean J. Toxical. 1996;12(2):295-303. 

  26. 한순영, 박귀례, 신재호, 김판기, 권석철, 장성재. 원방우황청심원의 랫드 최기형성에 관한 연구. Korean J. Toxical. 1997;13(4):331-8. 

  27. 김효정, 서경원, 박기숙. 우황청심원의 간독성 시험: 랫드에서의 급성 및 아급성시험. Korean J. Toxical. 1997;13(3):265-74. 

  28. 김동웅. 牛黃淸心元의 長期投與가 血中 水銀 濃度와 血球 및 肝, 腎機能에 미치는 影響. 한국전통의학지. 1998;8(1):37-42. 

  29. 백지성, 김종우, 황의완. 牛黃淸心元이 NOS inhibitor에 의한 흰쥐의 學習 및 記憶障?에 미치는 影響. 동의신경정신과 학회지. 1999;10(2):115-26. 

  30. 조태순, 이선미, 김낙두, 허인회, 안형수, 권광일 등. 신원방우황청심원의 심혈관계에 관한 약효. 약학회지. 1999;43(2):237-50. 

  31. 조태순, 이선미, 이은방, 조성익, 김용기, 신대회 등. 신원방우황청심원의 뇌허혈 및 중추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약학회지. 1999;43(2):251-62. 

  32. 조태순, 이선미, 김낙두, 허인회, 안형수, 권광일 등. 신원방우황청심원액의 심혈관계에 관한 약효. 응용약물학회지. 1999;7:66-78. 

  33. 최은옥, 이장헌, 신상덕, 마응천. Mongoloan Gerbil의 뇌허혈 유발에 따른 뇌조직 손상에 있어서 사향 함유 우황청심원액화 영묘향 함유 우황청심원액의 조직학적 효능 비교. 응용약물학회지. 2000;8:255-61. 

  34. 최은욱, 김기남, 신상덕, 조명행, 마웅천. 영묘향 함유 우황청심원액과 사향함유 우황청심원액의 중추신경계에 대한 약리효과 비교시험. 약학회지. 2000;44(5):470-7. 

  35. 최은욱, 조명행, 신상덕, 마응천. 사향함유 우황청심원액과 영묘향함유 우황청심원액의 혈압강하 작용 및 적출심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약리효능 비교. 생약학회지. 2000;31(3):310-9. 

  36. 조규선, 정승현, 신길조, 문일수, 이원철. 牛黃淸心元이 저산소증 유발 배양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1;22(2):135-44. 

  37. 김민석, 정승현, 신길조, 문일수, 이원철. 저산소증으로 유발된 지연성 신경세포사에 牛黃淸心元이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2;23(3):145-163. 

  38. 조규선, 정승현, 신길조, 이원철. 牛黃淸心元이 중대뇌동맥 결찰로 유발된 뇌허혈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1;22(1):78-89. 

  39. 한창호. 牛黃淸心元이 eNOS, 세포유착분자, TNF- $\alpha$ 및 p53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40. 황성록, 정승현, 신길조, 이원철. 牛黃淸心元이 당뇨병 Rat의 혈액순환장애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2;23(2):164-79. 

  41. 최효택, 김희송. 우황청심원 복용이 거짓말탐지 검사의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법과학회지. 2002;3(4):212-6. 

  42. 원철환, 정승현, 신길조, 문일수, 이원철. 배양대뇌신경세포의 저당-저산소증 모델에서 牛黃淸心元에 의한 세포사 방지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2;23(4):125-39. 

  43. 김이동, 윤상필, 이상호, 김은주, 나병조, 정동원 등. 牛黃淸心元이 정상인의 血壓, 脈搏數, 腦血流 및 腦血管反應度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3):440-50. 

  44. 박동완. 배양한 흰쥐 대뇌세포의 저산소증 모델에서 牛黃淸心元이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45. 김선민. 근적외분광분석법을 이용한 우황청심원액 중 사향 대체물질의 분류 및 정량.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46. 조수진, 김부여, 김형우, 정병한, 봉승전, 김용성 등. Microarray 분석법 활용을 통한 뇌출혈 흰쥐에서의 우황청심원 효능 평가. 대한본초학회지. 2007;22(4):253-60. 

  47. 황재웅, 김창현, 민인규, 김영지, 임정태, 나병조 등. 우황청심원의 단독투여 및 연속투여에 따른 정상인의 뇌혈관반응도의 비교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9;30(1):95-108. 

  48. 박주영. 우황청심원이 스트레스 자극을 가한 정상인의 심박변이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9. 서울대학교 생약연구소. 牛黃淸心元의 새로운 劑型 개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1989;4(1):95-102. 

  50. 유종만. 牛黃淸心元이 motor task로 유발된 BOLD fMRI 신호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51. Morita M, Mase N, Yoda H, Takabe K. Tetrahedron: asymmetry. 2005;16:19. 

  52. Takabe K, Sugiura M, Asumi Y, Mase N, Yoda H, Shimizu H. Tetrahedron Letters. 2005;46:20. 

  53. Suginome H, Yamada S. Tetrahedron Letters. 1987;28:34. 

  54. 전국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심계내과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6, p. 331, 335-6. 

  55. 劉完素. 河間三六書. 서울: 성보사; 1976, p. 136-46. 

  56. 方廣 編註. 丹溪心法附餘. 서울: 대성문화사; 1982, p. 67-8. 

  57. 李?. 東垣十種醫書. 서울: 대성문화사; 1983, p. 64-5. 

  58. 葉桂. 臨?指南醫案. 상해: 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3, p. 17-8. 

  59. 王淸任. 中國醫學大成(醫林改錯)2. 상해: 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2, p. 15-6. 

  60. 沈全魚. 中風證治. 北京:中醫古籍出版社; 1988, p. 1, 6, 8-10, 13-4. 

  61. 윤길영. 동의임상방제학. 서울: 명보출판사; 1985, p. 71, 234. 

  62.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재. 본초학 서울: 영림사; 1991, p. 189-90, 207-8, 4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