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Outgas 분석을 통한 MLCC Bar 변형률 측정
Experimental Study on the Deformation of MLCC Compressed Bar by Quantitative Analysis for Outgas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3 no.6, 2010년, pp.458 - 463  

김민주 (삼성전기(주) 부산연구분소) ,  김종윤 (삼성전기(주) 부산연구분소) ,  정기호 (삼성전기(주) 부산연구분소) ,  박창식 (삼성전기(주) 부산연구분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LCC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is usually fabricated by lamination of predetermined number of single layers. Often, the state of MLCC before sintering is called the green state, whose strength comes from the adhesion between the dielectric material and the polymer binder. Therefore the lamina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관심을 가지는 현상은 적층된 MLCC 바(bar)를 압착하고 이후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축현상에 대한 것이다. MLCC 압착바는 절단하기 전 150℃ 부근의 온도에서 예열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는 압착바를 절단하기 쉽도록 유연하게 해주는 목적 외에, 금속재료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어 닐링(annealing)과 같은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예열중 MLCC 압착바가 비균일하게 변형하는 현상에 대해 그 근본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압착바의 변형 현상을 야기하는 근본원인으로 크게 2가지를 가정하였는데, 첫째 압착바의 구성 성분 증발에 의한 체적 감소와 둘째 고분자의 크립 열변형이 그것이다.
  • 실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압착바의 변형 현상을 야기하는 근본원인으로 크게 2가지를 가정하였는데, 첫째 압착바의 구성 성분 증발에 의한 체적 감소와 둘째 고분자의 크립 열변형이 그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한 2가지 가설 중 압착바의 구성성분이 증발함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체적감소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 본 절에서는 서론에서 언급한 두 가지 가설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애초에 세 가지의가설을 수립하였는데 첫째는 저분자 구성성분의 증발/비등에 기인한 체적 감소, 둘째는 압착/열 응력에 대한 크립 변형, 셋째는 세라믹 파우더 상전이에 의한 체적 감소이다.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GC/MS를 이용한 outgas 분석을 통해, 두 가지의 원인 중 첫번째인 구성 성분의 증발/비등에 의한 체적 감소가 실제로 압착바의 수축에 미치는 영향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전처리 및 GC/MS 장비를 포함하는 실험 장치를 새로이 구상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본 장에서는 이러한 실험 구성과 실험 조건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예열중 MLCC 압착바가 비균일하게 변형하는 현상에 대해 그 근본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압착바의 변형 현상을 야기하는 근본원인으로 크게 2가지를 가정하였는데, 첫째 압착바의 구성 성분 증발에 의한 체적 감소와 둘째 고분자의 크립 열변형이 그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한 2가지 가설 중 압착바의 구성성분이 증발함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체적감소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 본 절에서는 서론에서 언급한 두 가지 가설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애초에 세 가지의가설을 수립하였는데 첫째는 저분자 구성성분의 증발/비등에 기인한 체적 감소, 둘째는 압착/열 응력에 대한 크립 변형, 셋째는 세라믹 파우더 상전이에 의한 체적 감소이다. 그러나 실제 세라믹 파우더의 상전이는 2차 상전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에 따른 체적 감소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LCC의 역할은? MLCC(적층세라믹콘덴서)는 휴대전화, 컴퓨터, 디지털 TV, 디지털카메라 등 각종 정보통신기기의 핵심 부품으로, 전하를 저장한 후 필요한 시점에 적재적소에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MLCC는 원재료를 혼합하여 슬러리 형태로 만드는 혼합공정부터 이를 박막으로 성형하고 전극을 인쇄하는 공정, 수십에서 수백 층 적층하고 압착하는 공정, 강도를 부여하는 소성 공정 등 많은 세부공정을 거친다 [1]
MLCC는 무엇의 부품으로 사용되는가? MLCC(적층세라믹콘덴서)는 휴대전화, 컴퓨터, 디지털 TV, 디지털카메라 등 각종 정보통신기기의 핵심 부품으로, 전하를 저장한 후 필요한 시점에 적재적소에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MLCC는 원재료를 혼합하여 슬러리 형태로 만드는 혼합공정부터 이를 박막으로 성형하고 전극을 인쇄하는 공정, 수십에서 수백 층 적층하고 압착하는 공정, 강도를 부여하는 소성 공정 등 많은 세부공정을 거친다 [1]
적층세라믹콘덴서는 어떤 공정을 거쳐 만드는가? MLCC(적층세라믹콘덴서)는 휴대전화, 컴퓨터, 디지털 TV, 디지털카메라 등 각종 정보통신기기의 핵심 부품으로, 전하를 저장한 후 필요한 시점에 적재적소에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MLCC는 원재료를 혼합하여 슬러리 형태로 만드는 혼합공정부터 이를 박막으로 성형하고 전극을 인쇄하는 공정, 수십에서 수백 층 적층하고 압착하는 공정, 강도를 부여하는 소성 공정 등 많은 세부공정을 거친다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G. Y. Onoda, Jr. and L. L. Hench, Ceramic Processing before Firing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New York, 1978). 

  2. S.-G. Lee, K.-S. Yook, and C.-H. Kim, J. Kor. Soc. Anal. Sci. 4, 169 (1991). 

  3. A. L. Chuck, S. M. Turner, and P. S. Liss, Science297, 1151 (2002). 

  4. O. Chun, B. Suh, and J. Lee, Kor. J. Env. Hlth. Soc.20, 53 (1994). 

  5. W. Callister,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Wiley, Toronto, Ontario, Canada, 1994), p. 430. 

  6. S. Middleman, An Introduction to Mass and Heat Transfer (Wiley, New York, USA, 1998), p. 3. 

  7. M. Tsige and G. S. Grest, J. Phys.: Condens. Matter.17, S4119 (2005). 

  8. R. E. Mistler and E. R. Twiname, Tape Casting: Theory and Practice (The American Ceramic Society, Columnbus, OH, 2000), p. 152. 

  9. S. H. Lee, Minitab, Analysis of Measurement System (Eretec, Gunpo, yeonggi, Korea, 2006), p. 25. 

  10. I. G. Currie, Fundamental Mechanics of Fluids(McGraw-Hill Inc., New York, USA, 1993) 

  11. O. H. No, Basics of Viscous Fluid Mecahnics(Pakyoungsa, Seoul, Korea, 1996), p. 33. 

  12. N. G. Mccrum, Principles of polymer engineering(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