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토양의 화학성과 질의 장기 변동
Long-term Monitoring Study of Soil Chemical Contents and Quality in Paddy Field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3 no.6, 2010년, pp.930 - 936  

김명숙 (국립농업과학원) ,  김원일 (국립농업과학원) ,  이종식 (국립농업과학원) ,  이계준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조광래 (경기농업기술원) ,  안문섭 (강원농업기술원) ,  최승출 (강원농업기술원) ,  김현주 (충북농업기술원) ,  김영상 (충북농업기술원) ,  최문태 (충남농업기술원) ,  문영훈 (전북농업기술원) ,  안병구 (전북농업기술원) ,  김현우 (전남농업기술원) ,  서영진 (경북농업기술원) ,  이영한 (경남농업기술원) ,  황재종 (제주농업기술원) ,  김유학 (국립농업과학원) ,  하상건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속농업은 환경의 건전성과 균형을 유지하는 것에 좌우된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과 전국 도 농업기술원이 공동으로 전국 논토양의 화학성분 함량의 현황과 장기적인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4년 1주기로 모니터링한 결과, 토양 화학성 변동 해석과 그에 따른 토양의 질 지표의 변화정도를 예측하고자 수행하였다. 2007년에 조사한 전국 논토양 2,070 지점의 평균 화학성은 pH 5.8, 유기물 24 g $kg^{-1}$, 유효인산 132 mg $kg^{-1}$, 유효규산 126 mg $kg^{-1}$이었고, 치환성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은 각각 0.32, 4.7, 1.3 $cmol_c\;kg^{-1}$이었다. 장기적인 변화에서는 pH는 약간 증가하였으나 치환성 칼륨은 다소 감소하였다. 그러나, 치환성 칼슘과 유효규산 함량은 지속적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논토양의 화학성 질 지표는 2007년까지 점점 향상되고 있었으며 유효규산의 질 지표 변화량이 가장 높아 전체 질 지표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is very important to investigate long-term trend of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quality index for sustainable agriculture and production of agricultural safety products. Monitoring on soil chemical properties in paddy soils was conducted as one cycle with 4 years from 1999 to 2007. Paddy so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속농업은 환경의 건전성과 균형을 유지하는 것에 좌우된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과 전국 도 농업기술원이 공동으로 전국 논토양의 화학성분 함량의 현황과 장기적인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4년 1주기로 모니터링한 결과, 토양 화학성 변동 해석과 그에 따른 토양의 질 지표의 변화정도를 예측하고자 수행하였다. 2007년에 조사한 전국 논토양 2,070 지점의 평균 화학성은 pH 5.
  • 이 연구는 1999년부터 4년 1주기로 농촌진흥청에서 전국 도 농업기술원과 공동으로 전국 논토양의 화학성 함량의 현황과 장기적인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토양의 화학성 질의 변동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농업은 무엇에 좌우되는가? 지속농업은 환경의 건전성과 균형을 유지하는 것에 좌우된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과 전국 도 농업기술원이 공동으로 전국 논토양의 화학성분 함량의 현황과 장기적인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4년 1주기로 모니터링한 결과, 토양 화학성 변동 해석과 그에 따른 토양의 질 지표의 변화정도를 예측하고자 수행하였다.
농경지의 화학성 변동을 모니터링 하는 목적이 어떻게 변했는가? 최근에는 자연보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지속적인 농업생산과 환경의 건전성과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세계적으로 큰 관심사가 되었다. 과거에는 농경지의 화학성 변동을 모니터링 하는 목적이 토양의 화학성 비옥도를 증진하여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두었지만 (Jung et al, 1998; Peters, 2000) 최근에는 양분의 과잉투입으로 농경지내 인산, 칼리 등 양분의 집적과 환경으로 유출될 수 있는 양분을 평가하는 목적이 중요하게 되었다. 각 나라마다 일정한 지역에서의 작물생산에 필요한 화학비료, 중금속, 농약 등 외부자재의 투입으로 생긴 토양 내 물질의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고 (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01) 미국에서는 토양중의 인산이 환경으로 유출되어 수계의 부영영화의 원인이 됨에 따라 토양중의 인산 함량 기준을 설정하여 법령화하려고 하고 있다 (Sharpley, 2003).
농경지의 화학성 변동 각 나라에서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과거에는 농경지의 화학성 변동을 모니터링 하는 목적이 토양의 화학성 비옥도를 증진하여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두었지만 (Jung et al, 1998; Peters, 2000) 최근에는 양분의 과잉투입으로 농경지내 인산, 칼리 등 양분의 집적과 환경으로 유출될 수 있는 양분을 평가하는 목적이 중요하게 되었다. 각 나라마다 일정한 지역에서의 작물생산에 필요한 화학비료, 중금속, 농약 등 외부자재의 투입으로 생긴 토양 내 물질의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고 (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01) 미국에서는 토양중의 인산이 환경으로 유출되어 수계의 부영영화의 원인이 됨에 따라 토양중의 인산 함량 기준을 설정하여 법령화하려고 하고 있다 (Sharpley,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D.H. and S.H. Yun. 1989. Agroclimatic zone and characters of the area subject to climatic disaster in Korea.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34:13-33. 

  2. 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01. European soil monitoring and assessment framework. EIONET workshop proceedings. Copenhagen, Denmark. 

  3. Jung, B.G., G.H. Jo, E.S. Yun, J.H. Yoon, and Y.H. Kim. 1998. Monitoring on chemical properties of bench marked paddy soils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31: 246-252. 

  4. JNARES. 2007. Jeonnam statistical year book.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rach & Extension Services. Naju, Korea. 

  5. Kim, Y.S., S.C. Seo, and G.H. Han. 1963. Soil testing project. Res. Rept. p. 205-218. Institute of Plant Environmen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Suwon, Korea. 

  6. NIAST. 1999. Fertilizer recommendation for crop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7. NIAST. 2000. Methods of soil and plant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8. NIAST. 2006. Fertilizer recommendation for crops (revisioned). National Institud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9. OECD. 1999.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agriculture: Vol. 1. concepts and framework. head of publication service, OECD publication service, Paris, France. NIAST. 

  10. Peters. J.B. 2000. Gambian soil fertility trends, 1991-1998. Commun. Soil Sci. Plant Anal., 31:2201-2210. 

  11. RDA. 1989. Soil improvement project for 10 years. Res. Rept. p. 83-10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2. RDA. 1999. Monitoring project on agri-environment quality in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3. RDA. 2003a. Monitoring project on agri-environment quality in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4. RDA. 2003b. Monitoring project on agri-environment quality in Korea. one cycle project workshop.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5. RDA. 2007. Monitoring project on agri-environment quality in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6. Sharpley, A.N., J.L. Weld, D. B. Beegle, P. J. A. Kleinman, W. J. Gburek, P. A. Moore, Jr., and G. Mullings. 2003. Development of phosphorus indices for nutrient management plannings strategies in the United States. 

  17. Yoon, J.H. 2004. Review and Discussion on Development of Soil Quality Indicators, Korean J. Soil Sci. Fert., 37: 192-198. 

  18. Yoon, J.H., B.G. Jung, H.J. Jun, and H.G. Kwak. 2004. Soil quality assessment method of paddy and upland. Korean J. Soil Sci. Fert. 37:357-3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