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송대 선종사원의 승당과 고원 배치 전통
A Study on the Tradition of the Setting of Seungdang and Gowon in the Zen Buddhist Temples of Song Dynasty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5 no.4, 2016년, pp.45 - 56  

한지만 (명지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etting of seungdang(僧堂) and gowon (庫院) in the Zen Buddhist temples of Song dynasty, in terms of as a Buddhist temple universality and as a Zen temple specificity, through the historical reference investigation on its releva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9) 경전에 묘사된 각 원의 구성 내용으로 보아 동쪽의 공승원 영역이 당대사원의 고원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대원 영역의 원 구성 형태에 대해서는 이미 중국의 건축사학자 푸시넨(傅熹年)이 경전 내용 분석을 토대로 가람배치 모식도를 제시한 바가 있기 때문에,60) 여기에서는 공승원 영역의 원 구성 내용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 이처럼 송대 선종사원의 승당과 고원은 그것의 기능적 측면과 더불어 배치방식에 있어서도, 선종사원의 가람을 특징짓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승당과 고원의 배치는, 중국의 불교건축사의 측면에서 봤을 때, 어떠한 배경에서 출현하게 되었을까? 다음에 이어지는 장에서 이 문제에 대하여, 초기 선종사원이 출현했던 당대 불교사원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 당대 불교사원에서 고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문헌 사료나 유구는 현재까지는 확인된 바 없다. 여기서는 실제 사원을 대상으로 한 것은 아니지만 앞서 소개했던 기원사도경에 기록된 가람 형태부터 검토해 보고자 한다.
  • 이 논문은 송대 선종사원의 가람배치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서승당과 동고원의 배치 방식이 출현하게 된 역사적 배경에 대하여, 불교사원으로서의 보편성과 선종사원으로서의 종파적 특수성의 관점에서, 초기 선종사원이 성립했던 당대 불교사원과의 관련성을 검토한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송대 선종사원의 가람배치를 특징짓는 인자들 중에서 특히 승당과 고원 배치에 주목하여, 그러한 배치가 나타나게 된 배경에 대하여, 불교사원으로서의 보편성과 선종사원으로서의 특수성의 측면에서, 초기 선종사원이 출현할 무렵의 당대 불교사원과의 관련성을 통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추가하여 엔닌의 일기에 기록된 당대 불교 사원에서 사원 행정과 운영 및 교화와 의례 등을 담당하는 역직들과 관련하여 몇 가지 언급해 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송대 선종사원의 가람배치 정황은 어떻게 확인하는가 송대 선종사원의 가람배치 정황은 13세기 중엽 남송에 유학한 일본 선승들이 기록한 것으로 전하는 『오산십찰도(五山十刹圖)』9)에 수록된 일련의 가람배치도10)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다원식 가람 형태의 사원에 대해 묘사된 내용의 예시는? 이러한 다원식 가람 형태의 사원은 9세기 중엽의 전적인 『사탑기』, 『역대명화기』, 『입당구법순례행기』 등에 묘사된 내용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예를 들면 오대산 죽림사(竹林寺)20)의 율원(律院), 고원(庫院), 화엄원(華嚴院), 법화원(法華院), 각원(閣院), 불전원(佛殿院) 등을 비롯해, 장안(長安) 천복사(薦福寺)21)의 정토원(淨土院), 보제원(普濟院), 율원, 서남원(西南院) 등, 대흥선사(大興善寺)22)의 행향원(行香院), 소화상원(素和尙院), 삼장원(三藏院), 서선원(西禪院) 등, 그리고 안국사(安國寺)23)의 동선원(東禪院 혹은 목탑원), 성용원(聖容院), 산정원(山亭院), 상좌린공원(上座璘公院), 경원(經院), 대법사원(大法師院) 등이 보인다. 이 밖에 오대산 대화엄사(大華嚴寺)의 15원(院),24) 장안 장경사(章敬寺)의 48원,25) 자은사(慈恩寺)의 10여 원,26) 서명사(西明寺)의 10원27) 등도 확인된다. 물론 이들 사원 중에는 선정수행(禪定修行)에 전념하는 선사(禪師)들이 기거하며 수행하는 선원(禪院)을 갖춘 곳도 있었다.
송대 선종사원에서 승당의 외당에 대한 설명은? 승당 건물은 크게 전면(불전 쪽)의 외당(外堂)과 후면의 내당(內堂)으로 구성된다. 외당은 주지(住持)를 도와 사원의 운영과 관련된 제반 업무를 나누어 맡은 지사(知事)와, 역시 주지를 보좌해 중승들의 수행을 지도하는 두수(頭首)와 같은 역직(役職)13)들이 좌선과 식사를 하는 공간이다. 내당 공간은 일반 중승들이 좌선, 식사, 취침을 하는 곳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문경 역주,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 중심, 2001 

