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북지역 밭 토양의 지형별 물리화학적 특성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opography in Jeonbuk Upland Field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3 no.3, 2010년, pp.268 - 274  

안병구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이제형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김갑철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최동칠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이진호 (전북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한성수 (원광대학교 식품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북지역 밭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150개 지점, 물리적 특성은 84개 지점에 대하여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화학적 특성 조사지역의 지형분포는 곡간 및 선상지 (34.7%), 구릉 및 산악지 (18.7%), 산록경사지 (20.0%), 하성평탄지 (14.0%), 홍적대지 (8.0%) 및 하해혼성평탄지 (4.6%)로 나타났다. 물리적 특성인 토성은 사양토, 사질식양토, 식양토, 식토로 구성되어 있었고 사질식양토가 모든 지형에 고르게 분포하였고, 모든 조사지점의 경사도는 최적조건 (0~15%)을 보였다. 지형별 용적밀도는 1.19~1.24 Mg $m^{-3}$이었고, 경도는 12.1~13.9 mm이었다. 지형에 관계없이 밭 토양의 화학성인 pH는 37.3%, 유기물함량 42.7%, EC는 93.0%가 적정수준이었지만, 유효인산함량은 42.7%, 치환성 K는 64.0%, Ca은 47.3%, Mg은 48.7%가 적정수준 이상이었다. 토양 pH는 하해혼성평탄지를 제외하고 pH 5.9~6.1 수준이었고, 유기물함량은 산록경사지에서 20.6 g $kg^{-1}$로 가장 높았다. 유효인산은 하해혼성평탄지를 제외하고 534~739 mg $kg^{-1}$이었고, 치환성 K는 홍적대지에서 1.28 $cmol_c\;kg^{-1}$로 가장 높았고, Ca은 하해혼성평탄지와 홍적대지에서 각각 3.79와 4.9 $cmol_c\;kg^{-1}$로 낮았지만, Mg은 지형별로 차이가 없었다. 한편 CEC는 하해혼성평탄지를 제외하고 10.4~10.9 $cmol_c\;kg^{-1}$ 수준을 보였다. 지형별 중금속함량은 토양오염우려기준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전북지역 밭 토양은 안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perties of upland soils are much more dependent upon topography than those of paddy soils, and they give us very useful information to manage the upland field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selecte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s at 84 and 150 topographic sampling sites,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국의 비율보다 높은 편이다 (RDA, 1987). 전라북도 논토양 (142,600 ha)에 비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적어 연구가 미흡한 밭 토양에 대한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밭 토양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관리대책을 세우고, 밭 토양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농경지가 분포하고 있는 지형은 무엇으로 구분하나요? 우리나라 농경지가 분포하고 있는 지형은 하해혼성평탄지, 하성평탄지, 홍적대지, 곡간 및 선상지, 산록경사지, 구릉지, 산악지 및 용암류대지로 구분하며, 농경지 토양을 구성하는 모재와 생성형태가 다를지라도 논은 구릉지와 산악지를 제외한 나머지 지형에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밭은 모든 지형에 고루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곡간 및 선상지, 산록경사지 및 구릉지에 80.
농경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농경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경작지 토양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와 평가가 뒷받침 되어야 하며, 현장정밀조사 및 토양분석 등으로 얻어진 토양특성은 토양비옥도 평가기준이 되고 농업정책 수립과 연구 및 교육 등에 이용된다. 토양의 지형적 특성과 생성분류에서 토양생성이 지형에 따라 상이하게 발달했고 (Jung and Kim, 1988), 또한 좁은 지역에서 농경지 지형은 토양특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가장 큰 요인이므로 농경지 토양특성을 지형별로 구분하여 파악하는 것이 토지이용을 위해 합리적이다.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방법은 농업과학기술원 방법에 준하여 실시했는데, 토성은 어떤법으로 분석하고 어떤 기준을 따랐습니까?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방법은 농업과학기술원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NIAST, 2000)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즉 토성은 micro pipette법 (Chung et al., 1999; Park et al., 2006)으로 분석하고, 미국 농무성법 분류기준을 따랐다 (Gee and Bauder, 1986). 토양 pH와 EC는 풍건토양과 증류수를 1:5 (v/v)비율로 하여 pH Meter (EUTECH COND 600)와 EC Meter(EUTECH ECOSCAN)로 각각 측정하였고, 석회요구량은 ORD법, 유기물은 Tyurin법, 유효인산은 Lancaster법, 치환성양이온은 1N-CH₃COONH4 (pH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ung, J.B., M.K. Kim, B.J. Kim, and K.H. Kim. 1999. Comparison of micro-pipette method and hydrometer method in soil particle size analysis. J. Korean Soc. Soil Sci. Fert. 32:274-278. 

  2. Gee, G.W. and J.W. Bauder. 1986. Particle size analysis. pp. 383-411. In A. Klute(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I (2nd ed.).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Madison, WI. 

  3. Hyeon, K.S., C.S. Park, S.J. Jung, and J. Moon. 1989. Physico-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developed on the different topographies in Korea. Korean J. Soc. Soil Sci. 22:271-279. 

  4. Jung, G.B., I.S. Ryu, and B.Y. Kim. 1994. Soil textur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hemical components of soils under the plastic film house cultivation in northern central areas of Korea. Korean J. Soc. Soil Sci. Fert. 27:33-40. 

  5. Jung, S.J. and T.S. Kim. 1988. Topographic characteristics, formation and classification of soils developed in limestone. Konkuk University Master's Thesis. 

  6. Kang, B.K., I.M. Jeong, J.J. Kim, S.D. Hong, and K.B. Min. 1997.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lastic film house soils in Chungbuk area. Korean J. Soc. Soil Sci. Fert. 30:265-271. 

  7. Kim, I.Y., H.J. Cho, and K.H. Han. 2004. Changes of physical properties of soils by organic material application in farmland. Korean J. Soc. Soil Sci. 37:304-314. 

  8. Kim, J.G., S.B. Lee, and S.J. Kim. 2001. The effect of long-term application of different organic material sources on soil physical property and microflora of upland soil. Korean. J. Soc. Soil Sci. Fert. 34:365-372 

  9. Kim, S.K. 2008. Soil science. Greentomato, Seoul. 

  10. Lee, Y.H., Y.K. Shin, K.N. Hwang, and G.S. Rhee. 1993. Studies on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under the plastic house cultivation of vegetables. Korean J. Soc. Soil Sci. Fert. 26:236-240.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02. Enforcement decree of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12. NIAS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Method of soil and plant analysis. NIAS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13. NIAST. 2006. Fertilization standard of crop plants. NIAS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14. Park, S.N., K.H. Kim, and J.Y. Kang. 2006. Accuracy and precision of spectrophotometric measurement of clay content in soils. Korean J. Soc. Soil Sci. 49:153-157. 

  15.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87. Distribution areas of soil types in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16. RDA. 1999. A study of changes in agricultural environment. p. 12-1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17. Sohn, B.K., J.S. Cho, J.G. Kang, J.Y. Cho, K.Y. Kim, H.W. Kim, and H.L. Kim. 199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at red pepper, garlic and onion cultivation ares in Korea. Korean. J. Soc. Soil Sci. Fert. 32:123-131. 

  18. 전라북도. 2007. 도정현황 통계시스템. 통계지표분석표. 전라북도.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