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암사지 일(日)자형 건물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uins of 日Type Plan Building in the Hoe-amsa Monastery site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19 no.2, 2010년, pp.85 - 100  

한지만 (일본 국립역사민속박물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function and the setting characteristics of 日type plan building ruins in the Hoe-amsa monastery site, that's renovated by Zen priest Na-ong(1320-76) in the later Goryeo Dynasty(918-1392), through the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China, Japan, and Goryeo in that ti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면, 이하에서 宋·元대 선종사원에서 중료라고 하는 전각이 어떠한 기능을 하였고, 사원 내에서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는지에 대해, 선행연구와 「五山十刹圖」, 淸規, 語錄 등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선종사원·건축의 비교고찰을 통하여, 회암사지의 『日자형 건물지』가 나옹 중창 당시의 가람에서 어떠한 기능을 한 전각이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이 유구가 이색의 『天寶山檜巖寺修造記』에 기록된 전각 명칭 중에서 어느 것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규명하고, 이와 관련된 주변의 전각 배치에 대해서도 새롭게 검토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현재까지 그 실상이 구체적으로 파악되어 있지 않은 고려시대 사원건축의 일면을 밝히고, 나아가 발굴조사 이후의 회암사지 유적 정비에도 일부나마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일반적으로 현판을 통해 전각의 기능이나 내부의 안치물을 가늠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그렇지 않은 예들도 있는데, 이 旃檀林의 경우가 바로 그렇다. 본 절에서는 우선 「天寶山檜巖寺修造記」에 적힌 旃檀林이, 불전의 동쪽에 위치해 있던 전각의 현판이었을 가능성만을 제기하는 것으로 하며, 이하에서 나옹의 회암사 중창 무렵의 중국과 일본의 선종사원 사례 및 관련 사료의 분석을 통해, 日자형 건물지의 정체, 그리고 旃檀林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단서를 찾고자 한다.
  •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선종사원·건축의 비교고찰을 통하여, 회암사지의 『日자형 건물지』가 나옹 중창 당시의 가람에서 어떠한 기능을 한 전각이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日자형 건물지는 어떻게 붙여진 명칭인가? 『日자형 건물지』 란, 내부에 남북으로 두 곳의 중정을 갖는 건물지의 평면 형태에 연유하여 붙여진 명칭으로, 현재까지 이 유구가 이색의 기문에 적힌 전각들 중에서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또 당시 어떠한 기능을 하였는지에 대해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이 문제의 원인의 한 가지로, 현재까지 회암사지의 건물지들에 대한 고찰이 국내의 관련 유구나 사료에만 국한되어 왔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5).
선종이 최전성기를 구가했던 시기는 언제인가? 南宋대(1127-1279)에 최성기를 구가했던 선종은, 元代(1271-1368)에 들어와서도 성세를 유지하였고, 元의 간섭을 받았던 고려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한 바다 건너의 일본도 南宋 초기부터 선승의 왕래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선종을 도입하고 있었다.
발굴조사를 통해 밝혀진 회암사지는 학계와 세간으로부터 많은 관심을 끌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관심을 끈 유구는 어디인가? 한편, 발굴조사2)를 통해 전모가 밝혀진 회암사지는, 유구의 배치가 나옹이 중창한 가람의 모습을 적은 李穡(1328-96)의 「天寶山檜巖寺修造記」 내용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고, 유례가 없는 독특한 평면 형태와 내부 설비를 갖는 건물 유구가 다수 발견된 것으로 인해 학계와 세간으로부터 많은 관심을 끌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주목을 끄는 유구가 바로, 6단지3)의 불전지(普光殿址) 서편과 동편에 각각 위치한 僧堂 유구(서편)4)와 『日자형 건물지』 (동편)이다(그림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허흥식, 고려로 옮긴 인도의 등불, 1판, 일조각, 1997 

  2. 崔法慧, 高麗板禪苑淸規譯註, 가산불교 문화연구원, 2002(2001). 

  3. 새한건축문화연구소, 회암사지 현황조사 -1차조사보고서-, 양주군, 1985. 

  4. 경기도박물관?기전문화재연구원, 회암사 I -시굴조사보고서-, 2001. 

  5. 명지대학교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양주 회암사지 종합정비계획, 2001. 

  6. 경기도박물관?기전문화재연구원, 회암사 II -7?8단지 발굴조사보고서-, 2003. 

  7. 경기도박물관?기전문화재연구원, 양주회암사지 3차 발굴조사 -현장설명회자료 7-, 2001. 4. 

  8. 경기도박물관?기전문화재연구원, 양주 회암사지 4차 발굴조사 -현장설명회자료 11-, 2001. 11. 

  9. 경기도박물관?기전문화재연구원, 양주 회암사지 5차 발굴조사 -현장설명회자료 13-, 2002. 

  10. 최성봉, 회암사의 연혁과 그 사지 조사 -가람배치를 중심으로- , 불교학보 9, 동국대학교불교문화연구소, 1972. 10., p.p. 159-p,p.201. 

  11. 김홍식, 양주 회암사지의 전각배치에 대한 연구 , 문화재24호, 문화재관리국, 1991. 

  12. 최성봉, 회암사지의 조사연구 -가람배치를 중심으로- ,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58. 

  13. 한지만.이상해, 회암사지의 연혁과 정청.방장지에 관한 복원적 연구 , 건축역사연구 61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8. 12. 

  14. 景德傳燈錄 

  15. 禪苑淸規 

  16. 叢林校定淸規總要 

  17. 禪林備用淸規 

  18. 勅修百丈淸規 

  19. 至正金陵新志 (宋元方志叢刊6, 中華書局, 北京, 1990.) 

  20. 張十慶, 五山十刹圖與南宋江南禪寺, 東南大學出版社, 南京, 2000. 

  21. 中國古代建築史 第四卷: 元?明建築, 中國建築工業出版社, 北京, 2001. 

  22. 五山十刹圖 (大乘寺本) 

  23. 大宋諸山圖 (東福寺本) 

  24. 扶桑五山記 

  25. 續群書類從 

  26. 駒澤大學內新版禪學大辭典編纂所 新版禪 學大辭典, 大修館書店, 東京, 2003(1978). 

  27. 鎌田茂雄, 中國佛敎史, 岩波書店, 東京, 2006(1978). 

  28. 橫山秀哉, 禪の建築, 彰國社, 東京, 1967. 

  29. ?口欣也, 五山と?院, 小學館, 東京, 1991. 

  30. 鏡島元隆?佐藤達玄?小坂機融, 譯註禪苑淸規, 曹洞宗宗務廳, 東京, 1992(1972). 

  31. 永井規男, 中世五山における庫院とその ?容, 建築史學 第38號, 建築史學會, 東京, 2002. 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