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쌍화탕과 발효쌍화탕 분획물의 폴리페놀함량 및 항산화 활성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ractions from Ssanghwa-tang and Fermented Ssanghwa-tang 원문보기

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v.16 no.3 = no.30, 2010년, pp.175 - 178  

김동선 (한국한의학연구원 신한방제제연구센터) ,  엄영란 (한국한의학연구원 신한방제제연구센터) ,  양민철 (한국한의학연구원 신한방제제연구센터) ,  윤나영 (한국한의학연구원 신한방제제연구센터) ,  마진열 (한국한의학연구원 신한방제제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between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of Ssanghwa-tang according to solvent partition. Ssanghwa-tang was fermented with Lactobacilus fermentum. Ssanghwa-tang and the fermented Ssanghwa-tang were fractioned by sol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발효과정을 거친 한약재는 유효성분이 저분자화 및 소수성화 되면서 체내 흡수를 증대시킬 수 있고, 특정 장내세균을 보유하지 않은 개인의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동일한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13-14). 본 연구에서는 발효에 의한 쌍화탕의 생리활성성분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에 대하여 폴리페놀 및 항산화활성을 비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폴리페놀은 어떤 생리활성을 나타내는가? 폴리페놀이란 식물에 널리 분포하는 다양한 화합물의 그룹으로 간단한 저분자로는 phenolic acid, phenylpro panoid, flavonoid 들이 있으며, 고분자로는 lignin, melanin, tannin 들이 있다18). 이들은 항산화 효과 뿐만 아니라, 항박테리아, 항염, 항알러지, 항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19).
당귀의 주성분은 무엇인가? 숙지황은 지황 Rehmannia glutinosa 또는 기타 동속 식물의 뿌리를 포제가공한 것으로 말초혈관 순환장애 개선, 항알러지작용, 골형성촉진작용 등이 알려진 바 있으며 주성분으로 5-hydroxymethyl-2-furaldehyde가 있다. 당귀는 참당귀 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로 진정, 진통 작용, 학종양작용, 뇌세포 보호작용등을 하며 decursin, decursinol angelate, decursinol 등이 주성분이다. 천궁은 천궁의 뿌리줄기를 그대로 또는 열탕에 담갔다가 건조한 것으로 진경, 혈관확장 및 뇌세포보호작용 등을 하며 함유성분으로는 ligustilide, cnidilide 등이 있다.
숙지황의 효능은 무엇인가?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로 진경, 항종양, 면역증강작용 등이 있으며 주성분으로 paeoniflorin과 albiflorin 등이 있다. 숙지황은 지황 Rehmannia glutinosa 또는 기타 동속 식물의 뿌리를 포제가공한 것으로 말초혈관 순환장애 개선, 항알러지작용, 골형성촉진작용 등이 알려진 바 있으며 주성분으로 5-hydroxymethyl-2-furaldehyde가 있다. 당귀는 참당귀 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로 진정, 진통 작용, 학종양작용, 뇌세포 보호작용등을 하며 decursin, decursinol angelate, decursinol 등이 주성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허준. 동의보감. 서울:남산당. 1976. 

  2. 황도연. 방약합편. 서울:송원문화사. 1978. 

  3. 생약학교재편찬위원회. 생약학. 서울:동명사. 2009:104-367. 

  4. 마진열, 박대훈, 박경수, 도경탁, 신현규. 쌍화탕 급성독성에 대한 안전성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2007;13(1):161-164. 

  5. 김일혁, 황규진. 雙和湯의 抗炎症作用에 관한 硏究. 생약학회지. 1981;12(3):131-135. 

  6. 손낙원. 쌍화탕이 흰쥐의 간 및 근육 Glycogen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직화학적 연구. 대한본초학회. 1994;9(1):115-125. 

  7. 안병락, 김신근, 심창구, 정윤복. 雙和湯이 四鹽化炭素에 의한 肝障害 Rat에서 Sulfobromophthalein의 體內動態에 미치는 영향. 약학회지. 1984;28:207-215. 

  8. 조태영, 심창구, 이민화, 김신근. 쌍화탕이 슬포브로모프탈레인의 간클리어란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제학회. 1987;17:89-93. 

  9. 박정현, 김호준, 이명종. 비만에서 장내 미생물 균총의 역할과 발효 한약의 활용. 한방비만학회지. 2009;(1):1-14. 

  10. Bae EA, Han MJ, Kim EJ, Kim DH. Transformation of ginseng saponins to ginsenoside Rh2 by acids and human intestinal bacteria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ir transformants. Arch Pharm Res. 2004;27: 61-67. 

  11. 함성호, 임병락, 유가화, 가선오, 박병현. 발효에 의한 오가피의 항당뇨 활성 촉진.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2):340-345. 

  12. 서성숙, 정승기. 발효 금은화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에 대한 저해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30(3):465-480. 

  13. 한효상, 박완수, 이영종. 艾葉 발효 추출물의 면역활성에 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8; 23(3):103-12. 

  14. 김동현. 한방미생물학, 서울:도서출판 효일. 2000:141. 

  15. 진사문. 태평혜민화제국방. 북경:인민위생출판사. 1985:308. 

  16. Folin O, Denis W. On phosphotungstic-phospho -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912;12:239-243. 

  17.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181:1199-1200. 

  18. Soobrattee MA, Neergheen VS, Luximon-Ramma A, Aruomab OI, Bahorun T. Phenolics as potential antioxidant therapeutic agents: Mechanism and actions. Mutation Research. 2005;579:200-213. 

  19. Middleton E, Kandaswami C, Theoharides TC. The effects of plant flavonoids on mammalian cells: implications for inflammation heart disease and cancer. Pharmacol. Rev. 2000;52:673-839.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