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재배지에서 토양 담수 및 배수에 의한 염류집적 경감 방안
A Modified Methodology of Salt Removal through Flooding and Drainage in a Plastic Film House Soil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3 no.5, 2010년, pp.565 - 571  

오상은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손정수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옥용식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주진호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설하우스 내 토양의 염류를 제거하기 위한 기존 관수제염의 문제점은 담수 시 염류가 심토층으로 이동하게 되며 심토층으로 이동된 염류는 시설하우스 내 모세관현상으로 다시 표토층으로 용출되어 순환을 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관수제염법을 일부 수정한 방법을 개발하였다. 토양을 담수시킨 후 부유물질을 침전시키고 상등액의 일부를 외부로 빼줌으로써 토양 하부로 염류가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통해 심토층으로 염류가 확산이 되지 않았으며 모세관 현상에 의한 염류의 재집적을 방지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밖으로 유출되는 상등액에는 질소, 인, 칼리 등 비료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비료로 재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량의 MgO 투여와 30분 침전을 통해 담수의 탁도 성분을 초기 탁도의 95%이상을 침전 시킬 수 있었다. 담수 내에 암모니아와 인을 함유하고 그들의 농도가 줄어든 것으로 보아 일부 struvite 침전이 이루어졌으며 토양 내에서 천천히 용해되어 작물이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of the disadvantages of flooding treatment for desalting from soils is that salts move to deep soils after flooding and at the end reaccumulate at the soil surface through capillary moveme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move salts from soils in plastic film houses by a modified flooding 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위에 열거한 기존 관수제염법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염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담수처리를 통한 토양 세척 후 배수를 통해 효과적으로 토양에 집적된 염류를 제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방법인 염류 토양의 담수처리 (관수 제염법) 및 새로운 방법인 담수 후 배수처리시 토양 깊이별 염류제거 효과를 비교하고 담수 시 수질의 화학성 변화, 탁도의 변화, MgO투여에 따른 물리화학성의 변화, 실증 실험을 통한 염류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류란? 염류 (salts)는 산의 음이온과 염기의 양이온이 정전 기적 인력으로 결합하고 있는 이온성 물질들의 화합물 을 말한다. 대부분 물에 대한 용해성이 아주 높으며 용 해된 이온으로 인해 물속에서 전기 전달능을 가지고 있 다.
시설재배지의 염류장해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현재까지 시설재배지의 염류장해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로는 관수제염, 심토반전, 심토파쇄, 객토, 표 토제거, 흡비작물 (cleaning crop) 재배, 미생물제재 처 리, 유공 암거배수관 설치, 이분해성 탄수화물의 공급을 통한 탄질율의 조절 및 염류농도에 맞는 작물재배와 합리적인 시비조절 등이 있다 (Ok et al., 2005).
시설재배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은? 우리나라의 시설재배는 1970년 기준 4,000 ha에서 2002년 83,000 ha로 약 20배 이상 증가하였다 (Kim, 2004). 그러나 시설하우 스의 집약적인 재배특성으로 인하여 화학비료와 퇴비의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었고 과잉 시비된 비료 성분은 토 양에 집적되어 염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토양관리를 어렵게 하고 있다 (Park, 2004, Jeon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rnstein, L. 1975. Effects of salinity and sodicity on plant growth. Ann. Rev. Phytopathology. B. p.149-151. 172-181. 223-225. 284-286. 

  2. Bohn, L.H., B.L. McNeal, and G.A. O'Connor. 1979. Soil Chemistry.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p. 149-151. 172-181. 223-225. 284-286. 

  3. Chang, C.W. and H.E. Dregne. 1955. The effect of exchangeable sodium on soil properties on growth and cation content of alfalfa and cotton. Soil Sci. Soc. Am. Proc. 19:29-35. 

  4. Chio, W.Y. 1997. Development of absorbent-microbe mixture for desalination of green house soils, MOA. Gwacheon, Korea. p. 1-105. 

  5. Cho, K.R., C.S. Kang, T.J. Won, and K.Y. Park. 2006. Effects of compressed expansion rice hull application and drip irrigation on the alleviation of salt accumulation in the plastic film house soil. Korean J. Soil Sci. Fert. 39:372-379. 

  6. Hao, X.D., C.C Wang, L. Lan, and M.C.M. Van Loosdrecht. 2008. Struvite formation, analytical methods and effects of pH and $Ca^{2+}$ .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58:1687-1692. 

  7. Jeon, W.T., H.M. Park, J.B. Chung, K.D. Park, C.Y. Park, and W.H. Yang. 2005. Effect of reduced fertilization considering residual soil nutrients on rice yield and salt removal in greenhouse vegetables and rice cropping system. Korean J. Soil Sci. Fert. 38:85-91. 

  8. Jung, G.B., I.S. R, and B.Y. Kim. 1994. Soil textur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hemical components of soils under the plastic film house cultivation in northern central areas of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27:33-40. 

  9. Kim, D.S. 2004. Effects of the perforated underdrainage pipe installment on the salt removal in the plastic film house soil.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p. 1-28. 

  10. Kim, D.S., J.E. Yang, Y.S. Ok, and K.Y. Yoo. 2006. Effect of perforated PVC underdrainage pipe on desalting of plastic film house soils. Korean J. Soil Sci. Fert. 39:65-72. 

  11. Kim, J.Y. 1996. Salt accumulation and chemical property of soil under the horticultural vinyl houses in chung-ju city area. Kon-kuk journal of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7:53-62. 

  12. Kim, P.J., D.K. Lee, and D.Y. Chung. 1997a. Vertical Distribution of Bulk Density and Salts in a Plastic Film House Soil. Korean J. Soil Sci. Fert. 30:226-233. 

  13. Kim, P.J., D.Y. Chung, and D.K. Lee. 1997b. Effects of soil bulk density on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nd solute elution patterns. Korean J. Soil Sci. Fert. 30:234-241. 

  14. Kwak, H.K., K.S. Seong, N.J. Lee, S.B. Lee, M.S, Han, and K.A. Roh. 2003.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and fauna of plastic film house soil by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and composted pig manure. Korean J. Soil Sci. Fert. 36:304-310. 

  15. Ok, Y.S., J.E. Yang, K.Y. Yoo, Y.B. Kim, D.Y. Chung and Y.H. Park. 2005. Screening of adsorbents to reduce salt concentration in the plastic film house soil under continuous vegetable cultivation. Korean J. Environ. Agric. 24:253-260. 

  16. Park, C.G., Y.S. An, J.S. Yang, and C.S. Kang. 1998. Soil chemical properties under plastic film house of Kyunggi districts. Kyunggi Agriulture Research 9:169-176. 

  17. Park, C.Y. 2004. Solution andin reason of salt accumulation in green house soil. p.108-109. The society of green house soil and environment.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Institute. Milyang, Korea. 

  18. RDA (Rural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2004. Annual Report of the Monitoring Project on Agricultural Environment Quality. p. 9-12. 

  19. RDA (Rural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1988. Soil chemical analysis. 

  20. Tanji, J. 1990. Agricultural salinity assessment and management. ASCE. p. 487. 

  21. Yang, J.E., D.Y. Chung, J.G. Kim, and J.B. Chung. 2001. Soil contamination and agriculture environment. p.82-125: In Yang, J. E, and Lee, G.S. (ed.) Agriculture environment.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e and Environment. 

  22. Yoshino, M., M. Yao, H. Tsuno, and I. Somiya. 2008. Removal and recovery of phosphate and ammonium as struvite from supernatant in anaerobic digestion.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58:171-1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