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재배지 유기물자원 적정 시용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Application Level for the Proper Use of Organic Materials as the Carbonaceous Amendments in the Greenhouse Soil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2, 2011년, pp.248 - 255  

강보구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이상영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임상철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김영상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홍순달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정근욱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정덕영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설재배 토양의 장기적인 물질순환적 친환경 토양관리를 위하여 유기물자원 (가축분부산물비료, 볏짚, 버섯배지, 팽연왕겨, 우드톱밥, 코코피트)을 토양의 무기태질소 대비 C/N율 10, 20, 30 조절량을 시용하는 처리를 두어 수박을 시험작물로 비닐하우스에서 2기작으로 재배하여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용한 유기물자원의 T-C는 $289{\sim}429g\;kg^{-1}$이었으며, 유기물자원을 토양의 무기태질소 대비 C/N율 10 조절량을 시용하여 수박을 2기작 재배 후 토양의 질산태 질소는 시험전 토양에 비하여 가축분 부산물비료 처리를 제외 하고 21~37% 감소하였으며, 토양의 EC는 26~33% 경감효과가 있었다. 우드톱밥을 토양의 EC가 상이한 3개의 토양에 토양의 무기태질소 대비 C/N율을 10, 20, 30 조절 처리하여 수박을 재배한 결과 시험전 토양에 비하여 토양의 EC가 각각 33, 42, 39% 경감되었다. 수박의 과중은 개당 10.1~13.4 kg으로 토양의 EC가 낮은 토양I>토양II>토양III 순으로 수박의 과중이 높았으며 C/N 20 조절처리에서 3개의 토양은 양호한 경향이었다. 수박의 당도는 $11.8{\sim}12.3^{\circ}Brix$로 처리간에 차이는 없었으며 수박의 과실 특성상 상품에는 문제가 없었다. 탄소함량이 높은 유기물자원 공급으로 토양의 연작장해의 한 원인인 염류집적이 경감되어 품질과 수량성 증수을 기대할 수 있었다. 시설재배토양의 특성을 대표 할 수 있는 토양의 EC농도에 따라 유기물자원 시용시 토양의 무기태질소 대비 C/N 20 조절 시용기준을 적용하여도 물질순환적 유기재배의 토양관리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environmental friendly soil management on the cultivation of crops in the greenhouse, organic materials, such as the by product-fertilizer derived from livestock manure, rice straw, mushroom media, rice hulls, wood sawdust, and cocopeat, were used as carbon sources adjusting the ratio of c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설재배지의 염류집적은 과다한 화학비료의 시용에도 원인이 있지만, 어느 면에서는 유기물자원으로 활용되는 가축분부산물비료의 무분별한 시용이 더 큰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유기농업에 사용되는 토양관리 자재에 대한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평가 (Won et al., 2007) 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시설토양의 특성에 따른 유기자원의 시용기준을 개선하고자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By-procduct ferti. : By-procduct fertilizer derived from livestock manure.
  • 2, 3년 (2009~2010)차는 토양 EC 및 유기물자원 C/N율 조절기준에 따른 토양의 EC 경감 및 수박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토양 무기태 질소 대비 유기자원의 탄소함량을 C/N율 10, 20 및 30조절 기준으로 1년차의 유기물자원중 우드톱밥을 시용하여 폿트시험을 비니닐하우스내에서 수행하였다. C/N율 조절을 위한 토양의 무기태질소량은 토양의 가밀도를 1.2 Mg m-3로 가정하여 환산하였으며, 유기물자원은 수분함량을 감안하여 C/N율 조절량을 잘 혼합하여 폿트 (지름: 80 cm, 깊이: 100 cm)에 수박정식 15일 전에 처리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특성과 작물생육에 적합한 유기자원 시용 연구가 수행되는 이유는? 남부지방과 도시근교 중심으로 보급되던 시설재배가 경제성장에 따른 식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원예작물 수요가 증가되면서 전국의 시설재배면적이 2009년에 74,983 ha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KOSIS, 2010). 또한 최근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전환에 따른 친환경농산물 생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작물의 생산성 향상과 안전성을 동시에 추구하기 위하여 토양특성과 작물생육에 적합한 유기자원 시용 연구가 수행되었다 (Kwak et al., 2003; Lee et al.
전국의 시설재배면적이 증가추세인 이유는? 남부지방과 도시근교 중심으로 보급되던 시설재배가 경제성장에 따른 식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원예작물 수요가 증가되면서 전국의 시설재배면적이 2009년에 74,983 ha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KOSIS, 2010). 또한 최근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전환에 따른 친환경농산물 생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작물의 생산성 향상과 안전성을 동시에 추구하기 위하여 토양특성과 작물생육에 적합한 유기자원 시용 연구가 수행되었다 (Kwak et al.
시설재배의 가장 큰 문제로 지목되는 염류집적의 원인은? 시설재배는 강우가 차단된 상태에서 토지이용율 높이기 위하여 연중 집약적으로 재배함으로서 노지재배에 비하여 많은 연작장해가 발생되고 있으며,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가 염류집적이다. 농가에서 관행적으로 과다하게 시용된 농자재 중에서 농작물이 흡수하고 남은 성분들이 토양 중에 남아 토양에 염류집적의 원인이 되고 있다. 국립농업과학기술원에서 4년 1주기로 수행되는 농업환경변동조사에 의하면 시설재배지의 토양염류농도 (EC) 평균치는 2000년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llison, F.E. 1966. The fate of nitrogen applied to soils. Adv. Agronomy 18:219-258. 