  2. 永井規男(나가이 노리오), 中世五山における庫院とその變容, 建築史學, 38, 建築史學會, 2002.3., 2-31쪽 

  3. 中村 元(나카무라 하지메), 佛敎語大辭典, 東京書籍, 東京, 2006(1981) 

  4. 水野弘元(미즈노 코겐), 禪宗成立以前のシナの禪定思想史序說, 駒澤大學硏究紀要, 第15號, 駒澤大學, 1957.3., 15-54쪽 

  5. 段成式, 寺塔記 

  6. 道宣, 關中創立戒壇圖經, 中天竺舍衛國祇洹寺圖經 

  7. 박언곤.이재인.최효식, 한국 불교사원의 계단과 계단도경의 비교 연구, 건축역사연구, 16권, 2호, 2007.4., 99-118쪽 

  8. 澤村仁(사와무라 마사시) 외, 新建築學大系2: 日本建築史, 彰國社, 東京, 1999 

  9. ?口欣也(세키구치 킨야), 五山と禪院, 小學館, 東京, 1991 

  10. 小野勝年(오노 카츠토시), 入唐求法巡禮行記の硏究(全4冊), 鈴木學術財團, 東京, 1964-1969 

  11. 小野勝年譯註, 歷代名?記, 岩波書店, 東京, 1996(1938) 

  12. 小野勝年, 隋唐長安.寺院史料集成: 史料編, 法藏館, 1989 

  13. 大岡 實(오오카 미노루), 南都七大寺の?究, 中央公論美術出版, 東京, 1966 

  14. ?山秀哉(요코야마 히데야), 禪の建築, 彰國社, 東京, 1967 

  15. 伊吹 敦(이부키 아츠시), 禪の歷史, 法藏館, 2004(2001) 

  16. 石井修道(이시이 슈도), 百丈淸規の硏究: 禪門規式と百丈古淸規, 駒澤大學禪硏究所年報, 第6號, 駒澤大學禪硏究所, 1995.3., 15-53쪽 

  17. 日本建築學會編, 日本建築史圖集, 彰國社, 東京, 2008 

  18. 鎌田茂雄(카마다 시게오), 中國佛敎史, 岩波書店, 東京, 2006(1978) 

  19. 駒澤大學(코마자와대학)內 禪學大辭典編纂所, 新版禪學大辭典, 大修館書店, 東京, 2003(1978) 

  20. 韓志晩, 韓國における檜巖寺跡の僧堂遺構について: 東アジア禪宗史から見て, 日本建築學會計劃系論文集, 602號, 2006.4., 219-224쪽 

  21. 한지만.이상해, 회암사의 연혁과 정청.방장지에 관한 복원적 연구, 건축역사연구, 17권, 6호, 2008.12., 45-65쪽 

  22. 한지만, 회암사지 고원 영역의 전각 배치에 대하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0권, 7호, 2014.7., 145-155쪽 

  23. 한지만, 중국 당대 선종사원 성립에 관한 문헌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1권, 11호, 2015.11., 143-152쪽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