  2. Coleman, D.C., C.P.P. Reid, and C.Cole. 1983. Biological strategiess of nutrient cycling in soil system. Adv. Eco. Res. 13:1-55. 

  3. Duxbury, J.M., M.S. Smith, and J.W. Doran. 1989. Soil organic mater as source and a sink of plant nutrients. In Dynamic of Soil Organic Mater in Tropical Ecosystem. pp 33-68. University of Hawaii Press. Honolulu. 

  4. Hwang, S.W., Y.S. Kim, B.R. Yeon, Y.J. Lee, and Y.D. Park. 1993. Effect of several metods of salt reduction on salt removal of soil in plastic film house. Paper of agrcultulal sciences in RDA, Korea. 35:276-280. 

  5. Joh, K.R., C.S. Kang, A.S. Roh, J.M. Sim, and S.R Park. 2003. Effect of applicaton of organic materials on reduction of salt in plastic film house. Anual research report of Kung-gi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p. 463-473. 

  6. Jung, B.G., G.B. Jung, and J.H. Yoon. 2003. Survey on the change of chemical properties of agricultural fields in Korea. p. 7-55 (In Proceeding of symposium on monitoring project on agri-environment quality in Korea. National Institu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7. Kang, B.K. 1997. Chemical charateristics and salt movement of soil in green house area. Doctor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8. Kang, B.G,, I.M. Jeong, J.J. Kim, S.D. Hong, and K.B. Min. 1997.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lastic film house soils in Chungbuk area. Korean J. Soil Sci. Fert. 30:265-271. 

  9. Kang, C.S., A.S. Roh, T.J. Won, and S.E. Lee. 2006. Effect of application of easily decomposable carbon on reducing of soil salinization. Anual research report of Kung-gi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p. 409-420. 

  10. Kim, J.G., C.H. Lee, J.G. Joh, and Y.H. Lee. 1996. Subsoil inverting depth and fertilizer needs in salt accumulated soils of plastic film hous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 Agri. Sci. (Soil & Fert.). 38:370-375. 

  11. Kim, J.G., G.J. Jeong, S.J. Kang, and J.M. Jeong. 2000. Effect of application of organic mater on chemical charateristics of soil and quality of cucumber. Anual research report of Jeon-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p. 249-258. 

  12. Kim, L.Y., H.J. Cho, B.K. Hyun, and W.P. Park. 2001. Effects of physical improvement practices at plastic film house soil. Korean J. Soil Sci. Fert. 34:2-97. 

  13.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Agriculture statistical database 

  14. Kwak, H.K., K.S Seong, N.J. Lee, S.B. Lee, M.S. Han, and K.A. Roh. 2003.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and fauna of plastic film house soil by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and composted pig manure. Korean J. Soil Sci. Fert. 36:304-310. 

  15. Kwon, J.B., J.R Kwon, Y.S. Shin, C.R. Kim, and B.S. Choi. 1996. Effect of organic matters on hort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in greenhouse. Korean J.Hort. Sci. 37:137-145. 

  16. Lee, Y., S.C. Kim, and Y.H. Park. 2002. Development of nutrient balance indiccator. p. 282-296. In Research report of agro-environment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ru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17. Lee, Y.H., S.G. Kim, S.H. Shin, J.H. Choi, Y.J. Lee, and H.M. Kim. 2006. Investigation of the utilization of organic materials and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the organic farms in korea. Korea J. Organic Agriculture. 14:55-67. 

  18. NIAS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Analytical methods of soil and plant. NIAST, Suwon, Korea. 

  19. RDA (Rural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2008. Anual report of the monitoring project on agricultural environment quality. p. 11. 

  20. Roh, A.S., K.R. Joh, T.J. Won, and S.E. Lee. 2005. Effect of long term application of organic mater on reducing of soil salinization. Anual research report of Kung-gi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p. 485-496. 

  21. Seo, Y.H. 2001. Improvement on the grrenhouse soil. Anual research report of Kang-won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p. 719-720. 

  22. Shin, J.H. 2007. Determine appropriate rate of organic matter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soil condition of organic farming. In research report of NIAST, Suwon, Korea. 

  23. Shin, Y.K., Y.H. Lee, K.N. Hwang, and K.S. Lee. 1992. Effect of application of organic mater on horticultural crops. p. 239-243. In Research report of agro-environment research. NIAST, Suwon, Korea. 

  24. Song, Y.S., H.K. Kwak, B.L. Hur, and S.E. Lee. 1996. Use efficiency of nitrogen accumulated in plastic film house soils under continuous vegetable cultivation. Korea J. Soc. Soil Sci. Fert. 29:347-352. 

  25. Uhm, M.J., S.G. Han, K.C. Chel, Y.H. Moon, and J.S. Choi. 2001. Properities of plastic film house soils and physiological disorder of eggplant. Korean J. Soil Sci. Fert. 34:192-198. 

  26. Won, T.J., K.R. Joh, C.S. Kang, A.S. Roh. 2007. Evaluation on effect of application of organic culture materials on reducing of soil salinization. Anual research report of Kung-gi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p. 514-527. 

  27. Yoon, J.H., L.Y. Kim, P.K. Jung, J.S. Suh, and H.J. Jun. 2002. Development of soil quality indicators. p. 240-258. In Research report of agro-environment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ru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